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핀테크의 정의
2. 핀테크의 범위 및 발전배경
3. 핀테크의 향후 발전 가능성
4. 핀테크에 대한 서로 다른 두 가지 해석
5. 2020년-점점 새로워지는 핀테크의 개념
6. 디지털 시대의 고객 특성
7. 해외의 핀테크 산업현황
8. 한국의 핀테크 산업현황
9. 핀테크의 특성
10. 디지털화폐와 핀테크
11. 핀테크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의 준비자세
2. 핀테크의 범위 및 발전배경
3. 핀테크의 향후 발전 가능성
4. 핀테크에 대한 서로 다른 두 가지 해석
5. 2020년-점점 새로워지는 핀테크의 개념
6. 디지털 시대의 고객 특성
7. 해외의 핀테크 산업현황
8. 한국의 핀테크 산업현황
9. 핀테크의 특성
10. 디지털화폐와 핀테크
11. 핀테크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의 준비자세
본문내용
체인 기술로 즉시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디지털 화폐와 가상화폐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디지털 화폐의 관리자는 은행이지만, 가상화폐는 관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화폐의 화폐단위는 기존 화폐와 연계되어 있으나 가상화폐의 경우 기존 화폐와의 교환 가치는 상시 크게 변동한다. 최근 발생한 비트코인 열풍과 비트코인 가격 폭등과 폭락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화폐는 기본적으로 기존 화폐권 내에서 유통되나 가상화폐는 국경이 없이 글로벌하게 유통 가능하다. 디지털 화폐는 기존 화폐처럼 중앙 은행의 금융정책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가상화폐는 중앙 은행의 금융 정책으로 컨트롤이 불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화폐는 가치 척도, 가치 저장, 교환 수단의 기능을 하지만 가상화폐는 가치 저장 기능만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디지털 화폐는 존재하지 않지만 가상화폐는 위에서 예를 든 비트코인을 들 수 있다. 실제로 영국이나 스웨덴의 중앙은행이 발행을 염두한 디지털 화폐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민간 은행 중에서도 일본의 미쓰비시 UFJ파이낸셜 그룹이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MUFG코인`발행을 검토하고 있는데 그것은 기존 화폐와 연계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결국 민간은행으로서는 중앙은행과의 연계를 통해 핀테크 시대의 새로운 금융의 물결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중앙은행이 기존 화폐 거래의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는 존재가 되고 민간 은행은 인증을 통하여 그 플랫폼의 참가자가 된다. 그 후 단순한 즉시 결제를 담당하는 공통 대장 정보 부분과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여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하는 자유로운 대장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다.
11. 핀테크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의 준비자세
거부할 수 없는 핀테크의 시대를 우리는 잘 준비하여야 한다. 잘 준비하여 맞이한다면 이는 또 다른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미 핀테크 시대의 디지털 은행은 지나가는 유행이 아니라 생존과도 같은 확실한 문제로 다가 왔다.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인 단순한 문제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핀테크를 맞이하여야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은행으로서의 전환이나 구축은 단순한 시스템 또는 구측이 아니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구 은행의 신념, 가치, 시스템 등 모든 것을 다 버리고 개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11. 핀테크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의 준비자세
거부할 수 없는 핀테크의 시대를 우리는 잘 준비하여야 한다. 잘 준비하여 맞이한다면 이는 또 다른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미 핀테크 시대의 디지털 은행은 지나가는 유행이 아니라 생존과도 같은 확실한 문제로 다가 왔다.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인 단순한 문제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핀테크를 맞이하여야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은행으로서의 전환이나 구축은 단순한 시스템 또는 구측이 아니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구 은행의 신념, 가치, 시스템 등 모든 것을 다 버리고 개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