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 정체성
1) 성 정체성의 개념
2) 성 정체성 장애
3) 성 정체성 장애의 종류
2. 커밍아웃
1) 커밍아웃의 개념
2) 커밍아웃의 과정
3. 커밍아웃에 대한 생각과 전략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성 정체성
1) 성 정체성의 개념
2) 성 정체성 장애
3) 성 정체성 장애의 종류
2. 커밍아웃
1) 커밍아웃의 개념
2) 커밍아웃의 과정
3. 커밍아웃에 대한 생각과 전략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생각과 전략
커밍아웃은 어쨌든 자신의 답답한 내면의 감추어진 부분을 드러내는 행위라는 점에서 커밍아웃을 결심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일에는 시간과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많은 성 소수자들이 편견과 차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부모나 형제자매와 같은 가까운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성적 지향을 알리지 않은 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가까운 누군가가 성 소수자임을 숨기지 않고 나에게 고백해 온다면 먼저 그가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이것을 떳떳하게 세상에 드러내겠다는 용기를 보여주었다는 점과 내가 그를 수치스러워하거나 부끄럽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믿어주었다는 점을 먼저 생각하고 그 부분에 대한 마음을 표현할 것이다.
그리고 나에게 커밍아웃을 해 준 가까운 사람이 성 소수자로서 살아가는 것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에 빠지지 않도록 정서적 지지를 지속해서 보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성 소수자를 포함한 누구나 자신의 삶을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지지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지만, 성 소수자를 향한 사회적 시선은 그것을 쉽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다. 한편, 나 이외의 주변인 중에 어떤 사람에게 커밍아웃했는지 살피고, 가까운 사람 중에 심리적,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인물에게 커밍아웃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게 협조하거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사회적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찾아보는 역할 또한 필요할 것이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남성, 여성으로 이해하고 살아간다. 그러나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생물학적 성이 제대로 받아들여 지지 않아 성 정체성과 성 역할에 혼란이 생기는 것은 성 정체성에 대한 장애로 인식된다. 커밍아웃을 결정하는 성 소수자 역시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범주를 벗어난 비정상의 장애로 살아가는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성 소수자가 커밍아웃하는 데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이처럼 사회가 이들을 향해 보내는 편견의 시선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커밍아웃을 결심하고 실천하는 사람을 향한 따뜻하고 편향되지 않은 시선과 이들을 우리와 다를 것 없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성교육 성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상원 지음, 교육출판사, 2000)
혐오의 시대에 맞서는 성소수자에 대한 12가지 질문 (한국성소수자연구회, 2016)
커밍아웃은 어쨌든 자신의 답답한 내면의 감추어진 부분을 드러내는 행위라는 점에서 커밍아웃을 결심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일에는 시간과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많은 성 소수자들이 편견과 차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부모나 형제자매와 같은 가까운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성적 지향을 알리지 않은 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가까운 누군가가 성 소수자임을 숨기지 않고 나에게 고백해 온다면 먼저 그가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이것을 떳떳하게 세상에 드러내겠다는 용기를 보여주었다는 점과 내가 그를 수치스러워하거나 부끄럽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믿어주었다는 점을 먼저 생각하고 그 부분에 대한 마음을 표현할 것이다.
그리고 나에게 커밍아웃을 해 준 가까운 사람이 성 소수자로서 살아가는 것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에 빠지지 않도록 정서적 지지를 지속해서 보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성 소수자를 포함한 누구나 자신의 삶을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지지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지만, 성 소수자를 향한 사회적 시선은 그것을 쉽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다. 한편, 나 이외의 주변인 중에 어떤 사람에게 커밍아웃했는지 살피고, 가까운 사람 중에 심리적,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인물에게 커밍아웃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게 협조하거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사회적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찾아보는 역할 또한 필요할 것이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남성, 여성으로 이해하고 살아간다. 그러나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생물학적 성이 제대로 받아들여 지지 않아 성 정체성과 성 역할에 혼란이 생기는 것은 성 정체성에 대한 장애로 인식된다. 커밍아웃을 결정하는 성 소수자 역시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범주를 벗어난 비정상의 장애로 살아가는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성 소수자가 커밍아웃하는 데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이처럼 사회가 이들을 향해 보내는 편견의 시선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커밍아웃을 결심하고 실천하는 사람을 향한 따뜻하고 편향되지 않은 시선과 이들을 우리와 다를 것 없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성교육 성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상원 지음, 교육출판사, 2000)
혐오의 시대에 맞서는 성소수자에 대한 12가지 질문 (한국성소수자연구회,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