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된다. 미래가치는 연금수령이 끝나는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Pn=C+C`(1+r)+C`(1+r)2+… +C`(1+r)n-1 계산식을 이용한다.
만약 1000만원씩 3년간 연금을 지급받는다면 1000만원+1000만원+1000만원으로 단순 계산해볼 경우 원금만 3000만원이 된다. 여기에 연이자 12%라고 한다면 이 연금의 미래가치는 33,744,000원이 된다.
5) 영구연금의 현재가치
보통의 연금은 기간이 유한하지만 특수한 경우 현금흐름이 무한할 수도 있다. 원금에 대하여 원금의 상환 없이 매 기간 일정금액의 이자를 영구히 받게 된다. 이 같은 연금을 영구연금(perpetuity)이라고 한다. 영구연금의 현금흐름 무한히 계속되므로 미래가치 계산보다는 현재가치만 계산한다.
영구연금의 현재가치 계산 공식은 현재가치 공식에서 기간을 무한대일 경우로 놓고 계산한다. 기간이 무한대일 경우 0에 수렴하므로 식은 PVP=C/r이 된다.
연금은 매년 지급 받을 지와 일시금으로 지급받을지를 놓고 고민하게 된다. 매년 1000만원이냐 한번에 1억이냐를 두고 비교할 경우 현재 시장이자율이 10%라고 가정하고 계산해 본다면 1000만원 ÷ 0.1= 1억 원 이므로 영구연금의 현재가치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사용의 목적에 따라서 개인이 선택하면 된다.
6) 불규칙한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사실상 재무의사결정에서 현금흐름은 일정하기 보다는 자주 불규칙적이어서 지급액과 유입액의 크기가 매년 상이할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현재가치를 어떻게 계산하여야 할까.
불규칙한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는 각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개별적으로 계산한 후 이들을 합친 금액이다. 만약 기업의 예상 현금 유입량이 매년 3000만원, 1000만원, 2000만원으로 예상되고 할인율을 10%로 가정한다면 먼저 각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개별적으로 계산한 다음 이들 개별 현재가치를 합산하여 현재가치를 구해야 한다.
즉, P0 = 3,000/(1+0.1) + 1,000/(1+0.1)2 + 2, 000/(1+0.1)3 으로 현재가치는 5056.3만원임을 알 수 있다.
3. 결론
화폐의 시간적 가치의 고려는 미래에 특정 자산의 가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재무관리의사결정에 있어 꼭 필요하다. 특정 시점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현금의 흐름을 현재나 미래의 특정시점에서 그 가치를 계산하는 원리를 이해한다면 보다 튼튼하게 재무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알 수 없는 미래를 숫자로만 계산하여 예측할 수 없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 또한 수를 통해 계산하는 방법이다. 미래의 불확실한 화폐에 대한 현재화폐의 확실성이 가치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한 특정 값에 대한 환산은 계속 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자료
재무관리 기초 닦기. 이장우, 남수현, 정형찬, 강인철. 대명. 2009
재무의 이해. Robert C. Merton, Zvi Bodie, David L. Cleeton. 박영석 옮김.시그마프레스, 2009
(알기쉬운) 재무관리. 감형규. 유원북스. 2015
만약 1000만원씩 3년간 연금을 지급받는다면 1000만원+1000만원+1000만원으로 단순 계산해볼 경우 원금만 3000만원이 된다. 여기에 연이자 12%라고 한다면 이 연금의 미래가치는 33,744,000원이 된다.
5) 영구연금의 현재가치
보통의 연금은 기간이 유한하지만 특수한 경우 현금흐름이 무한할 수도 있다. 원금에 대하여 원금의 상환 없이 매 기간 일정금액의 이자를 영구히 받게 된다. 이 같은 연금을 영구연금(perpetuity)이라고 한다. 영구연금의 현금흐름 무한히 계속되므로 미래가치 계산보다는 현재가치만 계산한다.
영구연금의 현재가치 계산 공식은 현재가치 공식에서 기간을 무한대일 경우로 놓고 계산한다. 기간이 무한대일 경우 0에 수렴하므로 식은 PVP=C/r이 된다.
연금은 매년 지급 받을 지와 일시금으로 지급받을지를 놓고 고민하게 된다. 매년 1000만원이냐 한번에 1억이냐를 두고 비교할 경우 현재 시장이자율이 10%라고 가정하고 계산해 본다면 1000만원 ÷ 0.1= 1억 원 이므로 영구연금의 현재가치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사용의 목적에 따라서 개인이 선택하면 된다.
6) 불규칙한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사실상 재무의사결정에서 현금흐름은 일정하기 보다는 자주 불규칙적이어서 지급액과 유입액의 크기가 매년 상이할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현재가치를 어떻게 계산하여야 할까.
불규칙한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는 각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개별적으로 계산한 후 이들을 합친 금액이다. 만약 기업의 예상 현금 유입량이 매년 3000만원, 1000만원, 2000만원으로 예상되고 할인율을 10%로 가정한다면 먼저 각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개별적으로 계산한 다음 이들 개별 현재가치를 합산하여 현재가치를 구해야 한다.
즉, P0 = 3,000/(1+0.1) + 1,000/(1+0.1)2 + 2, 000/(1+0.1)3 으로 현재가치는 5056.3만원임을 알 수 있다.
3. 결론
화폐의 시간적 가치의 고려는 미래에 특정 자산의 가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재무관리의사결정에 있어 꼭 필요하다. 특정 시점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현금의 흐름을 현재나 미래의 특정시점에서 그 가치를 계산하는 원리를 이해한다면 보다 튼튼하게 재무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알 수 없는 미래를 숫자로만 계산하여 예측할 수 없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 또한 수를 통해 계산하는 방법이다. 미래의 불확실한 화폐에 대한 현재화폐의 확실성이 가치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한 특정 값에 대한 환산은 계속 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자료
재무관리 기초 닦기. 이장우, 남수현, 정형찬, 강인철. 대명. 2009
재무의 이해. Robert C. Merton, Zvi Bodie, David L. Cleeton. 박영석 옮김.시그마프레스, 2009
(알기쉬운) 재무관리. 감형규. 유원북스.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