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중동지역 외교환경
3.정체성 기반의 다자외교
4.중동 주요 국가의 외교정책
5.한국의 대중동외교
6.결론
토의주제
참고문헌
2.중동지역 외교환경
3.정체성 기반의 다자외교
4.중동 주요 국가의 외교정책
5.한국의 대중동외교
6.결론
토의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익과 더불어 인권, 자유와 평화 등 보편적 가치를 함께 추구하며 경제적 이해관계로만 중동을 보는 것을 넘어 중동평화 구축에 동참해야 한다.
토의주제
1.중동지역에 역사적으로 침착된 다양한 정체성의 층위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중동의 만성적 분쟁과 갈등은 외삽적 요인, 즉 식민지 유산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외삽요인 외에도 분쟁의 내재적 원인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3.중동지역의 외교환경을 설명하는 네 가지 요소, 분쟁이 만연한 불안정성, 정치체제의 다양성, 복합적 정체성 그리고 미국의 대외정책 요소 외에 어떤 다른 환경적 요소가 작동할 수 있을까?
4.미국의 최근 중동정책의 극적 대조는 부시독트린과 오바마의 대중동정책의 차이에서 나타난다. 각각을 구체적으로 대조해 보시오.
5.수니-시아간 종파갈등은 무려 1400년 전의 역사로부터 발원한 갈등이다. 이렇게 오래된 역사의 한 사건이 현재시제의 정치적 사안을 규정할 수 있다고 믿는가? 믿는다면 그 근거를, 믿지 않는다면 최근 분쟁을 설명하는 요인이 무엇일지 토의해보시오.
6.미국의 대 이스라엘, 대 이란정책의 변화구도가 조성된 이유는 무엇일까?
7.GCC, 아랍연맹, OIC 각각의 기능과 역할, 외교 중점을 토의해보고, 역할분담의 요소와 상충의 요소를 찾아보라.
8.중동에서 왕정은 언제까지 존속될 수 있을까? 영구히 존속된다면 어떤 외교적 조건하에서 가능할까?
9.한국의 대중동외교는 그동안 경제우선 원칙을 철저히 반영해왔다. 이제 정무적으로 눈길을 돌린다면 어떤 중동이슈가 우리의 대중동정책에 가장 긴요하고 적합할까?
10.중동에 궁극적인 평화가 도래하려면 역내 당사자, 세계열강, 그리고 한국과 같은 중견국이 어떤 비전을 갖고 외교력을 발휘해야 할까?
참고문헌
1.한글문헌
인남식, “2015 이스라엘 총선 결과와 미-이스라엘 관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분석 시리즈, 2015. 4.16
“사우디 살만 국왕체제 등장과 향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시리즈, 2015, 2, 24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단교를 둘러싼 종파분쟁의 격화.” 국립외교원 IFANS Focus 2016. 1. 4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동정책: 아시아 재균형 정책과의 상관성.”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정책연구과제 시리즈, 2015.
“이란 핵협상 타결의 함의와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시리즈, 2015,7,24.
“터키 신중동정책의 함의와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주요국제문제분석시리즈, 2010,7,12, 한상용, 최재훈 IS는 왜?, 서울: 서해문집, 2015.
2.영어문헌
Anderson, Ewan W., Liam and D. Anderson, An Atlas of Middle Eastern Affairs, London: Routledge, 2010.
Bill, James A., and Robert Springborg, Politics in the Midle East 5th edition, New York: Longman, New York, 2000.
Cleveland, William L, The Marking of an Arab Na-tionalist, Princet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1.
Fawcett, Louis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Middle East. 3rd ed,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Gasiorowski, M,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Boulder: Westview Press, 2014.
Gasper, Michael, “The Making of the Modern History.” in Ellen Lust(ed), The Middle East. London : Sage Publications, 2014.
Hinnenbusch R, and Anoush Ehteshami, The Foreign Policies of Middle East States, London: Lynne Rienner, 2002.
Kamrave, Mehran, The Modern Middle East, Berkely: Ibn, The Muqaddimah: An Introduction to History, translated by Franz Rosenthal, 2nd edtion, Bollingen Series 43(Princeton:Prinecton University Press, 1967), Vol, 1, pp, 261-265.
Liliu, Jean-pierre, From Deep State to Islamic State: The Arab Counter-Revolutin and Its Jihadi Legac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McCants, William, The ISIS Apocalypse: The History, Straregy and Doomsday Vision of the Islamic State, New York: St, Martins Press, 2015.
Milton-Edwards, Beverley, Contemporary Politics in the Middle East, Cambridge: Politiy Press 2011.
Rydelnik, Michael A, Understanding The Arab-Israeli Conflict: What the Headlines Have not Told You, Chicago: Moody Publishers, 2007.
Sharoni, Simons and Mohammed Abu-Nimer, “Ther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n Jillian Schwedler and Deborah J, Gerne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London: Lynne Rienner, 2008
토의주제
1.중동지역에 역사적으로 침착된 다양한 정체성의 층위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중동의 만성적 분쟁과 갈등은 외삽적 요인, 즉 식민지 유산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외삽요인 외에도 분쟁의 내재적 원인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3.중동지역의 외교환경을 설명하는 네 가지 요소, 분쟁이 만연한 불안정성, 정치체제의 다양성, 복합적 정체성 그리고 미국의 대외정책 요소 외에 어떤 다른 환경적 요소가 작동할 수 있을까?
4.미국의 최근 중동정책의 극적 대조는 부시독트린과 오바마의 대중동정책의 차이에서 나타난다. 각각을 구체적으로 대조해 보시오.
5.수니-시아간 종파갈등은 무려 1400년 전의 역사로부터 발원한 갈등이다. 이렇게 오래된 역사의 한 사건이 현재시제의 정치적 사안을 규정할 수 있다고 믿는가? 믿는다면 그 근거를, 믿지 않는다면 최근 분쟁을 설명하는 요인이 무엇일지 토의해보시오.
6.미국의 대 이스라엘, 대 이란정책의 변화구도가 조성된 이유는 무엇일까?
7.GCC, 아랍연맹, OIC 각각의 기능과 역할, 외교 중점을 토의해보고, 역할분담의 요소와 상충의 요소를 찾아보라.
8.중동에서 왕정은 언제까지 존속될 수 있을까? 영구히 존속된다면 어떤 외교적 조건하에서 가능할까?
9.한국의 대중동외교는 그동안 경제우선 원칙을 철저히 반영해왔다. 이제 정무적으로 눈길을 돌린다면 어떤 중동이슈가 우리의 대중동정책에 가장 긴요하고 적합할까?
10.중동에 궁극적인 평화가 도래하려면 역내 당사자, 세계열강, 그리고 한국과 같은 중견국이 어떤 비전을 갖고 외교력을 발휘해야 할까?
참고문헌
1.한글문헌
인남식, “2015 이스라엘 총선 결과와 미-이스라엘 관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분석 시리즈, 2015. 4.16
“사우디 살만 국왕체제 등장과 향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시리즈, 2015, 2, 24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단교를 둘러싼 종파분쟁의 격화.” 국립외교원 IFANS Focus 2016. 1. 4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동정책: 아시아 재균형 정책과의 상관성.”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정책연구과제 시리즈, 2015.
“이란 핵협상 타결의 함의와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시리즈, 2015,7,24.
“터키 신중동정책의 함의와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주요국제문제분석시리즈, 2010,7,12, 한상용, 최재훈 IS는 왜?, 서울: 서해문집, 2015.
2.영어문헌
Anderson, Ewan W., Liam and D. Anderson, An Atlas of Middle Eastern Affairs, London: Routledge, 2010.
Bill, James A., and Robert Springborg, Politics in the Midle East 5th edition, New York: Longman, New York, 2000.
Cleveland, William L, The Marking of an Arab Na-tionalist, Princet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1.
Fawcett, Louis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Middle East. 3rd ed,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Gasiorowski, M,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Boulder: Westview Press, 2014.
Gasper, Michael, “The Making of the Modern History.” in Ellen Lust(ed), The Middle East. London : Sage Publications, 2014.
Hinnenbusch R, and Anoush Ehteshami, The Foreign Policies of Middle East States, London: Lynne Rienner, 2002.
Kamrave, Mehran, The Modern Middle East, Berkely: Ibn, The Muqaddimah: An Introduction to History, translated by Franz Rosenthal, 2nd edtion, Bollingen Series 43(Princeton:Prinecton University Press, 1967), Vol, 1, pp, 261-265.
Liliu, Jean-pierre, From Deep State to Islamic State: The Arab Counter-Revolutin and Its Jihadi Legac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McCants, William, The ISIS Apocalypse: The History, Straregy and Doomsday Vision of the Islamic State, New York: St, Martins Press, 2015.
Milton-Edwards, Beverley, Contemporary Politics in the Middle East, Cambridge: Politiy Press 2011.
Rydelnik, Michael A, Understanding The Arab-Israeli Conflict: What the Headlines Have not Told You, Chicago: Moody Publishers, 2007.
Sharoni, Simons and Mohammed Abu-Nimer, “Ther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n Jillian Schwedler and Deborah J, Gerne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London: Lynne Rienner, 2008
추천자료
중동 ∙ 미국 ∙ 이스라엘의 관계
한국의 비전과 미래 (사례연구 : 아랍에미리트의 국가성공모델 연구)
미국 부시 행정부의 대테러 외교정책에 대한 연구 - 2003년 이라크 전쟁을 중심으로 -
[중동][쿠웨이트][이란][이라크]중동의 역사, 쿠웨이트의 정치, 쿠웨이트의 사회 및 쿠웨이트...
[미국외교정책][외교정책][미국외교][대외정책]미국 외교정책의 이념, 미국 외교정책의 특성,...
북한 외교정책의 변화와 우리의 과제
외교통상부의직무
미국 사회의 특징, 형성, 체재, 신 제국주의, 미국의 외교정책, 한미외교, 국제사회 속의 한...
소련의 중동 정책 -소련 정권 탄생부터 붕괴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