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 마케팅의 개념
II. 비영리조직 마케팅 과정
III. 비영리조직 마케팅 전략
1. 마케팅 전략
2.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IV. 마케팅의 유형
* 참고문헌
II. 비영리조직 마케팅 과정
III. 비영리조직 마케팅 전략
1. 마케팅 전략
2.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IV. 마케팅의 유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일체의 프로모션 활동을 의미한다.
네 번째 P로서 가격은 표적시장이 원하는 \'바로 그 가격\'을 의미한다. 값싼 가격이라고 해서 구매자를 끄는 것은 아니다. 비싼 가격이라고 해서 구매자의 시선을 끌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구매자가 원하는 바로 그 가격이어야 판매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마케팅 믹스가 표적시장을 통제할 수 있을 때 마케팅 전략은 성공을 거둘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과 마케팅 믹스의 관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표적시장을 마케팅 믹스가 포위하고 있어야 표적시장의 공략에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림> 표적시장과 마케팅 믹스
2)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마케팅 전략을 기초로 하여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지만 두 가지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아래의 그림에서와 같이 마케팅 전략은 표적시장과 마케팅 믹스가 결합해 형성된다. 마케팅 전략과 시간별 세부계획 및 통제 절차를 합치면 마케팅 계획(marketing plan)이 만들어진다. 이 마케팅 계획과 기타 마케팅 계획이 결합되어야 비로소 마케팅 프로그램이 완성된다(Perreault, Jr. & McCarthy, 1998).
<그림>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IV. 마케팅의 유형
마케팅은 그 유형을 표적 마케팅(target marketing)과 대중 마케팅(mass marketing)으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Perreault, Jr. & McCarthy, 1998). 표적 마케팅은 특정의 고객이나 시장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마케팅으로서 특별한 취향을 갖추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마케팅 전략을 짠다. 대중 마케팅은 표적이 모호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마케팅으로서 모두 같은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계획을 짠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네 번째 P로서 가격은 표적시장이 원하는 \'바로 그 가격\'을 의미한다. 값싼 가격이라고 해서 구매자를 끄는 것은 아니다. 비싼 가격이라고 해서 구매자의 시선을 끌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구매자가 원하는 바로 그 가격이어야 판매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마케팅 믹스가 표적시장을 통제할 수 있을 때 마케팅 전략은 성공을 거둘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과 마케팅 믹스의 관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표적시장을 마케팅 믹스가 포위하고 있어야 표적시장의 공략에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림> 표적시장과 마케팅 믹스
2)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마케팅 전략을 기초로 하여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지만 두 가지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아래의 그림에서와 같이 마케팅 전략은 표적시장과 마케팅 믹스가 결합해 형성된다. 마케팅 전략과 시간별 세부계획 및 통제 절차를 합치면 마케팅 계획(marketing plan)이 만들어진다. 이 마케팅 계획과 기타 마케팅 계획이 결합되어야 비로소 마케팅 프로그램이 완성된다(Perreault, Jr. & McCarthy, 1998).
<그림>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IV. 마케팅의 유형
마케팅은 그 유형을 표적 마케팅(target marketing)과 대중 마케팅(mass marketing)으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Perreault, Jr. & McCarthy, 1998). 표적 마케팅은 특정의 고객이나 시장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마케팅으로서 특별한 취향을 갖추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마케팅 전략을 짠다. 대중 마케팅은 표적이 모호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마케팅으로서 모두 같은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계획을 짠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한국의 정(情) 중심 경영문화(국제화를 위한 제언)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이 필요한지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지 대해 논의
마케팅의 대상은 영리조직 뿐만 아니라 비영리조직도 포함됩니다. 비영리조직에서도 마케팅이...
사회복지기관의 획기적인 마케팅과 홍보기법에 대한 방한을 제시하십시오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
[홍보][PR][기업][대학][소방]기업홍보(기업PR), 대학홍보(대학PR), 소방홍보(소방PR), 인터...
비영리조직의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토론해 보시오.
[사회복지행정론] 비영리조직의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토론해 보시오
비영리조직의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토론해 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