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형처럼 자라나는 것이 아니라, 기성세대와 다른 생각, 자유로운 표현과 개성으로 당당하게 자라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억압, 착취, 전쟁, 불화, 공포, 이기심, 탐욕, 증오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유, 평등, 평화, 우애, 협동, 사랑을 가르치며 아이들은 모든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렇게 해서 있어야 할 것들이 없다면 만들어 내고, 없어야 할 것이 있으면 없애 버릴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아이들로서 건강한 파괴자로 자라야 할 것이다.
이 단락을 읽으면서 선생님이라는 직업을 넘어서 선생님은 어떤 사람인지, 교육과 배움과 가르침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하여 다시금 깊게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나 또한 어른으로서 부모로서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거울’을 보듯이 내 모습을 들여다보는 기회가 되었다.
작은 학교는 우리가 꿈꾸는 가장 이상적인 학교의 모습을 실천하고 있는 곳이다.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고, 아이들에게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닌 보여주는 학교이다. 우리의 학교가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을 넘어 삶을 공유하는 생활의 장을 마련해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쩌면 산업화라는 거대하고 대단해 보이는 포장으로 교육의 단추가 잘못 꿰어져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가 된다. ‘사람이 이 세상에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근본 물음은 교육뿐만 아니라 인간이 하는 모든 일에 있어 늘 염두에 두어야 할 질문이 아닐까.
참고문헌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편집부 엮음, 1997.
http://www.riss.kr/link?id=M1130346
억압, 착취, 전쟁, 불화, 공포, 이기심, 탐욕, 증오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유, 평등, 평화, 우애, 협동, 사랑을 가르치며 아이들은 모든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렇게 해서 있어야 할 것들이 없다면 만들어 내고, 없어야 할 것이 있으면 없애 버릴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아이들로서 건강한 파괴자로 자라야 할 것이다.
이 단락을 읽으면서 선생님이라는 직업을 넘어서 선생님은 어떤 사람인지, 교육과 배움과 가르침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하여 다시금 깊게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나 또한 어른으로서 부모로서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거울’을 보듯이 내 모습을 들여다보는 기회가 되었다.
작은 학교는 우리가 꿈꾸는 가장 이상적인 학교의 모습을 실천하고 있는 곳이다.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고, 아이들에게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닌 보여주는 학교이다. 우리의 학교가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을 넘어 삶을 공유하는 생활의 장을 마련해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쩌면 산업화라는 거대하고 대단해 보이는 포장으로 교육의 단추가 잘못 꿰어져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가 된다. ‘사람이 이 세상에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근본 물음은 교육뿐만 아니라 인간이 하는 모든 일에 있어 늘 염두에 두어야 할 질문이 아닐까.
참고문헌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편집부 엮음, 1997.
http://www.riss.kr/link?id=M1130346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
교육사회학)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해...
[전학과] 교육사회학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
교육사회학)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해서 자신의 의견을 가지고 작성...
2019년 2학기 교육사회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작은학교가 아름답다)
[방통대 유아교육과 3학년 교육사회학 공통]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