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역하지각의 개념
2. 역하지각을 활용한 광고의 사례
3. 역하지각의 응용/활용 방법 제시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II. 본론
1. 역하지각의 개념
2. 역하지각을 활용한 광고의 사례
3. 역하지각의 응용/활용 방법 제시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인간이 느끼지 못하는 수준의 자극을 활용함으로써 인간의 무의식에 호소하는 방안을 긍정적인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건강 관리를 염두하고 있는 개인을 위해 한 건강관리업체가 운동할 때 듣기 좋은 음악을 선곡하여 스트리밍 플레이리스트 내지 컴비네이션 앨범의 형태로 제품을 판매한다면, 음악 중간중간에 몹시 작은 소리 즉 역하지각의 수준으로 건강관리와 관련한 청각적인 메시지를 삽입하여 제품의 효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점을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활발하게 진행 중인 ATL/BTL 이외 광고 매체의 활용에 있어 이른바 “재핑 광고”, 즉 스마트 TV의 화면을 전환하는 순간 광고를 집어넣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재핑 광고는 시청자의 텔레비전 감상 경험을 저해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의 광고에 대한 반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시청자가 리모콘으로 “재핑”하는 시간을 활용하되, 그러한 광고 메시지의 자극 수준을 역하지각 수준으로 낮추어 시정차가 의식적으로는 받아들이지 못하는 수준으로, 그러나 반복적으로 해당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텔레비전 감상 UX는 해치지 않으면서 광고 집행의 목적은 달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도 있을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역하지각에 대해 그 개념을 살펴보고, 역하지각을 실제로 응용한 광고 사례를 알아보았으며 역하지각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즉 역하자극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지각 행위로도 볼 수 있으며, 이처럼 역치 이하의 자극들을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잠재적이고 묵시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이론에 힘입어 많은 광고학자들과 마케터들이 역하자극을 활용한 광고에 대해 연구하고 실제로 그러한 광고를 집행하기도 한 바 있다. 비록 인간의 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광고법 및 관련 규정에서 어느 정도의 제한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긍정적인 방향으로 역하자극을 활용할 경우에는 소비자의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의 역하자극 캠페인을 구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V. 출처 및 참고문헌
손영화, 고객심리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PP.36~37
김재휘(외), 광고심리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PP.29
강승구, 광고와 철학적 사고, 에피스테메, 2015
방송광고심의에관한규정, 방송법 제32조 및 제33조, 2008.9.2. 개정
예컨대 건강 관리를 염두하고 있는 개인을 위해 한 건강관리업체가 운동할 때 듣기 좋은 음악을 선곡하여 스트리밍 플레이리스트 내지 컴비네이션 앨범의 형태로 제품을 판매한다면, 음악 중간중간에 몹시 작은 소리 즉 역하지각의 수준으로 건강관리와 관련한 청각적인 메시지를 삽입하여 제품의 효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점을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활발하게 진행 중인 ATL/BTL 이외 광고 매체의 활용에 있어 이른바 “재핑 광고”, 즉 스마트 TV의 화면을 전환하는 순간 광고를 집어넣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재핑 광고는 시청자의 텔레비전 감상 경험을 저해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의 광고에 대한 반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시청자가 리모콘으로 “재핑”하는 시간을 활용하되, 그러한 광고 메시지의 자극 수준을 역하지각 수준으로 낮추어 시정차가 의식적으로는 받아들이지 못하는 수준으로, 그러나 반복적으로 해당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텔레비전 감상 UX는 해치지 않으면서 광고 집행의 목적은 달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도 있을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역하지각에 대해 그 개념을 살펴보고, 역하지각을 실제로 응용한 광고 사례를 알아보았으며 역하지각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즉 역하자극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지각 행위로도 볼 수 있으며, 이처럼 역치 이하의 자극들을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잠재적이고 묵시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이론에 힘입어 많은 광고학자들과 마케터들이 역하자극을 활용한 광고에 대해 연구하고 실제로 그러한 광고를 집행하기도 한 바 있다. 비록 인간의 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광고법 및 관련 규정에서 어느 정도의 제한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긍정적인 방향으로 역하자극을 활용할 경우에는 소비자의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의 역하자극 캠페인을 구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V. 출처 및 참고문헌
손영화, 고객심리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PP.36~37
김재휘(외), 광고심리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PP.29
강승구, 광고와 철학적 사고, 에피스테메, 2015
방송광고심의에관한규정, 방송법 제32조 및 제33조, 2008.9.2. 개정
추천자료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미디어 교육의 방향
국어교과서에서의 미디어 교육
가상공간(가상현실) 개념,배경, 가상공간(가상현실) 특성,응용분야, 가상공간(가상현실)과 교...
소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란
소비자행동의 내적 영향요인
[정보탐색][정보검색]정보탐색(정보검색)의 정의, 정보탐색(정보검색)의 특징, 정보탐색(정보...
심리학개론 - 역하지각을 활용한 광고의 사례를 3가지 이상 찾고 다양한 방법으로 역하지각을...
심리학개론)역하지각을 활용한 광고의 사례를 3가지 이상 찾고 다양한 방법으로 역하지각을 ...
심리학개론 ) 역하지각을 활용한 광고의 사례를 3가지 이상 찾고 다양한 방법으로 역하지각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