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Lt. striatocapsular infraction
* infraction
*Striatocapsular infraction / cerebral infraction
1-1. transient ischemic attack/TIA
2. Rt. side weakness
3. aspirin
4. M/S
*M/S drowsy
5. ER / GW
6. self voiding
7. N-cath
8. Close observation
9. NCU
10. ICU
11. SP
12. intubation
13. tracheostomy
14. BRS
15. 아트로핀
16-1. Pupil reflex(Rt/Lt)
16-2. Pupil size(Rt/Lt)
16-3. Motor power grade(RU/LU/RL/LL)
16-4. Best eye/verbal/mortor response
*GCS
17. 스모프카비벤
18. 란투스
19. 휴마로그
20. sc
* infraction
*Striatocapsular infraction / cerebral infraction
1-1. transient ischemic attack/TIA
2. Rt. side weakness
3. aspirin
4. M/S
*M/S drowsy
5. ER / GW
6. self voiding
7. N-cath
8. Close observation
9. NCU
10. ICU
11. SP
12. intubation
13. tracheostomy
14. BRS
15. 아트로핀
16-1. Pupil reflex(Rt/Lt)
16-2. Pupil size(Rt/Lt)
16-3. Motor power grade(RU/LU/RL/LL)
16-4. Best eye/verbal/mortor response
*GCS
17. 스모프카비벤
18. 란투스
19. 휴마로그
20. sc
본문내용
vel of consciousness의 2단계에 해당하는 졸음이 오는 상태. 이름을 불러 깨웠을 때 졸린 상태이지만 질문이나 명령에 적절히 반응. 자극반응 느리고 불완전. 주의가 산만하고 생각에 일관성이 없음. 자발적인 움직임이 자제됨)로 ER내원하였다는 이력을 통해 뇌경색 전조증상인 의식소실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3) 최근 general weakness 호소 및 걸을 때 비틀거렸으며
(4) 11/22 계단에서 slip down하였고,
(5) 11/24 7pm경 TV 보던 중 갑자기 말을 이상하게 하고
M/S drowsy한 소견 보여 ER통해 GW 입원함.
(6) 입원 중 환자 self voiding 못하여 N-cath 시행함.
▶ general weakness - 쇠약감
▶ slip down - 미끄러져 넘어짐
▶ M/S drowsy - 신경계 LOC : Level of consciousness의 2단계에 해당하는
졸음이 오는 상태.
▶ ER - 응급실
▶ GW - 일반병동
▶ self voiding - 환자 스스로 소변을 보는 것
▶ N-cath - nelaton catheterization (단순도뇨)
뇌경색의 증상은 흔히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팔 혹은 다리의 근력 저하), 구음장애(발음이 어눌해지는 현상) 등이 있다.
노씨의 최근 증상을 살펴보면 (3) 쇠약감 호소 및 비틀거림, (4) 미끄러져 넘어짐 (5) 정상적인 발음 불가 및 불완전한 정신상태 (6) 스스로 소변배출 불가 이다.
위와 같은 노씨의 증상과 뇌경색의 초기 증상과 비교해보았을 때 (3),(4)는 감각이상 또는 편측마비, 혹은 갑작스런 시야장애까지 생각해 볼 수 있으며 (5)는 구음장애와 의식소실을 대입할 수 있다.
노씨의 (6) 증상은 신체마비로 인하여 반사작용이 불가함에 따라 소변을 조절하는 기관이 수축 혹은 이완된 상태로 고정되어 조절할 수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7) 그러던 중 갑자기 환자 의식저하되고 회복되지 않아
뇌혈전증으로 인한 뇌경색의 증상은 계단 모양으로 악화되며 허혈성 뇌졸중의 증상은 폐색된 혈관이 뇌조직의 어느 부위에 혈류를 공급하고 있었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생가능하다.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런 시야장애 및 의식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뇌경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편측마비 및 안면마비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좋아지는 방식으로 나타나므로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빈도 역시 높지 않다.
신경계
Pupil reflax (Rt)
O
O
O
Pupil reflax (Lt)
O
O
O
Pupil size (Rt)
2
2
2
Pupil size (Lt)
2
2
2
Motor power grande (RU)
0
0
0
Motor power grande (LU)
0
0
0
Motor power grande (RL)
1
1
0
Motor power grande (LL)
1
1
0
Best eye response (성인)
2
2
2
Best verbal response (성인)
2
2
2
Best motor response (성인)
2
2
2
GCS (성인)
6
6
6
▶ Pupil reflex(Rt/Lt) O : 수축 nomal
▶ Pupil size(Rt/Lt) O : 보통 2-4mm가 정상. 양쪽 동공크기 같음
▶ Motor power grade(RU/LU)
* RU-right upper / LU-left upper (예상)
~ G0 : 근 수축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
▶ Motor power grade(RL/LL)
* RL-rigt lower / LL-left lower (예상)
~ G1 : 약간의 근수축은 있으나, 능동적인 관절운동은 불가능 (정상근력의 약 10%)한 상태에서 G0 : 근 수축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변화
▶ Best eye/verbal/mortor response 6점
~ 3점 : 완전혼수 , 7점 : 거의 혼수.
(8) 11/28 close observation위해 NCU 이실감.
▶ Close observation - 면밀한 관찰
▶ NCU -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신경외과계 중환자실)
면밀한 관찰을 위해 신경외과 중환자실로 이실
(9) ICU 있는 동안 회복되지 않는 SPO2와 가래량 증가하여,
intubation 시행하고 기관 내 흡인 자주함.
▶ ICU : Intensive care Unit - 중환자실
▶ SPO2 - 맥박산소계측기로 측정한 산소포화도 96-100%가 정상수치.
정상수치 이하는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 intubation - 기관내삽관 (전신 마취시, 기계의 흡인이 필요한 응급상황에서 사용)
▶ 흡인 (suction) -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없을 때 사용,
배출이나 연하에 의해 분비물을 제거한다.
점액을 배출하거나 삼킬 수 있으면 더이상 하지 않는다.
9-1
뇌경색으로 인한 증상으로 나타난 의식저하 -> 자발적 기침반사 불가 -> 가래 축적 -> SP02 감소
9-2
SP02 감소 -> 의식저하
9-3
혈류 자체에 문제가 있어 혈관을 통해 산소운반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음.
(10) 얼마 후 내시경 가이드로 tracheostomy 시행.
( BRS 전처치로 아트로핀 1A IM함 )
▶ tracheostomy - 기관절개술
-위급한 상부 기도 폐색 시, 장기간 기계적 호흡 요구 시, 기관 내 삽관의 삽입기간이 길어질 때, 무의식 대상자의 분비물 흡입방지를 위함이다.
▶ 아트로핀 - 부교감신경차단계
신경전달물질의 한 가지로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어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기도 하며, 부교감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어 부교감신경의 전달을 담당하기도 하고, 뇌의 신경세포에서도 분비되어 여러가지 작용을 하는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의 역할을 차단하는 물질이다.
아트로핀 1A IM : 아트로핀 1 ampoule 근육주사
☞ 이후 환자상태 안정적으로 tracheostomy 유지하며 GW 이실됨.
(3) 최근 general weakness 호소 및 걸을 때 비틀거렸으며
(4) 11/22 계단에서 slip down하였고,
(5) 11/24 7pm경 TV 보던 중 갑자기 말을 이상하게 하고
M/S drowsy한 소견 보여 ER통해 GW 입원함.
(6) 입원 중 환자 self voiding 못하여 N-cath 시행함.
▶ general weakness - 쇠약감
▶ slip down - 미끄러져 넘어짐
▶ M/S drowsy - 신경계 LOC : Level of consciousness의 2단계에 해당하는
졸음이 오는 상태.
▶ ER - 응급실
▶ GW - 일반병동
▶ self voiding - 환자 스스로 소변을 보는 것
▶ N-cath - nelaton catheterization (단순도뇨)
뇌경색의 증상은 흔히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팔 혹은 다리의 근력 저하), 구음장애(발음이 어눌해지는 현상) 등이 있다.
노씨의 최근 증상을 살펴보면 (3) 쇠약감 호소 및 비틀거림, (4) 미끄러져 넘어짐 (5) 정상적인 발음 불가 및 불완전한 정신상태 (6) 스스로 소변배출 불가 이다.
위와 같은 노씨의 증상과 뇌경색의 초기 증상과 비교해보았을 때 (3),(4)는 감각이상 또는 편측마비, 혹은 갑작스런 시야장애까지 생각해 볼 수 있으며 (5)는 구음장애와 의식소실을 대입할 수 있다.
노씨의 (6) 증상은 신체마비로 인하여 반사작용이 불가함에 따라 소변을 조절하는 기관이 수축 혹은 이완된 상태로 고정되어 조절할 수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7) 그러던 중 갑자기 환자 의식저하되고 회복되지 않아
뇌혈전증으로 인한 뇌경색의 증상은 계단 모양으로 악화되며 허혈성 뇌졸중의 증상은 폐색된 혈관이 뇌조직의 어느 부위에 혈류를 공급하고 있었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생가능하다.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런 시야장애 및 의식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뇌경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편측마비 및 안면마비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좋아지는 방식으로 나타나므로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빈도 역시 높지 않다.
신경계
Pupil reflax (Rt)
O
O
O
Pupil reflax (Lt)
O
O
O
Pupil size (Rt)
2
2
2
Pupil size (Lt)
2
2
2
Motor power grande (RU)
0
0
0
Motor power grande (LU)
0
0
0
Motor power grande (RL)
1
1
0
Motor power grande (LL)
1
1
0
Best eye response (성인)
2
2
2
Best verbal response (성인)
2
2
2
Best motor response (성인)
2
2
2
GCS (성인)
6
6
6
▶ Pupil reflex(Rt/Lt) O : 수축 nomal
▶ Pupil size(Rt/Lt) O : 보통 2-4mm가 정상. 양쪽 동공크기 같음
▶ Motor power grade(RU/LU)
* RU-right upper / LU-left upper (예상)
~ G0 : 근 수축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
▶ Motor power grade(RL/LL)
* RL-rigt lower / LL-left lower (예상)
~ G1 : 약간의 근수축은 있으나, 능동적인 관절운동은 불가능 (정상근력의 약 10%)한 상태에서 G0 : 근 수축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변화
▶ Best eye/verbal/mortor response 6점
~ 3점 : 완전혼수 , 7점 : 거의 혼수.
(8) 11/28 close observation위해 NCU 이실감.
▶ Close observation - 면밀한 관찰
▶ NCU -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신경외과계 중환자실)
면밀한 관찰을 위해 신경외과 중환자실로 이실
(9) ICU 있는 동안 회복되지 않는 SPO2와 가래량 증가하여,
intubation 시행하고 기관 내 흡인 자주함.
▶ ICU : Intensive care Unit - 중환자실
▶ SPO2 - 맥박산소계측기로 측정한 산소포화도 96-100%가 정상수치.
정상수치 이하는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 intubation - 기관내삽관 (전신 마취시, 기계의 흡인이 필요한 응급상황에서 사용)
▶ 흡인 (suction) -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없을 때 사용,
배출이나 연하에 의해 분비물을 제거한다.
점액을 배출하거나 삼킬 수 있으면 더이상 하지 않는다.
9-1
뇌경색으로 인한 증상으로 나타난 의식저하 -> 자발적 기침반사 불가 -> 가래 축적 -> SP02 감소
9-2
SP02 감소 -> 의식저하
9-3
혈류 자체에 문제가 있어 혈관을 통해 산소운반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음.
(10) 얼마 후 내시경 가이드로 tracheostomy 시행.
( BRS 전처치로 아트로핀 1A IM함 )
▶ tracheostomy - 기관절개술
-위급한 상부 기도 폐색 시, 장기간 기계적 호흡 요구 시, 기관 내 삽관의 삽입기간이 길어질 때, 무의식 대상자의 분비물 흡입방지를 위함이다.
▶ 아트로핀 - 부교감신경차단계
신경전달물질의 한 가지로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어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기도 하며, 부교감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어 부교감신경의 전달을 담당하기도 하고, 뇌의 신경세포에서도 분비되어 여러가지 작용을 하는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의 역할을 차단하는 물질이다.
아트로핀 1A IM : 아트로핀 1 ampoule 근육주사
☞ 이후 환자상태 안정적으로 tracheostomy 유지하며 GW 이실됨.
추천자료
뇌졸증 case study
case study (뇌졸중)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뇌출혈(Intra Cerebral Hemorrhage)case
CASE STUDY(뇌내출혈)
노인 치매 간호과정 Case study.ppt
[성인간호학][뇌졸중][CVA]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Vascular Accident]
[성인간호학][CVA][뇌졸중]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vascular accident)
[성인간호학] [고혈압]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
뇌졸중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