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가 꿈꾸는 학교’ - 김희동
2. ‘불복종 정신이 살아있는 학교’ - 양희규
3. ‘녹색 교육’ - 데이비드 오어
4. ‘경제가 성장할수록 불행해지는 아이들’ - 리차드 다우스웨이트
5. ‘일하기와 교육’ - 이오덕
2. ‘불복종 정신이 살아있는 학교’ - 양희규
3. ‘녹색 교육’ - 데이비드 오어
4. ‘경제가 성장할수록 불행해지는 아이들’ - 리차드 다우스웨이트
5. ‘일하기와 교육’ - 이오덕
본문내용
율적으로 본인을 발달시킬 수 있는 계기를 없애게 되어 상대적으로 자립심이 약한 아동으로 자라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일감이 늘어나 부모님이 바빠지면서 많은 보살핌을 받지 못하게 된 아이들은 해당 시기에 부모님을 통해 익혀야 하는 다양한 발달 요소에 대한 충족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난독증 뿐 아니라 신체발달, 정신적 발달 및 듣기, 말하기, 쓰기 등 전반적으로 발달이 미숙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경제 성장으로 인한 놀이의 제한에서도 역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제의 성장은 우리에게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었으나 이러한 장점의 이면에는 교육학적으로 치명적인 단점이 숨어있다. 그러나 이는 어른들의 노력과 주의를 통해 충분히 극복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사 및 부모는 이러한 사태의 발생 원인을 충분히 인지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일하기와 교육’ - 이오덕
농촌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교육에 헌신해 온 저자는 오랜 시간 자연을 벗삼아 교육을 진행해 왔으며, 현대 교육 방식이 농촌 생활에 있어 어울리지 않으며 따라서 이를 지속하였을 때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진정으로 스스로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누구보다도 생활 속의 교육에 대한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본 에세이를 통해 공동체 생활의 중요함과 일 하는 삶의 소중함, 그리고 그 속에서 가르침을 얻고 가르치는 행위의 전반에 대한 깨달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는 일이 곧 놀이요, 놀이가 곧 공부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선사시대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온 우리의 고유한 전통이자 교육에 대한 일관된 길이며, 이를 따랐을 때 진정으로 참교육을 행할 수 있다고 저자는 생각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참된 교육을 하기 위해서 교사는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노동자라는 것이 곧 일꾼을 의미하는 것일까. 나는 그렇게 여기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노동자인 교사’란 곧 자연과 하나 되어 삶 속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권위의식 없이 아이들에게 가진 모든 것을 베풀며 지식에 있어 차별이 없고 아이들 하나하나의 능력을 존중하고 이를 키워 줄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고 교사가 본인의 허울을 버리고 이러한 태도를 취했을 때 비로소 학생들 또한 참된 교육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5. ‘일하기와 교육’ - 이오덕
농촌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교육에 헌신해 온 저자는 오랜 시간 자연을 벗삼아 교육을 진행해 왔으며, 현대 교육 방식이 농촌 생활에 있어 어울리지 않으며 따라서 이를 지속하였을 때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진정으로 스스로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누구보다도 생활 속의 교육에 대한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본 에세이를 통해 공동체 생활의 중요함과 일 하는 삶의 소중함, 그리고 그 속에서 가르침을 얻고 가르치는 행위의 전반에 대한 깨달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는 일이 곧 놀이요, 놀이가 곧 공부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선사시대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온 우리의 고유한 전통이자 교육에 대한 일관된 길이며, 이를 따랐을 때 진정으로 참교육을 행할 수 있다고 저자는 생각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참된 교육을 하기 위해서 교사는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노동자라는 것이 곧 일꾼을 의미하는 것일까. 나는 그렇게 여기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노동자인 교사’란 곧 자연과 하나 되어 삶 속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권위의식 없이 아이들에게 가진 모든 것을 베풀며 지식에 있어 차별이 없고 아이들 하나하나의 능력을 존중하고 이를 키워 줄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고 교사가 본인의 허울을 버리고 이러한 태도를 취했을 때 비로소 학생들 또한 참된 교육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
교육사회학)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해...
[전학과] 교육사회학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
교육사회학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해...
교육사회학)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도서내용(저자의 주장)을 이해...
[사회과학] 교육사회학 =)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라이머 지음(김...
교육유아 = 교육사회학 =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교육사회학 )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