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상부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부비동염 원인과 병태생리
5. 부비동염 증상과 징후
6. 부비동염 검사
7. 부비동염 치료
8. 부비동염 간호
9. 문헌고찰과 대상자 사례 비교 분석
Ⅱ. 사례 연구
1. 환자 입원 정보
2. 간호사정
Ⅲ. 출처
1. 상부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부비동염 원인과 병태생리
5. 부비동염 증상과 징후
6. 부비동염 검사
7. 부비동염 치료
8. 부비동염 간호
9. 문헌고찰과 대상자 사례 비교 분석
Ⅱ. 사례 연구
1. 환자 입원 정보
2. 간호사정
Ⅲ. 출처
본문내용
감염을 의미하므로 보고한다.
· 처방된 약물 진통제 충혈제거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 담배는 자극적이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한다.
· 알레르기로 부비동염이 생긴 경우 환경조절, 약물요법, 면역요법을 소개한다.
매일 6~8컵의 수분을 섭취하고 비강을 청결하게 한다. 아침 저녁으로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며 증기를 흡입하면 비강이 깨끗해진다.
① 식염수 세척
비강 식염수 세척은 비강 점액층의 가피를 제거하고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데 도움이 되며, 점액 섬모운동을 촉진하여 일시적이지만 콧물, 코 막힘과 후비루를 감소시켜 준다. 수증기 흡입과 생리식염수 분무의 병합요법은 압박증상과 비내 가피형성을 억제한다. 수증기 흡입치료 사이에 하루 5~6회 생리식염수 비내 분무가 적절함
· 식염수 세척방법
상용화된 코세척 기구나, 관장용 튜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세척 시 흘러나오는 분비물과 식염수를 받을 수 있도록 대야나 싱크대 위에 숙인 뒤 코에 기구 등을 삽입 하고 식염수를 분무한다. 이때 분무된 식염수는 반대쪽 코와 입으로 흘러 나오게 된다. 세균이 자라지 않도록 식염수와 기구를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필요한 양의 식염수를 덜어서 사용한 뒤 버리고 재사용은 하지 않는다.
② 학령기(후기) 아동과 관련된 간호
· 인지 발달적 측면
학령기는 6세부터 12세까지이며, 전기(6~7세), 중기(8~9세), 후기(10~12세)로 구분할 수 있다. 학령기 후기 아동은 객관적 시간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 조작을 지나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하는 추상적 사고의 단계로 다가선다. 이 시기의 사고는 구체적 내용에서 자유롭게 되기 위해서 가설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연속적으로 사고하기 시작한다. 또 비교적 자유롭게 관념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제적 조작에서 하는 조작을 명제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이차적 사고가 가능해진다. 형식적 조작의 면에서 성인의 사고와 본질적으로 다르지는 않지만 관념의 조작이 충분하지 않고 지식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차원이 높은 형식적 조작은 기대할 수 없다.
· 심리사회발달적 측면
근면성과 열등감이 발달되며 중요한 과업은 사회화이다.
9. 문헌고찰과 대상자 사례 비교 분석
문헌고찰
사례
원인
부비동의 자연공의 개방상태나 섬모의 운동, 점액의 성상 등에 이상이 생겨 점액의 정상적인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부비동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 발생원인 중에서는 자연공의 폐쇄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급성 코부비동염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비염, 치아감염, 외상, 해부학적 이상, 전신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대상자는 4월 6일에 시행한 RV virus 검사로 Rhinovirus A/B/C (HRV A/B/C) 가 ++결과 값이 나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비염이 원인이다.
증상
부비동 부위 통증
농성 분비물
비강폐색
충혈열과 권태
코막힘, 콧물, 후비루
기침, 발열 증상이 있다.
3월 22일부터 기침, 콧물, 가래가 시작되었음
4/6 ”기침 아침에 일어나서 많이 했고, 누런코가 심하게 나옴“
코 점막은 edema 관찰됨
검사
① 비강검사
② 단순 방사선검사 (X-ray)
③ 컴퓨터단층촬영술(CT)
④ 자기공명영상(MRI)
⑤ 혈액검사
① Hematology
② Urinalysis
③ Bloodㅁchemistry
④ RV virus 16종 검사
⑤ Micro culture(Urine)
⑥ Micro culture(Blood, 호기성)
⑦ BST
⑧ HCVAb(RIA)
치료
①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히 투여
②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를 유지
③ 발병의 선행요인을 개선
④ 점막수축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국소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사용
① 항생제 Cefotaxime Na 2g 8시간 마다 정맥내 직접 주사
②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를 유지
③항히스타민제, 거담제, 비염치료제, 감기용제 약물 투여
간호
·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해 하루 6-8컵의 물을 마심을 교육
· 분비물 배액을 위해 가습하거나 비강으로 증류수를 분무한다.
· vital sign 측정-체온이 38℃ 이상일 경우 감염을 의미하므로 보고
· 처방된 약물 진통제 충혈제거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 알레르기로 부비동염이 생긴 경우 환경조절, 약물요법, 면역요법을 소개
· 식염수 세척
· 심호흡과 기침 격려 기침시 흉부를 지지
· 흉부 물리요법 시행
· 수분 섭취 격려 및 투여
· 천식 관리에 대한 교육 함
· 항생제 투여
· 처방된 약물 진통제 충혈제거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 담배는 자극적이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한다.
· 알레르기로 부비동염이 생긴 경우 환경조절, 약물요법, 면역요법을 소개한다.
매일 6~8컵의 수분을 섭취하고 비강을 청결하게 한다. 아침 저녁으로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며 증기를 흡입하면 비강이 깨끗해진다.
① 식염수 세척
비강 식염수 세척은 비강 점액층의 가피를 제거하고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데 도움이 되며, 점액 섬모운동을 촉진하여 일시적이지만 콧물, 코 막힘과 후비루를 감소시켜 준다. 수증기 흡입과 생리식염수 분무의 병합요법은 압박증상과 비내 가피형성을 억제한다. 수증기 흡입치료 사이에 하루 5~6회 생리식염수 비내 분무가 적절함
· 식염수 세척방법
상용화된 코세척 기구나, 관장용 튜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세척 시 흘러나오는 분비물과 식염수를 받을 수 있도록 대야나 싱크대 위에 숙인 뒤 코에 기구 등을 삽입 하고 식염수를 분무한다. 이때 분무된 식염수는 반대쪽 코와 입으로 흘러 나오게 된다. 세균이 자라지 않도록 식염수와 기구를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필요한 양의 식염수를 덜어서 사용한 뒤 버리고 재사용은 하지 않는다.
② 학령기(후기) 아동과 관련된 간호
· 인지 발달적 측면
학령기는 6세부터 12세까지이며, 전기(6~7세), 중기(8~9세), 후기(10~12세)로 구분할 수 있다. 학령기 후기 아동은 객관적 시간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 조작을 지나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하는 추상적 사고의 단계로 다가선다. 이 시기의 사고는 구체적 내용에서 자유롭게 되기 위해서 가설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연속적으로 사고하기 시작한다. 또 비교적 자유롭게 관념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제적 조작에서 하는 조작을 명제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이차적 사고가 가능해진다. 형식적 조작의 면에서 성인의 사고와 본질적으로 다르지는 않지만 관념의 조작이 충분하지 않고 지식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차원이 높은 형식적 조작은 기대할 수 없다.
· 심리사회발달적 측면
근면성과 열등감이 발달되며 중요한 과업은 사회화이다.
9. 문헌고찰과 대상자 사례 비교 분석
문헌고찰
사례
원인
부비동의 자연공의 개방상태나 섬모의 운동, 점액의 성상 등에 이상이 생겨 점액의 정상적인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부비동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 발생원인 중에서는 자연공의 폐쇄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급성 코부비동염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비염, 치아감염, 외상, 해부학적 이상, 전신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대상자는 4월 6일에 시행한 RV virus 검사로 Rhinovirus A/B/C (HRV A/B/C) 가 ++결과 값이 나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비염이 원인이다.
증상
부비동 부위 통증
농성 분비물
비강폐색
충혈열과 권태
코막힘, 콧물, 후비루
기침, 발열 증상이 있다.
3월 22일부터 기침, 콧물, 가래가 시작되었음
4/6 ”기침 아침에 일어나서 많이 했고, 누런코가 심하게 나옴“
코 점막은 edema 관찰됨
검사
① 비강검사
② 단순 방사선검사 (X-ray)
③ 컴퓨터단층촬영술(CT)
④ 자기공명영상(MRI)
⑤ 혈액검사
① Hematology
② Urinalysis
③ Bloodㅁchemistry
④ RV virus 16종 검사
⑤ Micro culture(Urine)
⑥ Micro culture(Blood, 호기성)
⑦ BST
⑧ HCVAb(RIA)
치료
①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히 투여
②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를 유지
③ 발병의 선행요인을 개선
④ 점막수축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국소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사용
① 항생제 Cefotaxime Na 2g 8시간 마다 정맥내 직접 주사
②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를 유지
③항히스타민제, 거담제, 비염치료제, 감기용제 약물 투여
간호
·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해 하루 6-8컵의 물을 마심을 교육
· 분비물 배액을 위해 가습하거나 비강으로 증류수를 분무한다.
· vital sign 측정-체온이 38℃ 이상일 경우 감염을 의미하므로 보고
· 처방된 약물 진통제 충혈제거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 알레르기로 부비동염이 생긴 경우 환경조절, 약물요법, 면역요법을 소개
· 식염수 세척
· 심호흡과 기침 격려 기침시 흉부를 지지
· 흉부 물리요법 시행
· 수분 섭취 격려 및 투여
· 천식 관리에 대한 교육 함
· 항생제 투여
추천자료
케이스 스터디 (A.bronchitis, AGE, sinusitis)
충수돌기염 문헌고찰
뇌경색 케이스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소아과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폐렴 (pneumonia)
COPD(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관한 문헌고찰
위장염(gastroenteritis with Rota virus)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아동실습, ...
성인 간호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