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자동차 섀시란?
II. 자동차 섀시의 구성요소
1) 동력전달장치
① 클러치
② 구동축
③ 리어액슬
2) 제동장치
① 디스크 브레이크
② 드럼 브레이크
③ 브레이크 페달, 핸드브레이크
3) 조향장치
① 기계식 조향장치
② 동력식 조향장치
4) 현가장치
① 앞 현가장치
② 뒤 현가장치
5) 휠 얼라이먼트
Ⅲ. 참고문헌
II. 자동차 섀시의 구성요소
1) 동력전달장치
① 클러치
② 구동축
③ 리어액슬
2) 제동장치
① 디스크 브레이크
② 드럼 브레이크
③ 브레이크 페달, 핸드브레이크
3) 조향장치
① 기계식 조향장치
② 동력식 조향장치
4) 현가장치
① 앞 현가장치
② 뒤 현가장치
5) 휠 얼라이먼트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액슬 플랜지에 걸어 액슬축을 빼어 낸다.
5.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2) 제동장치
-제동장치란?
제동 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뜻대로 속도를 감속, 정지 및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서 마찰을 이용하며 유압식, 공기식, 기계식을 사용하고 보안상 중요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차량이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근래의 엔진기술과 서스펜션 기술의 진보와 고속화 되면서 제동장치에 대한 요구성능은 더욱 더 엄격해지고 있으며 차량의 고급화 따라 제동 소음과 조작감에 대한 감성 영역의 요구도 엄해지고 있다. 안정성 향상을 위한 ABS(엔티 록킹 브레이크시스템)적용과 차량 주행성관련 TCS(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적용등으로 기술이 발전 되고 있다. 제동장치의 기본 구성은 훨 브레이크, 배력장치, 배관 방식, 컨트롤 밸브, 주차브레이크로 나눌수 있다.
① 디스크 브레이크
그림7. <디스크 브레이크>
일반적으로 제동장치의 출력 기구로서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면에 패드를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서 유압에 대한 제동력이 거의 직선적으로 나타나며 자기 배력 작용도 거의 없어 제동력이 마찰 계수의 변동의 영향을 받는 것이 적고 효력이 안정된다.
② 드럼 브레이크
그림8. <드럼 브레이크>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드럼 안쪽으로 라이닝(마찰재)을 붙인 브레이크슈를 압착하여 제동력을 얻는다.
③ 브레이크 페달과 핸드 브레이크
그림9. <브레이크 페달> 그림10. <핸드 브레이크>
3) 조향장치
자동차는 타이어를 사이에 두고 노면에 힘을 전달하여 선회운동을 한다. 이 운동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향장치를 조작하여 전 후륜을 움직여 제어한다.
조타력 경감, 페일세이프, 조타 분주함의 경감, 조타에 적절한 반력의 피드백, 킥백의 경감, 조타의유연성, 잘못된 하중에 대한 시스템 보호, 음 및 진동을 방지할수 있도록 배력 장치를 갖춘 조향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스티어링 기어라고도 한다
① 기계식 조향장치
그림11. <기계식 조향장치> 그림12. <기계식 조향장치의 구성>
-기계식 조향장치의 분해 및 조립방법
1. 요크 플러그와 록너트를 탈거한다.
2. 요크 플러그를 풀고 스프링, 쿠션 레버, 서포트 요크 등을 분리한다.
3. 기어 박스에서 오일 실을 탈거한다.
4. 기어 박스에서 스냅 링을 째고 베어링과 피니언을 탈거한다.
5. 벨로즈를 탈거한다.
6. 랙 기어에서 우측 타이 로드를 탈거한다.
7. 기어 하우징에서 랙을 탈거한다.
8.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② 동력식 조향장치
그림13. <동력식 조향장치의 구성>
-동력식 조향장치의 분해 및 조립방법
1. 차량의 지정된 부위를 잭으로 지지한다.
2. 특수공구를 이용하여 너클에서 타이로드 엔드를 분리시킨다.
3. 운전석측에서 기어박스로부터 샤프트 어셈블리를 분리한다.
4. 오일을 배출시키고 기어박스 연결부에서 압력호스와 리턴호스를 분리한다.
5. 기어박스 장착 볼트를 탈거하고 기어박스를 부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 천천히 당겨 뺀다.
6.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4) 현가장치
서스펜션 이라고도 하며 쇼크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암 등이 주요 구성 요소이다.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는 기능이 주요한 역할이다. 따라서 이 장치는 탑승자승차감과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림14. <현가장치 1> 그림 15. <현가장치 2>
① 앞 현가장치
-앞 현가장치의 분해 및 조립방법
1. 휠을 탈착하고 앞브레이크 캘리퍼 고정 볼트를 풀고 캘리퍼 어셈블리를 분리한다.
2. 허브 캡을 탈착하고 코터 핀, 록캡, 허브 너트를 순서대로 탈착한다.
3. 스핀들에서 순서대로 분리하고, 브레이크 백플레이트를 탈착한다.
4. 베어링 풀러를 사용하여 베어링 레이스와 오일 실을 탈착한다.
5.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그림 16. <앞 현가장치(엑슬 허브)> 그림 17. <스트러트 어셈블리>
② 뒤 현가장치
-뒤 현가장치의 조립 및 분해 순서
1. 휠허브 및 브레이크 드럼과 백킹판을 분리한다.
2. 브레이크 파이프와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분리한다.
3. 메인 머플러를 탈착한다.
4. 쇽 업소버 아래 볼트를 풀어낸다. 이전에 그림 과 같이 잭을 이용하여 서스펜션 암 끝부분을 조금 들어 올리고 볼트를 푼 뒤 잭을 서서히 내린다.
5. 코일 스프링과 어퍼 시트를 탈거한다.
6. 서스펜션암 어셈블리 마운팅 너트를 풀고 탈착한다.
7.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5) 휠 얼라이먼트
휠 얼라인먼트 (Wheel alignment)란 자동차가 주행중 앞바퀴의 직진성, 방향성, 복원성, 조향 조작력 감소의 목적이며 이를 위해 바퀴의 위치, 방향 및 상호관련 성등을 올바르게 유지하는 정렬상태를 말한다. 또한 정렬상태가 불량이면 주행 불안정이나 타이어 이상마모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전륜은 조향을 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그 종류는 토인(toe-in), 캠버(Camber), 캐스터(Caster), 킹 핀 경사각(King pin inclination angle)으로 구분한다.
■ 토인: 차량을 위에서 보았을 때 양쪽 타이어 중심선의 거리가 앞부분이 뒷부분 보다 좁은 거리를 말하고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넓으면 토아웃이라 한다.
■ 캠버: 앞바퀴를 앞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 캐스터: 앞바퀴를 옆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를 지지하는 축(스트러트 중심 또는 위,아래 볼의 중심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 킹핀경사각: 차량을 앞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를 지지하는 축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모든 차량에서 조정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림 18. <휠 얼라이먼트 1> 그림 19. <휠 얼라이먼트 2>
III. 참고 문헌
http://www.ka-tech.com/repair/repair_sub_win_2.html
네이버 백과사전 및 지식 iN
『자동차 정비 교과서』 출판사 : 보누스 2014.06.20.
https://www.2carpros.com/
5.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2) 제동장치
-제동장치란?
제동 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뜻대로 속도를 감속, 정지 및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서 마찰을 이용하며 유압식, 공기식, 기계식을 사용하고 보안상 중요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차량이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근래의 엔진기술과 서스펜션 기술의 진보와 고속화 되면서 제동장치에 대한 요구성능은 더욱 더 엄격해지고 있으며 차량의 고급화 따라 제동 소음과 조작감에 대한 감성 영역의 요구도 엄해지고 있다. 안정성 향상을 위한 ABS(엔티 록킹 브레이크시스템)적용과 차량 주행성관련 TCS(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적용등으로 기술이 발전 되고 있다. 제동장치의 기본 구성은 훨 브레이크, 배력장치, 배관 방식, 컨트롤 밸브, 주차브레이크로 나눌수 있다.
① 디스크 브레이크
그림7. <디스크 브레이크>
일반적으로 제동장치의 출력 기구로서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면에 패드를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서 유압에 대한 제동력이 거의 직선적으로 나타나며 자기 배력 작용도 거의 없어 제동력이 마찰 계수의 변동의 영향을 받는 것이 적고 효력이 안정된다.
② 드럼 브레이크
그림8. <드럼 브레이크>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드럼 안쪽으로 라이닝(마찰재)을 붙인 브레이크슈를 압착하여 제동력을 얻는다.
③ 브레이크 페달과 핸드 브레이크
그림9. <브레이크 페달> 그림10. <핸드 브레이크>
3) 조향장치
자동차는 타이어를 사이에 두고 노면에 힘을 전달하여 선회운동을 한다. 이 운동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향장치를 조작하여 전 후륜을 움직여 제어한다.
조타력 경감, 페일세이프, 조타 분주함의 경감, 조타에 적절한 반력의 피드백, 킥백의 경감, 조타의유연성, 잘못된 하중에 대한 시스템 보호, 음 및 진동을 방지할수 있도록 배력 장치를 갖춘 조향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스티어링 기어라고도 한다
① 기계식 조향장치
그림11. <기계식 조향장치> 그림12. <기계식 조향장치의 구성>
-기계식 조향장치의 분해 및 조립방법
1. 요크 플러그와 록너트를 탈거한다.
2. 요크 플러그를 풀고 스프링, 쿠션 레버, 서포트 요크 등을 분리한다.
3. 기어 박스에서 오일 실을 탈거한다.
4. 기어 박스에서 스냅 링을 째고 베어링과 피니언을 탈거한다.
5. 벨로즈를 탈거한다.
6. 랙 기어에서 우측 타이 로드를 탈거한다.
7. 기어 하우징에서 랙을 탈거한다.
8.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② 동력식 조향장치
그림13. <동력식 조향장치의 구성>
-동력식 조향장치의 분해 및 조립방법
1. 차량의 지정된 부위를 잭으로 지지한다.
2. 특수공구를 이용하여 너클에서 타이로드 엔드를 분리시킨다.
3. 운전석측에서 기어박스로부터 샤프트 어셈블리를 분리한다.
4. 오일을 배출시키고 기어박스 연결부에서 압력호스와 리턴호스를 분리한다.
5. 기어박스 장착 볼트를 탈거하고 기어박스를 부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 천천히 당겨 뺀다.
6.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4) 현가장치
서스펜션 이라고도 하며 쇼크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암 등이 주요 구성 요소이다.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는 기능이 주요한 역할이다. 따라서 이 장치는 탑승자승차감과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림14. <현가장치 1> 그림 15. <현가장치 2>
① 앞 현가장치
-앞 현가장치의 분해 및 조립방법
1. 휠을 탈착하고 앞브레이크 캘리퍼 고정 볼트를 풀고 캘리퍼 어셈블리를 분리한다.
2. 허브 캡을 탈착하고 코터 핀, 록캡, 허브 너트를 순서대로 탈착한다.
3. 스핀들에서 순서대로 분리하고, 브레이크 백플레이트를 탈착한다.
4. 베어링 풀러를 사용하여 베어링 레이스와 오일 실을 탈착한다.
5.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그림 16. <앞 현가장치(엑슬 허브)> 그림 17. <스트러트 어셈블리>
② 뒤 현가장치
-뒤 현가장치의 조립 및 분해 순서
1. 휠허브 및 브레이크 드럼과 백킹판을 분리한다.
2. 브레이크 파이프와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분리한다.
3. 메인 머플러를 탈착한다.
4. 쇽 업소버 아래 볼트를 풀어낸다. 이전에 그림 과 같이 잭을 이용하여 서스펜션 암 끝부분을 조금 들어 올리고 볼트를 푼 뒤 잭을 서서히 내린다.
5. 코일 스프링과 어퍼 시트를 탈거한다.
6. 서스펜션암 어셈블리 마운팅 너트를 풀고 탈착한다.
7.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다.
5) 휠 얼라이먼트
휠 얼라인먼트 (Wheel alignment)란 자동차가 주행중 앞바퀴의 직진성, 방향성, 복원성, 조향 조작력 감소의 목적이며 이를 위해 바퀴의 위치, 방향 및 상호관련 성등을 올바르게 유지하는 정렬상태를 말한다. 또한 정렬상태가 불량이면 주행 불안정이나 타이어 이상마모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전륜은 조향을 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그 종류는 토인(toe-in), 캠버(Camber), 캐스터(Caster), 킹 핀 경사각(King pin inclination angle)으로 구분한다.
■ 토인: 차량을 위에서 보았을 때 양쪽 타이어 중심선의 거리가 앞부분이 뒷부분 보다 좁은 거리를 말하고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넓으면 토아웃이라 한다.
■ 캠버: 앞바퀴를 앞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 캐스터: 앞바퀴를 옆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를 지지하는 축(스트러트 중심 또는 위,아래 볼의 중심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 킹핀경사각: 차량을 앞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를 지지하는 축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모든 차량에서 조정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림 18. <휠 얼라이먼트 1> 그림 19. <휠 얼라이먼트 2>
III. 참고 문헌
http://www.ka-tech.com/repair/repair_sub_win_2.html
네이버 백과사전 및 지식 iN
『자동차 정비 교과서』 출판사 : 보누스 2014.06.20.
https://www.2carpros.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