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개인심리학의 특징
2. 개인심리학의 상담 과정
Ⅲ. 결론
[출처]
Ⅱ. 본론
1. 개인심리학의 특징
2. 개인심리학의 상담 과정
Ⅲ. 결론
[출처]
본문내용
적, 패배적 행동을 깨닫게 해주는 통찰의 단계이다. 4단계는 내담자가 해결하고 싶은 문제에 대해 대안을 고려하고 변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정비 단계다. 개인심리학에서 자주 쓰이는 상담 기법으로 초기기억, 꿈 분석, 단추 누르기, 수프에 침 뱉기,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자기포착하기, 과제 설정하기, 역설 기법, 격려 등이 있다.
Ⅲ. 결론
개인심리학에서 상담 받는 개인은 의료를 통한 것이 아니라 성장 시킬 수 있는 개인이라고 판단한다. 아들러는 개인이 가진 문제는 사람에서 분리 할 수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심리 상담은 전체적으로 상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심리적으로 병든 사람과 일반적인 사람을 명백하게 구분 짓는 것을 반대했다. 개인심리학에서는 내담자의 문제를 아픈 존재나 치료를 통해 해결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상담의 목표도 달라지는데, 문제를 없애는 것 보다는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도와준다. 현재 삶의 잘못된 방향과 목표를 바꾸고, 생활 방식을 바꿔보는 것을 통해 사회에서 다른 개인과 어우러질 수 있고 타인과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을 공유하고 공동체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은 현대에 이르러 가장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상담의 개념이다. 아들러는 상담의 범위를 넓혀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로 전파시켰다. 개인심리학은 현재 다양하게 응용되어 심리 상담, 카운슬링 등에서 기본 바탕이 되고 있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걱정하는 문제는 다양하지만, 또 서로 비슷하다. 자녀 양육, 취업 문제, 퇴사 고민, 진로 상담, 가족 문제 등 이중 하나라도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고 변화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살아가는 데 있어 고민이 있다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 한국은 상담센터, 심리센터를 찾아가는 아이들을 문제아로 보는 시선이 조금은 남아있다. 개인심리학 이론에서 명시되어 있듯이 인간은 흑과 백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고민이 있다면, 변화하고 싶은 생각이 있다면 상담 센터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출처]
아들러 개인 심리학 개요- ‘상담학 사전’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학지사)
아들러 개인심리학 -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참고
Ⅲ. 결론
개인심리학에서 상담 받는 개인은 의료를 통한 것이 아니라 성장 시킬 수 있는 개인이라고 판단한다. 아들러는 개인이 가진 문제는 사람에서 분리 할 수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심리 상담은 전체적으로 상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심리적으로 병든 사람과 일반적인 사람을 명백하게 구분 짓는 것을 반대했다. 개인심리학에서는 내담자의 문제를 아픈 존재나 치료를 통해 해결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상담의 목표도 달라지는데, 문제를 없애는 것 보다는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도와준다. 현재 삶의 잘못된 방향과 목표를 바꾸고, 생활 방식을 바꿔보는 것을 통해 사회에서 다른 개인과 어우러질 수 있고 타인과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을 공유하고 공동체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은 현대에 이르러 가장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상담의 개념이다. 아들러는 상담의 범위를 넓혀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로 전파시켰다. 개인심리학은 현재 다양하게 응용되어 심리 상담, 카운슬링 등에서 기본 바탕이 되고 있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걱정하는 문제는 다양하지만, 또 서로 비슷하다. 자녀 양육, 취업 문제, 퇴사 고민, 진로 상담, 가족 문제 등 이중 하나라도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고 변화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살아가는 데 있어 고민이 있다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 한국은 상담센터, 심리센터를 찾아가는 아이들을 문제아로 보는 시선이 조금은 남아있다. 개인심리학 이론에서 명시되어 있듯이 인간은 흑과 백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고민이 있다면, 변화하고 싶은 생각이 있다면 상담 센터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출처]
아들러 개인 심리학 개요- ‘상담학 사전’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학지사)
아들러 개인심리학 -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