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I. 자유연상
II. 해석
B. 대상관계 상담이론
I. 아동의 발달단계
1. 자폐단계(0~2개월)
2. 공생단계(2~6개월)
3. 분리-개별단계(6~24개월)
4. 재접근단계(16~24개월)
5. 대상항상성의 발달단계(24~36단계)
II. 개별성
III. 대상항상성
IV. 상담목표
C. 인간중심 상담이론
I. 상담의 목표
II. 상담원칙
III. 상담기법들
1. 진실성(일치성)
2.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존중
3. 공감적 이해
D. 행동주의 상담이론
I. 행동주의 사정기법
1. 행동주의적 면접
2. 구조화된 면접과 척도의 사용
3. 직접적인 관찰
II. 상담기법
1. 체계적 둔감법
2. 혐오법
3. 토큰 경제
4. 행동형성
5. 역할극
6. 모델링
E. 인지행동적 상담이론
I. 상담목표
II. 상담기법
1. 인지적 재구성
2. Ellis의 ABCDE모형
3. 자기교수훈련
* 참고문헌
I. 자유연상
II. 해석
B. 대상관계 상담이론
I. 아동의 발달단계
1. 자폐단계(0~2개월)
2. 공생단계(2~6개월)
3. 분리-개별단계(6~24개월)
4. 재접근단계(16~24개월)
5. 대상항상성의 발달단계(24~36단계)
II. 개별성
III. 대상항상성
IV. 상담목표
C. 인간중심 상담이론
I. 상담의 목표
II. 상담원칙
III. 상담기법들
1. 진실성(일치성)
2.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존중
3. 공감적 이해
D. 행동주의 상담이론
I. 행동주의 사정기법
1. 행동주의적 면접
2. 구조화된 면접과 척도의 사용
3. 직접적인 관찰
II. 상담기법
1. 체계적 둔감법
2. 혐오법
3. 토큰 경제
4. 행동형성
5. 역할극
6. 모델링
E. 인지행동적 상담이론
I. 상담목표
II. 상담기법
1. 인지적 재구성
2. Ellis의 ABCDE모형
3. 자기교수훈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거나 혹은 토큰을 제공하여 이 토큰을 모으면 아동들이 원하는 물건 등으로 교환할 수 있게 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수행하기 쉽기 때문에 비 상담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토큰경제를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범들이 있다.
자연스럽게 사회적 혹은 환경적으로 강화되기 쉬운 행동을 선택하기
원하는 목표 행동을 보이면 그 즉시 일관된 토큰을 제공하긴
내담자가 토큰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물건으로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자주 제공하기
물리적 강화물(토큰)을 서서히 줄여 가면서 사회적 강화물(칭찬)을 함께 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내담자의 내적 동기를 북돋우기
물리적 강화물을 서서히 줄여가면서 제거해 가는 대신, 사회적 강화물은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장기적으로 내적 동기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이 유지될 수 있게 하기
(4) 행동형성
행동형성은 복잡하거나 습득하기 어려운 행동을 여러 작은 단위로 쪼개어 조금씩 습득케 함으로써 최종적인 목표행동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작은 단위로 나누어 행동을 습득하게 하면 습득도 용이하고 습득 자체가 다음 행동에 대한 강화로 작용함으로 강화의 원리를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동이 처음으로 유치원에 가게 되어 이를 거부하고 울 때 유치원 가기까지의 행동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조그맣게 성취하도록 할 수 있다. 처음 단계로는 유치원 놀이터에서 놀아보기부터 시작, 유치원에 들어가 다른 아동이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하기, 어머니와 함께 유치원에서 지내보기 등 작은 단위에서 단계적으로 유치원에 가는 행동까지 성취한다.
(5) 역할극
역할극은 어떤 특정 이론에 근거로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역할극을 통해 내담자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보듯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역할극은 내담자들이 의사결정과정을 연습해 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아동들의 경우는 특히 역할극이나 행동시연을 통해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은 자신의 문제를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연기로써 직접 보여주는 경우 더 명료하게 잘 표현할 수 있으므로 역할극은 아동에게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역할극은 아동의 감정이입을 촉진하여 특히 자기중심적 사고를 가진 아동에게 효과적이다.
(6) 모델링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적절한 행동 대안들을 시법으로 보여주거나 영화, 비디오, 녹음테이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보여주어 내담자가 그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모델링 기법은 집단 상담의 셋팅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집단 상담의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역할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델링 기법을 사용할 때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충분한 모델링 경험과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E. 인지 행동적 상담이론
I. 상담목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신념체계를 찾아내어 이를 긍정적이고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는 것이다. 특히 Ellis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의 주요 목표는 개인이 자신의 부정적 행동과 자기 패배적인 신념을 긍정적이고 자율적인 것으로 바꿀 수 있는 \'선택\'의 힘이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이 스스로 선택하면 좀 더 긍정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며, 이후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질 수 있게 된다.
II. 상담기법
(1) 인지적 재구성
인지적 재구성은 내담자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이다.
첫째, 잘못된 사고체계나 정보처리에 있어서 잘못된 점을 발견하기
둘째, 잘못된 사고를 논의하기
셋째, 더욱 적절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기능을 이끌 수 있는 대안적인 인지를 찾기
(2) Ellis의 ABCDE 모형
Ellis는 비합리적인 사고와 신념 등으로 인해 부적절한 정서와 행동을 보이는 개인이 상담치료를 통해 변화되는 과정을 ABCDE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A(Activating events)는 선행사건, B(Belief)신념체계에 영향을 주어 C(Consequences) 결과가 나타나게 하는 것 : A 선행사건의 경우 인간의 사건을 유발하는 어떤 사건이나 현상을 의미한다. 시험에 떨어졌다든지, 친구와 싸웠다든지 등의 예를 들을 수 있다.
B는 신념체계의 경우 선행사건을 해석하는 잘못된 사고과정, 비합리적 신념이나 가치관 등이다. C 결과의 경우 선행사건에 대해 비합리적으로 결과 초래되는 부적절한 정서나 행동 등이다. 예를 들면, 걱정, 두려움, 불안, 화를 낸다든지, 부적한 행동을 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D(Dispute)는 부적절한 정서나 행동을 하는 내담자가 자신이 가진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가치관을 논박할 수 있도록 상담자가 도와준다. E(Effective)는 합리적 신념과 사고체계로 전환한 후 내담자가 갖게 되는 긍정적, 부정적 효과를 의미한다.
(3) 자기교수훈련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사고를 분석 하는 데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부정적인 자기기술들이 무엇인지 깨닫도록 하고 부정적 자기 기술들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데 초점을 둔다. 자기교수훈련 과정은 첫째는 상담자가 아동에게 소리내어 혼자 말을 하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 둘째는 타인에 의한 외적지도 과정으로 자기교수 내용을 말하며 이것을 아동이 보고 함께 따라하는 과정, 셋째는 외적 자기지도과정, 아까 배운 자기 교수내용을 모델 없이 자기 스스로 혼자서 큰 소리로 연습해 보는 과정, 넷째는 작은 목소리로 같은 내용을 스스로 혼자서 큰 소리로 연습해보는 과정, 다섯째는 내적 자기교수 과정으로 내적 언어를 통해 자기지도를 하는 과정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토큰경제를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범들이 있다.
자연스럽게 사회적 혹은 환경적으로 강화되기 쉬운 행동을 선택하기
원하는 목표 행동을 보이면 그 즉시 일관된 토큰을 제공하긴
내담자가 토큰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물건으로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자주 제공하기
물리적 강화물(토큰)을 서서히 줄여 가면서 사회적 강화물(칭찬)을 함께 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내담자의 내적 동기를 북돋우기
물리적 강화물을 서서히 줄여가면서 제거해 가는 대신, 사회적 강화물은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장기적으로 내적 동기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이 유지될 수 있게 하기
(4) 행동형성
행동형성은 복잡하거나 습득하기 어려운 행동을 여러 작은 단위로 쪼개어 조금씩 습득케 함으로써 최종적인 목표행동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작은 단위로 나누어 행동을 습득하게 하면 습득도 용이하고 습득 자체가 다음 행동에 대한 강화로 작용함으로 강화의 원리를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동이 처음으로 유치원에 가게 되어 이를 거부하고 울 때 유치원 가기까지의 행동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조그맣게 성취하도록 할 수 있다. 처음 단계로는 유치원 놀이터에서 놀아보기부터 시작, 유치원에 들어가 다른 아동이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하기, 어머니와 함께 유치원에서 지내보기 등 작은 단위에서 단계적으로 유치원에 가는 행동까지 성취한다.
(5) 역할극
역할극은 어떤 특정 이론에 근거로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역할극을 통해 내담자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보듯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역할극은 내담자들이 의사결정과정을 연습해 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아동들의 경우는 특히 역할극이나 행동시연을 통해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은 자신의 문제를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연기로써 직접 보여주는 경우 더 명료하게 잘 표현할 수 있으므로 역할극은 아동에게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역할극은 아동의 감정이입을 촉진하여 특히 자기중심적 사고를 가진 아동에게 효과적이다.
(6) 모델링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적절한 행동 대안들을 시법으로 보여주거나 영화, 비디오, 녹음테이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보여주어 내담자가 그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모델링 기법은 집단 상담의 셋팅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집단 상담의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역할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델링 기법을 사용할 때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충분한 모델링 경험과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E. 인지 행동적 상담이론
I. 상담목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신념체계를 찾아내어 이를 긍정적이고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는 것이다. 특히 Ellis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의 주요 목표는 개인이 자신의 부정적 행동과 자기 패배적인 신념을 긍정적이고 자율적인 것으로 바꿀 수 있는 \'선택\'의 힘이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이 스스로 선택하면 좀 더 긍정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며, 이후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질 수 있게 된다.
II. 상담기법
(1) 인지적 재구성
인지적 재구성은 내담자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이다.
첫째, 잘못된 사고체계나 정보처리에 있어서 잘못된 점을 발견하기
둘째, 잘못된 사고를 논의하기
셋째, 더욱 적절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기능을 이끌 수 있는 대안적인 인지를 찾기
(2) Ellis의 ABCDE 모형
Ellis는 비합리적인 사고와 신념 등으로 인해 부적절한 정서와 행동을 보이는 개인이 상담치료를 통해 변화되는 과정을 ABCDE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A(Activating events)는 선행사건, B(Belief)신념체계에 영향을 주어 C(Consequences) 결과가 나타나게 하는 것 : A 선행사건의 경우 인간의 사건을 유발하는 어떤 사건이나 현상을 의미한다. 시험에 떨어졌다든지, 친구와 싸웠다든지 등의 예를 들을 수 있다.
B는 신념체계의 경우 선행사건을 해석하는 잘못된 사고과정, 비합리적 신념이나 가치관 등이다. C 결과의 경우 선행사건에 대해 비합리적으로 결과 초래되는 부적절한 정서나 행동 등이다. 예를 들면, 걱정, 두려움, 불안, 화를 낸다든지, 부적한 행동을 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D(Dispute)는 부적절한 정서나 행동을 하는 내담자가 자신이 가진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가치관을 논박할 수 있도록 상담자가 도와준다. E(Effective)는 합리적 신념과 사고체계로 전환한 후 내담자가 갖게 되는 긍정적, 부정적 효과를 의미한다.
(3) 자기교수훈련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사고를 분석 하는 데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부정적인 자기기술들이 무엇인지 깨닫도록 하고 부정적 자기 기술들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데 초점을 둔다. 자기교수훈련 과정은 첫째는 상담자가 아동에게 소리내어 혼자 말을 하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 둘째는 타인에 의한 외적지도 과정으로 자기교수 내용을 말하며 이것을 아동이 보고 함께 따라하는 과정, 셋째는 외적 자기지도과정, 아까 배운 자기 교수내용을 모델 없이 자기 스스로 혼자서 큰 소리로 연습해 보는 과정, 넷째는 작은 목소리로 같은 내용을 스스로 혼자서 큰 소리로 연습해보는 과정, 다섯째는 내적 자기교수 과정으로 내적 언어를 통해 자기지도를 하는 과정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