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발적 무자녀가정(딩크족)의 개념
2. 딩크족에 대한 개인적 의견 및 그 근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자발적 무자녀가정(딩크족)의 개념
2. 딩크족에 대한 개인적 의견 및 그 근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지만 사회문화적, 또한 과거 가부장제의 유산은 분명 딩크족의 증가로 이어질 게 뻔하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대책도 분명하다. 즉 딩크족들에게 아이가 여성의 사회진출의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는 것과,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과거 아픈 기억이 있는 부부들의 심리적 치료를 돕는 것, 가족의 기능을 국가에서 전적으로 맡을 수 있다는 믿을 주는 것 등이 그 시작이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 조준영,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계명대, 2006
- 이수연, “무자녀 부부의 결혼생활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라대, 2012
- 이정란, “부모전환기 부부친밀감의 삼각모형 개발”, 서울여대, 2018
- 김래현, “현대가족의 단상과 집이미지 표현 연구”, 서울여대, 2017
Ⅳ 참고문헌
- 조준영,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계명대, 2006
- 이수연, “무자녀 부부의 결혼생활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라대, 2012
- 이정란, “부모전환기 부부친밀감의 삼각모형 개발”, 서울여대, 2018
- 김래현, “현대가족의 단상과 집이미지 표현 연구”, 서울여대,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