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가족생활교육
II. 부부교육
III. 부모교육
IV.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 참고문헌
II. 부부교육
III. 부모교육
IV.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가 자녀를 이해하고 돕고 지도하는 데 필요한 지식 능력 태도 등을 익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즉 부모교육은 부모는 자신이 자녀의 모든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여 보호자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녀의 성장 발달 교육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부모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서 부모와 자녀에게 변화를 주는 것이다.
한편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을 조사해 보면 정보나누기, 기술훈련, 자기인식 증진시키기, 문제해결하기 등의 4가지 영역 중 일부가 부모교육의 목적이 된다.
IV.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최근 들어 맞벌이가족, 한(홀)부모가족, 계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족, 입양가족, 무자녀가족, 사이버가족 및 독신가구의 증가, 동거남녀의 증가, 사이버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함에 따라 이들 다양한 가족의 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가족구성원의 적응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재혼가족의 경우 재혼으로 인해 가족구성원들은 새로운 가족내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렇게 새롭게 부여된 가족내 지위와 역할에 대한 적응을 도울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가족구성원들은 가족생활교육을 통해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대처할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연을 중시하는 문화적 배경에 의해 입양가족은 사회로부터 \'부정적인 시각\'을 경험하게 되는데, 가족생활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편견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즉 부모교육은 부모는 자신이 자녀의 모든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여 보호자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녀의 성장 발달 교육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부모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서 부모와 자녀에게 변화를 주는 것이다.
한편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을 조사해 보면 정보나누기, 기술훈련, 자기인식 증진시키기, 문제해결하기 등의 4가지 영역 중 일부가 부모교육의 목적이 된다.
IV.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최근 들어 맞벌이가족, 한(홀)부모가족, 계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족, 입양가족, 무자녀가족, 사이버가족 및 독신가구의 증가, 동거남녀의 증가, 사이버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함에 따라 이들 다양한 가족의 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가족구성원의 적응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재혼가족의 경우 재혼으로 인해 가족구성원들은 새로운 가족내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렇게 새롭게 부여된 가족내 지위와 역할에 대한 적응을 도울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가족구성원들은 가족생활교육을 통해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대처할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연을 중시하는 문화적 배경에 의해 입양가족은 사회로부터 \'부정적인 시각\'을 경험하게 되는데, 가족생활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편견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키워드
추천자료
- 여성학[女性學] 여성과 사회
- 미술교육
- 초등5)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 -14. 기차를 타고 (교과서 32-33쪽, (2/4)차시) ...
- [기초간호학 공통] 1.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
- [기초간호학 공통] 1.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
-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가 아동복지에 비해서 다른 특성에 대해서 작성해보세요 - 청소년복지
- 이야기치료기법
-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주요내용 및 차이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