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에 관한 의견 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에 관한 의견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존치의 필요성
마지막은 이러한 적정규모 수준의 통폐합 자격대상을 충족하지 못한 소규모학교의 추후 교육 실천 방안내용에 대해 살펴보겠다. 이 경우 통폐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기존 교직원들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필요성이 있다. 물론 공적인 지원 자금을 활용해서 어느 정도 퀄리티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는 점이 그 부분이다.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자. 먼저 시행정책은 경상북도교육청에서 시행하였던 내용이다. 2008년 2월 ‘작은 학교 가꾸기’ 정책을 추진하기 희망하는 대상학교로부터 공모를 받아 최종 심사를 거쳐 14개교가 선정되었다. 이중 초등학교는 12곳 중등학교는 2곳이었다. 평균 지원예산은 교당 2000만원 정도였다. 구체적 운영사례를 살펴보면 A 초등학교의 경우 방과 후 교실, 돌봄 교실, 공동체 의식 함양 프로그램, 체험활동 프로그램, 꿈과 희망을 키우는 특색 프로그램 등을 시행했다. B 초등학교의 경우 기촌, 기본학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고 C 초등학교의 경우 학력 신장을 위해 기초, 기본학력 교실, 사이버 가정학습, 방학 중 학력 캠프운영, 기초학습 부진 학생 구제 등의 여러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이에 있어서 시사점과 문제점이 있는데, 전자는 다양한 특색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해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하도록 재정지원이 여유롭게 이루어지는 것까진 아니더라도 삭감되는 일은 없어야 하는데 연도가 더해갈수록 재정지원이 약 30% 정도 깎이는 등의 문제점이 그에 해당 한다고 할 수 있다. [먼저~있다. 62-63p, 65-67p](박소율 저.2018)
즉 통폐합이 불가한 경우 이러한 식으로도 충분히 소규모학교를 살릴 수 있으므로 지자체 차원에서 교육재정지원을 위한 더 많은 예산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Ⅵ. 참고문헌
1. 신도시 건설에 따른 농촌지역소규모학교 적정규모학교 육성 방안- 세종시 초등 학교를 중심으로_(김경화 저. 2019.02)
2.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위기 극복 요인 탐색-경상북도교육청의 ‘작은 학교 가꾸 기’ 정책 대상 사례를 중심으로_(박소율 저. 2018)
3.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에 관한 연구-농산촌 지역과 구도심 지역 학교시설 연계 를 중심으로_(장재은 저 .2018.02)
4. 통합운영학교실태 분석과 운영에 관한 연구- 전북 초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_ (임성모 저. 2008.02)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1.14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2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