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회학) 다음에 제시된 도서를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가 꿈꾸는 학교’ - 김희동

2. ‘불복종 정신이 살아있는 학교’ - 양희규

3. ‘녹색 교육’ - 데이비드 오어

4. ‘경제가 성장할수록 불행해지는 아이들’ - 리차드 다우스웨이트

5. ‘일하기와 교육’ - 이오덕

본문내용

율적으로 본인을 발달시킬 수 있는 계기를 없애게 되어 상대적으로 자립심이 약한 아동으로 자라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일감이 늘어나 부모님이 바빠지면서 많은 보살핌을 받지 못하게 된 아이들은 해당 시기에 부모님을 통해 익혀야 하는 다양한 발달 요소에 대한 충족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난독증 뿐 아니라 신체발달, 정신적 발달 및 듣기, 말하기, 쓰기 등 전반적으로 발달이 미숙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경제 성장으로 인한 놀이의 제한에서도 역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제의 성장은 우리에게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었으나 이러한 장점의 이면에는 교육학적으로 치명적인 단점이 숨어있다. 그러나 이는 어른들의 노력과 주의를 통해 충분히 극복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사 및 부모는 이러한 사태의 발생 원인을 충분히 인지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일하기와 교육’ - 이오덕
농촌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교육에 헌신해 온 저자는 오랜 시간 자연을 벗삼아 교육을 진행해 왔으며, 현대 교육 방식이 농촌 생활에 있어 어울리지 않으며 따라서 이를 지속하였을 때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진정으로 스스로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누구보다도 생활 속의 교육에 대한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본 에세이를 통해 공동체 생활의 중요함과 일 하는 삶의 소중함, 그리고 그 속에서 가르침을 얻고 가르치는 행위의 전반에 대한 깨달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는 일이 곧 놀이요, 놀이가 곧 공부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선사시대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온 우리의 고유한 전통이자 교육에 대한 일관된 길이며, 이를 따랐을 때 진정으로 참교육을 행할 수 있다고 저자는 생각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참된 교육을 하기 위해서 교사는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노동자라는 것이 곧 일꾼을 의미하는 것일까. 나는 그렇게 여기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노동자인 교사’란 곧 자연과 하나 되어 삶 속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권위의식 없이 아이들에게 가진 모든 것을 베풀며 지식에 있어 차별이 없고 아이들 하나하나의 능력을 존중하고 이를 키워 줄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고 교사가 본인의 허울을 버리고 이러한 태도를 취했을 때 비로소 학생들 또한 참된 교육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12.27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