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학파 건축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카고학파 건축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본 론
1. 시카고의 도시적 발전과 지리적 특성
2. 시카고학파의 등장 배경
3. 시카고화재가 급속하게 확산된 이유
4. 시카고학파의 건축적 특징
5. 시카고학파의 대표적 건축가 및 건축물
6. 시카고학파의 몰락

본문내용

놓은 것이다. 시카고 박람회의 경우도 그러했다. 시카고의 콜롬비아 만국 박람회는 미국 건축의 전개에 있어 결정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 당시 미국의 건축적 동향은 크게 두 가지의 방향이 존재했다. 하나는 핸리 홉슨 리처드슨, 루이스 설리반, 다니엘 번햄 등이 속한 시카고학파의 고층 건축이며, 다른 하나는 맥킴 미드 & 화이트가 주도한 고전주의 건축의 전통을 재창조하려는 움직임으로 뉴욕을 비롯한 동부에서 확산되고 있었다. 이 2가지 방향의 주도권 쟁탈전이 있었던 장소가 1893년의 시카고 박람회인 것이다. 초기 근대 건축과 고전주의 건축, 진보주의와 전통주의, 시카고와 뉴욕등에 있어 결과적으로 보면 후자 쪽이 우세해지게 된다. 이 박람회에서 시카고파가 전개하고 있던 고층건축의 근대적인 디자인은 막을 내렸다.
이러한 상황은 번햄의 전향이 기인한 바가 크다. 시카고 박람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사람은 시카고학파의 주도적 건축가였던 다니엘 헨리 번햄이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번햄은 시카고파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보여준 건축가다. 그러나 그는 이 박람회의 지휘를 맞자 동부, 즉 뉴욕의 5인 건축가들을 초빙하였고, 시카고에서도 5인의 건축가를 선택했다. 번햄은 그때까지 시카고 건축가들이 뚜렷한 건축적 성과를 거두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부 건축가 쪽이 시카고파보다도 높은 건축 문화를 지녔다고 믿었던 것이다. 번햄은 사실 전체를 동부의 건축가들에게 맡기려고 생각하여 회의석상에서 동부 건축가의 동석을 자랑하기도 했다. 1891년 초부터 종종 회의가 열렸는데 고전주의적인 조형을 전체의 기조로 삼았고 중앙광장 주변의 건물은 공통된 모듈과 60피트의 코니스 라인을 지키면서 외벽 마무리는 백색의 스투코로 결정했다. 그 결과 과시된 고전주의적인 조화에 근거한 도시상은 [화이트 시티]라 불리게 되며, 시민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은 미국의 도시미화 운동으로 연결되었다. 즉, 현재의 도시를 마치 [화이트 시티]와 같은 고전주의적인 조화미를 갖추도록 개량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수도 워싱턴을 초기의 랑팡의 안에 기초하여 정비하려는 계획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계획에 번햄이나 맥킴 등이 가세하여 현재의 워싱턴 시티가 재확립되었다.
또 다른 이유는, 성숙기를 맞이한 미국에서 필요한 것은 새로움이 아니라, 오히려 유럽 대륙의 전통과 연결된 고전주의라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다. 근대를 맞이한 유럽 주변 여러 나라에서 민족적 전통을 의식하면서 새로운 표현을 모색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그러한 민족적 전통을 갖지 못한 미국은 도시 표현의 근원으로 유럽 고전주의를 지향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시카고학파의 오피스 건축이 도시 전체 구성의 원리에까지 이르지 않았다는 비판 때문도 있다.
그림 26. 시카고 월드 페어(시카고 만국박람회장)
Ⅲ. 결 론
근대건축에 있어서 고층건물의 가능성을 예시하였던 시카고학파는 건물에 강철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적 성능을 개선하였고, 구조체의 방화성능을 개선한 방화구조를 사용하였다. 시카고학파의 건축가들은 철골을 구조체에 사용함과 동시에 건물의 외벽에도 사용하였으며, 그로 인한 명확한 표현은 매우 단순하여 종래의 어떤 건축양식과 관계없는 것이었다.
시카고학파는 근대적인 건축형태 언어를 사용하였는데, 전통적인 고전주의와 절충주의 건축을 거부하고, 건축형태에 있어서 수직선과 수평선에 의해 기능적인 구조를 분명하고 표현함으로써 근대건축을 예고하였다. 새로운 건축의 중심지가 된 시카고를 중심으로 활약한 시카고학파의 건축가들을 통해 근대건축은 상징적이고 적합한 형태를 얻어 철구조와 효율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공간, 뼈대를 표현하는 외관, 장대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이 후 미국에서는 오피스 빌딩을 개발했던 에너지에 대응되는 역사적 필연이었다고 할 수 있는 주거 형태가 발전함으로써 미국의 주거 발전에 시발점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서적
■ 서양 근현대 건축의 역사 / 스즈키 히로유키
■ 서양 근대 건축사 / 이강업, 진경돈
■ 서양현대건축 / 윤정근 외 4명 공저
■ 근대건축의 흐름 / 정영철
■ 서양건축사 / 퓌르노 조던
■ 서양건축사 / 김성곤
■ 그레이트 빌더 / 케네스 파월
인터넷
■ 시카고 파(Chicago School)
http://jjjjjeonda.blogspot.kr/2013/01/blog-post.html
■ 시카고 대화재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C%B9%B4%EA%B3%A0_%EB%8C%80%ED%99%94%EC%9E%AC#cite_note-4
■ 불타는 시카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9983&cid=43082&categoryId=43082
■ 근대건축론 Adler and Sullivan
http://blog.naver.com/hongdolry/60164181052
■ 시카고학파의 시초 ‘루이스 헨리 설리번’, 미국의 스카이라인을 수놓다.
http://www.sindohblog.com/384
■ 19세기 美시카고 건축가들 철골구조 커튼월, 엘리베이터 도시재건하며 현대적 고층빌딩 건축
http://luxmen.mk.co.kr/view.php?sc=51100005&cm=Review&year=2015&no=1101597&relatedcode=
■ 김신-김광정교수가 들려주는 시카고 역사 이야기
http://www.skyvoice.org/sk/index.php?mid=board_zEVP46&page=3&document_srl=42523
■ 미국의 만국박람회와 시카고 모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51673&cid=56776&categoryId=56776
■ 엑스포의 개념과 역사(2) - 엑스포의 역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ildrenj&logNo=80042774378&widgetTypeCall=true
■ 5분 사탐. 경제 시카고 학파
http://ebs.daum.net/5minutes/episode/26604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1.15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2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