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심리학적 이론으로 분석하는 신문기사 5가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심리학적 이론으로 분석하는 신문기사 5가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한 상태이다. 전인습적 수준에서는 도덕적인 판단이 외적인 보상이나 처벌에 의해서 정해지며, 벌을 받으면 나쁜 행동이고 복종을 하라고 하기 때문에 복종을 하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좋은 결과를 얻으면 그것은 좋은 행동이고, 나쁜 결과가 나오면 나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보통 9세 이전의 아동이나 일부의 청소년이나 성인 범죄자들이 포함된다.
인습적 수준은 규범을 내면화 한 상태로써, 다른 사람의 의견이 중요하고 사회적인 기대에 의하여 행동을 결정한다.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 또는 인정받고자 하는 것에 대한 욕구가 강한 수준이다. 또 법을 지키는 것이 좋은 행동이며 위법은 나쁜 행동이라는 것으로 여기며 사회의 질서를 위해서 법을 지키는 행동이 도덕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후인습적 수준은 도덕성 발달 중 최상위의 수준으로 규범의 근본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개인의 양심에 의하여 행동을 한다. 사회적으로 합의가 된 규칙이 자신의 도덕적 판단의 근거가 되며 생명 존중, 평등, 정의 등의 기본 원칙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한다.
학생들이 어떤 잘못으로 인해 벌점을 받고 선도위원회의 결과로 인한 처벌을 받고 나서 행동의 변화되는 학생들을 보면 전인습적 수준과 인습적 수준, 이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처벌을 받은 후에도 단순히 벌점을 받기 싫어서 또는 교내봉사, 사회봉사가 싫어서 학교 규칙을 잘 지키고 선생님의 말씀을 잘 듣는 학생들, 수업 시간에 잠을 자다가 걸려서 혼난 학생은 그 당시에 ‘내가 너무 잠이 와서 잤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욕구 충족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은 전인습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학생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선생님께 착한 학생이라고 인정받고 싶고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서 학교의 규칙을 잘 지키고 선생님을 잘 따르는 학생들, 학교의 규칙도 법이기 때문에 법을 무조건적으로 지켜야 하므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학생들은 인습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학생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학교에서 경험하는 많은 학생들은 콜버그가 정의한 도덕성 발달 이론에 따라서 해당 학생들이 현재 어떤 인습적 수준에 머물러서 생각하고 행동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으며, 콜버그의 이론에 따라 생각해보면 학생들을 무조건적으로 처벌과 보상으로만 판단하고 교육하지 말고 다양한 방면으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1.19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