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 가지 놀이치료법의 특징 비교
1. 서론
2. 본론
2.1. 놀이치료의 개념
2.2. 세 가지 놀이치료법
1) 세계기법
2) 모래놀이치료
3) 모래상자치료
2.3. 각 치료법에서 치료자의 역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놀이치료의 개념
2.2. 세 가지 놀이치료법
1) 세계기법
2) 모래놀이치료
3) 모래상자치료
2.3. 각 치료법에서 치료자의 역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료는 아이들 자신이 치료 방향의 원천이 된다. 치료자의 행동은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치료자의 행동이 아동에게 곧바로 치료의 방법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먼저 치료자는 아동과 따뜻하고 친숙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 좋은 관계는 가능한 빨리 이루어질수록 유익하며, 치료자는 아이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또 치료자는 아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유롭고 허용 받는다는 느낌을 만들어주어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 치료자가 언어적 행동을 할 때 공감적인 반응을 해야 하고 틀을 제시하는 동시에 한계도 설정해 주어야 한다. 공감을 할 때는 아이의 생각과 행동 기저에 있는 감정을 강조해주어야 하며 치료자 자신이 이해하는 바를 말로 표현해야 한다. 한편 치료적인 기법을 활용할 때는 물리적인 위치, 비밀 보장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결론
세계보건기구에서 추정한 바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20%의 아동 및 청소년이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며, 우리나라의 아동 정신건강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유승은, \"구조적 가족치료를 활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아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2014, p.2
특히 지나친 경쟁과 학업에 대한 압박, 어린 시절의 상처 등으로 이들의 마음은 더욱 병들어가고 있는 것 같다. 아이들이 건강하지 못한 정신을 가지고 있을 때 아동 개인은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경험하며, 가족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게 부정적인 현실 속에서 놀이치료가 유용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놀이는 우리의 세계와 사랑하는 사람, 그리고 자신과 연결되는 통합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염두에 둘 때, 특별히 위에서 제시한 세계기법, 모래놀이치료, 모래상자치료는 아이들의 본능적 감각에 호소하는 새로운 심리치료 방안으로 발전되길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Charles E. Schaefer (김은정 역), “놀이치료의 기초”(제2판), 시그마프레스, 2015
유승은, \"구조적 가족치료를 활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아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2014., 명지대학교 대학원
이경하, “모래상자를 활용한 평가와 치료”, 한국재활심리학회 연수회, 2012,. 한국재활심리학회, 261-272.
크리스천투데이, 아동들에게 접근하기 쉽고 효과 극대화되는 \'놀이치료\', 2016.1.28
먼저 치료자는 아동과 따뜻하고 친숙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 좋은 관계는 가능한 빨리 이루어질수록 유익하며, 치료자는 아이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또 치료자는 아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유롭고 허용 받는다는 느낌을 만들어주어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 치료자가 언어적 행동을 할 때 공감적인 반응을 해야 하고 틀을 제시하는 동시에 한계도 설정해 주어야 한다. 공감을 할 때는 아이의 생각과 행동 기저에 있는 감정을 강조해주어야 하며 치료자 자신이 이해하는 바를 말로 표현해야 한다. 한편 치료적인 기법을 활용할 때는 물리적인 위치, 비밀 보장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결론
세계보건기구에서 추정한 바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20%의 아동 및 청소년이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며, 우리나라의 아동 정신건강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유승은, \"구조적 가족치료를 활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아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2014, p.2
특히 지나친 경쟁과 학업에 대한 압박, 어린 시절의 상처 등으로 이들의 마음은 더욱 병들어가고 있는 것 같다. 아이들이 건강하지 못한 정신을 가지고 있을 때 아동 개인은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경험하며, 가족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게 부정적인 현실 속에서 놀이치료가 유용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놀이는 우리의 세계와 사랑하는 사람, 그리고 자신과 연결되는 통합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염두에 둘 때, 특별히 위에서 제시한 세계기법, 모래놀이치료, 모래상자치료는 아이들의 본능적 감각에 호소하는 새로운 심리치료 방안으로 발전되길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Charles E. Schaefer (김은정 역), “놀이치료의 기초”(제2판), 시그마프레스, 2015
유승은, \"구조적 가족치료를 활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아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2014., 명지대학교 대학원
이경하, “모래상자를 활용한 평가와 치료”, 한국재활심리학회 연수회, 2012,. 한국재활심리학회, 261-272.
크리스천투데이, 아동들에게 접근하기 쉽고 효과 극대화되는 \'놀이치료\', 2016.1.2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