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분트와 구조주의
2) 제임스와 기능주의
3) 프로이트와 정신분석
4) 왓슨과 행동주의
5) 베르트하이머와 형태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분트와 구조주의
2) 제임스와 기능주의
3) 프로이트와 정신분석
4) 왓슨과 행동주의
5) 베르트하이머와 형태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측정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후 심리학은 인간 마음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요인들을 연구하고 그에 따른 정신과정에 초점을 맞추며 더욱더 확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발달과정과 설명방법들은 인간의 정신과정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모두 중요하며 현대의 심리학이 여러 분야로 발전하는 바탕이 되었다. 현대 심리학은 순수이론심리학과 응용심리학으로 연구 분야를 구분할 수 있으며 순수이론심리학 분야에는 생리심리학, 학습심리학,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성격심리학, 실험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이 있고 응용심리학 분야에는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산업조직심리학, 교육심리학, 학교심리학, 환경심리학 등이 있다. 이외에도 인간의 행동과 마음에 대한 모든 영역은 심리학의 연구 분야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심리학 분야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범죄와 관련된 것을 연구하는 범죄심리학이나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는 소비자심리학,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는 광고심리학 등 분야가 더욱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참고문헌
이억범·김미경 외 공저, 2014, 『심리학개론』, 서울:동문사
Daniel L. Schacter, 민경환·김명선·김영진 역, 2015, 『심리학입문』, 서울:시그마프레스
참고문헌
이억범·김미경 외 공저, 2014, 『심리학개론』, 서울:동문사
Daniel L. Schacter, 민경환·김명선·김영진 역, 2015, 『심리학입문』, 서울:시그마프레스
추천자료
교육행정학의 이론(고전이론, 인간관계론, 행동과학론, 체제이론, 해석이론, 대안적 이론)
[교육심리학공통] 1) 매슬로우(매슬로/Maslow)의 동기위계설 & 2) 에릭슨(Erikson)의 성...
영유아교사론B) 교육관에 따른 교사의 자질을 논하시고, 발달이론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하...
인간과교육
[인간과 교육 공통]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
심리학개론 ) 과학적 심리학이 시작된 배경을 기술하시오
심리학개론) 과학적 심리학이 시작된 배경에 대해 기술하세요 2378
인간과교육]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 인...
심리학개론 ) 과학적 심리학이 시작된 배경에 대해 기술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