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의 영역에서 커플상담을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부부상담 장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과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의 영역에서 커플상담을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부부상담 장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과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대 부부상담의 문제점
2. 한국문화와 한국 가족관계의 특성
3. 현대 한국 부부의 특징
4. 부부치료접근
5. 과거와 현대의 차이

본문내용

가 상당히 크다. 부부 당사자 둘의 갈등도 크지만 여기에 부부의 부모세대의 부부역할 인식이 개입하여 문제를 더 크게 만들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는 적지 않다. 이 때 한쪽이 상당기간을 일방적으로 참고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지속적인 부부상담이 필수적이다.
3) 성 문제 :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부부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말부부, 주중부부, 기러기아빠, 편부모가정 등 부부 당사자가 떨어져 지내는 형태가 많으며, 부부 당사자가 함께 살더라도 \'오피스와이프(회사에 있는 아내)\', \'오피스허즈번드(회사에 있는 남편)\'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외도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이들의 성 문제는 자칫 부부 당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번질 수 있다.
6. 설문사례
공감과 용서이 매개변인을 중심으로 부부갈등과 분노, 공격성,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경로 모형을 통하여 검증한 연구를 소개하고자한다. 000은 부부갈등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도,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의 기혼 남(340명)녀(320명)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1200부를 배부, 979부를 회수하여 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는 부부갈등 척도, 공감척도, 용서척도, 분노척도, 공격성척도, 결혼만족도척도를 사용하였고,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 t 검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통계내었다. 그 결과 부부갈등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분노와 공격성 수준은 더 높고, 결혼 만족도 수준은 낮았으며, 배우자에 대한 공감과 용서의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수준이 높을수록 용서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영숙, 김봉환(2009), <상담일반 :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2), 685-693쪽 참조 및 인용.
이 연구를 통하여 현대 한국 부부들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용서를 활용할 가치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는 가치관 변화, 부부역할의 변화를 극심히 겪고 있는 현대 한국 부부들에게 큰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장성숙(2006), <한국문화에서의 부부상담: 현실역동 상담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5), 117-131쪽.
양영숙, 김봉환(2009), <상담일반 :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2), 683-699쪽.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12.09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9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