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중앙부처
1. 보건복지부
2. 여성가족부
3. 노동부
II. 지방자치단체
*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2. 여성가족부
3. 노동부
II. 지방자치단체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복지정책을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은 광역시 도 단위에서는 여성정책국, 보건복지여성국, 복지환경정책국 등의 명칭으로 구성되어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환경부의 보건복지, 여성환경 부문의 직무를 다루고 있으며 기초자치단체인 시 군 구에서는 문화복지과, 시민복지과, 사회복지과, 가족여성과 또는 가정복지과 등의 명칭으로 다양하게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읍 면 동사무소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업무와 함께 아동, 노인, 장애인, 모 부자가정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업무를 관장하며 종합적인 복지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가족복지정책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사회복지 직렬이 생기기 이전에는 지방행정직 공무원과 별정직 공무원이 담당하여 왔으나 2000년부터 사회복지직렬이 신설되면서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혹은 지방행정 공무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읍 면 동사무소에서는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이 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업무를 행정적으로 담당하면서 아동, 노인, 장애인, 저소득 모 부자가정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통합적 서비스체계에 의하여 읍 면 동사무소는 주민자치센터로 구분되어 주민복지와 민원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2006년 7월부터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사회복지를 포함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행정체계를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읍 면 동형의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1988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실시된 지방자치단체는 광역지자체인 특별시, 광역시 도와 기초지자체인 시 군 구가 존재하며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별로 가족복지 관련 업무가 다르게 편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서울특별시의 경우, 여성가족정책관의 상위로서 여성보육청소년 저출산 관련 업무를 관장하고, 그 산하에 보건강국을 편재하여 기초생활보장 노인 장애인의 복지업무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로 서울특별시 산하 기초지자체에 해당하는 동작구의 경우에는 주민생활지원국산하에 주민생활지원과, 사회복지과, 가정복지과를 두고 사회복지 종합계획 및 실행, 보육시설 운영, 노인 장애인 여성의 기초생활보장 및 생계지원사업 등을 주관하고 있다.
<그림> 대도시형 주민생활지원국 운영체계
<그림> 중, 소도시형 주민생활지원국(과)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지방자치단체에서 가족복지정책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사회복지 직렬이 생기기 이전에는 지방행정직 공무원과 별정직 공무원이 담당하여 왔으나 2000년부터 사회복지직렬이 신설되면서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혹은 지방행정 공무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읍 면 동사무소에서는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이 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업무를 행정적으로 담당하면서 아동, 노인, 장애인, 저소득 모 부자가정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통합적 서비스체계에 의하여 읍 면 동사무소는 주민자치센터로 구분되어 주민복지와 민원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2006년 7월부터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사회복지를 포함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행정체계를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읍 면 동형의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1988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실시된 지방자치단체는 광역지자체인 특별시, 광역시 도와 기초지자체인 시 군 구가 존재하며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별로 가족복지 관련 업무가 다르게 편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서울특별시의 경우, 여성가족정책관의 상위로서 여성보육청소년 저출산 관련 업무를 관장하고, 그 산하에 보건강국을 편재하여 기초생활보장 노인 장애인의 복지업무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로 서울특별시 산하 기초지자체에 해당하는 동작구의 경우에는 주민생활지원국산하에 주민생활지원과, 사회복지과, 가정복지과를 두고 사회복지 종합계획 및 실행, 보육시설 운영, 노인 장애인 여성의 기초생활보장 및 생계지원사업 등을 주관하고 있다.
<그림> 대도시형 주민생활지원국 운영체계
<그림> 중, 소도시형 주민생활지원국(과)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