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와 문어의 개념과 차이를 정리하고 구어와 문어의 의사소통적 차별성을 기술해 보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어와 문어의 개념과 차이를 정리하고 구어와 문어의 의사소통적 차별성을 기술해 보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구어와 문어의 개념과 차이
2) 구어와 문어의 의사소통적 차별성

3. 결론

4. 참고 및 문헌

본문내용

의 상호작용을 위해 청자의 말을 받아서 확인하거나, 정리하는 표현 등을 사용하지만 문어는 불가하다. 문어는 논리 관계를 더 긴밀하고 섬세한 표현을 구사하고 구어는 선적으로 연결되는 사고를 구사한다.
3. 결론
구어는 말의 의사소통 행위로서 표현한 언어이고, 문어는 글의 의사소통 행위로서 표현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구어의 기본 수단은 음성이며, 문어의 기본 수단은 문자이지만 수단의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구어와 문어의 절대적 구분이 사라지고 있다. 메신저 앱처럼 발화를 바로 전송하는 것도 있고, 글을 음성으로 송출 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최종 결과물로써 구어와 문어를 구분하면 안 된다. 그러므로 구어와 문어에 대한 용어 정리나 개념 정의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구어와 문어의 의사소통 차별성에는 언어 사용의 공간 요건에 따라(구어: 대인적, 상황 의존적/문어 : 탈상황적, 단독적), 발화상활에 따라(구어: 화자, 청자 마주봄/문어: 글 쓰는 이 단독), 비언어적 보조 수단에 따라(구어: 화자, 청자의 존재/문어: 지면 위 시각적 기호), 언어 사용의 시간 요건에 따라(구어: 실시간적/문어: 보존적), 생각과 표현의 시간성에 따라(구어: 즉각적, 순차적/문어: 유보적, 반추), 표현과 전달의 시간성에 따라(구어: 실시간/문어: 보존적), 언어 사용의 의도성 요건에 따라(구어: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에 초점/문어: 정리된 생각의 표현에 초점) 다르게 나타난다.
4. 참고 및 문헌
김미형 ( Mi Hyoung Kim ), (한말연구, Vol.- No.15, [2004])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특징 연구”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11.13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