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개념 증상 문제와 해결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돼지열병 개념 증상 문제와 해결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프리카 돼지열병이란?
2. 아프리카 돼지열병 증상
3. 아프리카 돼지열병 전염원
4. 아프리카 돼지열병 특징(구제역 비교)
5.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국가 사례
6. 아프리카 돼지열병 국내 발생현황
7. 해외 대책사례
8. 국내 유입방지대책
9.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돼지열병이란?

아프리카돼지열병은 1921년 아프리카 케냐에서 처음 발생했고, 1920년대부터 아프리카 지역 돼지에 풍토병으로 존재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북아프리카 사하라 지역에 사는 와트호그에서 일어난 질병.

2007년 조지아(옛 그루지야)에 있는 한 항구에 아프리카를 경유한 선박이 정박했는데 이 선박에서 나온 잔반을 그 지역 돼지에게 먹이면서 발생해 유럽으로 확산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폐사율이 최고100%에 이르며 전염력이 강한데다 전파가 빨라 양돈 산업 전체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줄 수 있음.

이 병은 건강한 돼지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의 침, 분비물, 오줌, 분변 등과 직접 접촉할 때, 환경에 저항성이 강한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가 오염된 차량, 사료, 도구 등 매개물에 간접 접촉할 때 그리고 감염된 물렁진드기(Ornithodoros spp.)가 돼지를 흡혈할 때 전파.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원인체는 아스파바이러스(Asfarviridae)과에 속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임

이 바이러스는 일반 환경에 저항성이 매우 강하여 실온에서는 18개월 이상 햄과 같은 식육 제품에도 6개월 이상의 감염력을 유지하고, 56℃에서 최소 1시간 이상 노출돼야 감염력을 상

1. 아프리카 돼지열병 증상

1) 급성 아프리카돼지열병
- 고열 증상이 최초로 나타나고, 그 후 식욕 저하, 식욕 부진, 피부와 내부장기의 출혈, 순환기와 소화기 및 신경계의 장애를 일으키며 피부 등에 심각한 발적이 관찰.

- 청색증, 보행실조, 가파른 호흡증상과 구토, 설사 등을 일으킬 수도 있음.

- 임신한 돼지의 경우 유산 가능성도 크며, 무엇보다도 가축 돼지는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부터 생존한 돼지는 평생 보균동물(Carrier)로 작영

2) 아급성과 만성형 아프리카돼지열병
- 급성보다 증상이 다소 약하며 치사율도 적음.

- 아급성의 치사율은 30~70%이다. 폐사되는 경우도 급성보다 느려서 대개 감염 후 15~45일 후 사망

- 만성형은 증상이 약하게 나타나지만 수 개월 동안 체중 감소, 호흡기 증상, 피부 괴사 또는 궤양, 관절염 등의 증상이 진행
  • 가격4,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9.11.09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16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