목차
벤틸레이터
1. 정의
2. 적응증
3. ventilator mode
4. ventilator 이후의 치료
5. ventilator 용어
6. ventilator 설정값
1. 정의
2. 적응증
3. ventilator mode
4. ventilator 이후의 치료
5. ventilator 용어
6. ventilator 설정값
본문내용
6. Ventilator 설정(값)
Respiratory rate(f): 1분간 받을 mandatory breath의 최소 호흡수를 설정 (ACMV, SIMV에서 설정)
Tidal volume(Vt): 한번의 mandatory volume controlled breath로 환자의 폐로 전달되는 가스의 용량을 설정
Peak flow(V max): VC mandatory breath의 최대 흡기 유속을 설정
Inspiratory pressure(Pi): Pressure control mandatory breath를 하는 동안 환자 기도에서의 inspiratory prssure값을 설정
Inspiratory time(Ti): Pressure control mandatory breath의 흡기 시간을 설정
Pressure support(Psupp): 자발 호흡 하는 동안에 보조할 압력값(PEEP 위의)을 설정
Flow sensitivity(Vsens): Ventilator mandatory 또는 spontaneous 호흡을 전달하도록 trigger 하기 위해서 환자가 흡입해야 할 flow를 결정
Expiratory sensivity(Esens): 자발 호흡에 대해서 인공호흡기가 흡기에서 호기로 전환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항목이며 peak inspiratory flow의 백분율
FIO2(흡입산소 농도): 전달되는 가스 내의 산소 농도를 결정 (21~100%)
PEEP: 호기 동안에 환자 circuit 내에서 유지되는 양압 값을 설정. (전반적으로 3~5cmH20 유지하며, 급성기 환자인 경우 더 높은 수준을 유지)
Respiratory rate(f): 1분간 받을 mandatory breath의 최소 호흡수를 설정 (ACMV, SIMV에서 설정)
Tidal volume(Vt): 한번의 mandatory volume controlled breath로 환자의 폐로 전달되는 가스의 용량을 설정
Peak flow(V max): VC mandatory breath의 최대 흡기 유속을 설정
Inspiratory pressure(Pi): Pressure control mandatory breath를 하는 동안 환자 기도에서의 inspiratory prssure값을 설정
Inspiratory time(Ti): Pressure control mandatory breath의 흡기 시간을 설정
Pressure support(Psupp): 자발 호흡 하는 동안에 보조할 압력값(PEEP 위의)을 설정
Flow sensitivity(Vsens): Ventilator mandatory 또는 spontaneous 호흡을 전달하도록 trigger 하기 위해서 환자가 흡입해야 할 flow를 결정
Expiratory sensivity(Esens): 자발 호흡에 대해서 인공호흡기가 흡기에서 호기로 전환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항목이며 peak inspiratory flow의 백분율
FIO2(흡입산소 농도): 전달되는 가스 내의 산소 농도를 결정 (21~100%)
PEEP: 호기 동안에 환자 circuit 내에서 유지되는 양압 값을 설정. (전반적으로 3~5cmH20 유지하며, 급성기 환자인 경우 더 높은 수준을 유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