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논문 ) 영아의 놀이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논문 ) 영아의 놀이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문제
제 2 장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도구
2.2.1 놀이성 척도
2.2.2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 척도
2.3 자료 수집 절차
2.4 자료 분석 절차
제 3 장 연구 결과
3.1 각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척도 및 교육기관 적응 척도 분석 결과
3.2 영아의 놀이성 척도의 총점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총점의 상관관계
3.3 영아의 놀이성 척도의 총점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3.4 영아의 놀이성 척도 각 하위항목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총점 간의 상관관계
3.5 영아의 놀이성 척도의 각 하위항목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3.5.1 신체적 자발성과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3.5.2 사회적 자발성과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3.5.3 인지적 자발성과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3.5.4 즐거움의 표현과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3.5.5 유머 감각과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제 4 장 연구 결과의 해석
4.1 각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척도 및 교육기관 적응 척도 분석 결과
4.2 영아의 놀이성 척도의 총점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총점의 상관관계
4.3 영아의 놀이성 척도의 총점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4.4 영아의 놀이성 척도 각 하위항목과 교육기관 적응 척도 각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
제 5 장 논의 및 결론
제 6 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드러났다. 이는 즐거움과 기쁨을 스스럼없이 표현하고 긍정적으로 스스로를 바라보고 평가하는 영아의 경우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표 중 하나인 또래 관계는 사회적 자발성이 높을수록 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기의 핵심요소의 하나인 애착형성과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으며, 영아가 가정에서 원만하게 부모와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다시 교육기관에서 교사와 이중적인 애착형성을 진행하여 안정애착 관계를 이룩한 경우 또래와의 갈등 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또래와의 놀이 활동에서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어 교육기관에의 적응이 용이하기 때문이다.20)
다섯째,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표 중 하나인 자아강도는 신체적 자발성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신체 발달의 진행이 우수한 영아의 경우 자발적 행동이 용이하므로 자율성과 주체성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영아의 교유기관 적응의 지표 중 일과에 대한 적응은 사회적 자발성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영아가 긴 하루일과를 교육기관에서 보내면서 또래 집단과 놀잇감을 나누고 상호 간의 접근과 이에 대한 반응을 진행하며 기관에의 적응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판단하면 영아의 놀이성이 영아의 교육기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및 즐거움의 표현이라 할 수 있지만 이외의 영역도 이와 유사한 수준으로 영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연구는 일곱명의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므로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점이 존재하므로 연구대상 및 연구지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제 6 장 참고문헌
1)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2018
2) ‘만2세 영아의 정서표현과 교사의 반응 탐색’, 이정숙,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제9권 제2호, 2013
3) ‘만2세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및 놀이성의 관계’, 송혜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4) ‘The structure of anxiety symptoms among preschoolers.’, Spence, S. H., Rapee, R., Mc Donald, C, & Ingram, M.,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1.
5)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research.’, Rimm-Kaufinan, S. E., & Pianta, R. C.,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000.
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송진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04.
7)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관계의 변인 분석’, 박정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8) ‘Play and playfulness, basic featur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ger. E,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13.
9)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Barnett, L. A., 「Play & culture」, 1990.
10) ‘Playful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Lieberman, J. 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965.
11) ‘Evaluating Playfulness: Construct Validity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Trevlas, E., Grammatikopoulos, V., Tsigilis, N., & Zachopoulou, 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003.
12) 「놀이와 아동발달」, Hughes, F. P. 저,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시그마프레스, 2012.
13) ‘Characterizing playfulness: The adaptive powers of being playful.’, 「Play & Culture Studies: Diversions and Divergences in Fields of Play」, 1998.
14) ‘유아의 놀이성 및 대인 문제 해결력과 적응과의 관계’, 김영희 「놀이치료연구」, 1998.
15) ‘부적응 유아를 위한 교사놀이치료 과정의 교육적 의미’, 김태인,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16) ‘어머니 및 보육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따른 정서적 행동문제’ 김영명,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17) ‘교사-유아 간 애착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 홍계옥, 「한국부모교육학회」, 2007.
18) ‘Solitary-active play behavior: A marker variable for maladjustment in the preschool?’, Coplan, R. J., Wichmann, C., & Lagace-Seguin, D.,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001.
19)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오종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20)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 및 어머니의 놀이 참여 수준과의 관계’, 이혜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가격1,9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9.12.19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0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