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섀시공학 - 자동차 종류, 구동방식,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와 현황 및 향후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차섀시공학 - 자동차 종류, 구동방식,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와 현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동차의 정의

2. 동력구동방식의 종류
 1. FF 구동방식(Front-engine Front-drive)
 2. FR 구동방식(Front-engine Rear-drive)
 3. RR 구동방식(Rear Engine Rear Drive)
 4. 4WD 구동방식(4 Wheel Drive)

3. 차량의 종류
 1. 크기/배기량 별 분류
 2. 기타 용도별 분류
 3. 바퀴 별 분류

4.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와 현황 및 향후 전망
 1.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2. 자동차산업 최근 동향 분석
 3 미래 예측 및 정책방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동차 특유의 바(bar) 핸들도 4륜자동차와 같이 둥근핸들로 되었으며, 기관은 단기통 또는 쌍기통의 공랭식에서 4기통의 수랭식 기관으로 바뀌고, 운전석도 간편한 구조에서 완전한 차실로 변하였다. 여러 가지 부속장치나 보조기류, 예를 들면 기관의 시동도 족답식에서 기동용 셀모터로 바뀌고, 브레이크도 기계식에서 유압식으로 변하는 등 모든 장비가 4륜자동차와 거의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도로의 발달, 안정성의 문제, 대량수송 등으로 1960년대부터 모습을 감추었다.
㈂ 사륜자동차
- 보통 흔히 보이는 자동차를 말함.
4.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와 현황 및 향후 전망
1.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 국내에 첫 자동차가 도입된 것은 1903년으로 고종황제가 즉위 40주년을 맞아 외국공관을 통해서 미국에서 생산된 '포드 A형 리무진'을 들여왔다. 한국에서 만든 최초의 자동차는 1957년 '시발' 자동차이다.
㈀ 한국에 도입된 첫 자동차
- 자동차가 한국에 처음 상륙한 것은 1903년 고종의 즉위 40년을 기념하는 칭경식때 미국 공사에게 부탁해 '포드 A형 리무진'을 들여와 바친 것이 최초이다. 이 자동차는 현재는 유실되어 보존되지 않고 있다. 자동차는 이후 황실용 2대와 총독부 1대가 도입되어 1911년에는 우리나라 보유대수는 3대가 되었다. 민간인 자가용 1호는 1915년 의암 손병희 선생의 캐딜락이다. 이후 부유층의 자가용과 운수사업용으로 들여오기 시작하고, 1928년엔 서울에 최초의 시내버스 '부영버스'가 나타났다. 1933년 우리나라 제1호의 자동차 판매사 '경성자동차 판매회사'가 설립되었다. 1945년에는 7,386대로 보유대수가 늘어나면서 광복을 맞았다.
㈁ 국산 자동차 산업
-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일제 식민지 시대 전쟁준비를 위한 소비 억제정책으로 위축되었다가 해방 후 5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자동차산업이 시작되었다. 1950년 3월 정부는 자동차업계의 자구적 노력을 지원하고 자동차 부품공업의 육성을 위하여 상공부, 교통부, 국방부등 3부 공동으로 피스톤, 피스톤링, 피스톤핀, 브레이크 라이닝등 13개 품목을 국산 장려품으로 지정하여 군납하도록 하는 자동차부품공업 육성대책을 시도 하였다. 자동차산업 1세대인 최무성·김창원·하동환 등이 드럼통을 잘라 차체를 만들고 미군 지프의 엔진을 얹는 원시적인 방법으로 자동차를 만드는 등 재생자동차산업이 번창했다.
- 1955년 최무성이 미군이 쓰던 지프의 부품과 4기통엔진을 조립한 국산차 1호 '시발(始發)'을 생산하였는데, 1957년 광복 12주년 기념 산업박람회때 이 시발차를 출품하여 최우수 상품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대통령상을 받은후 한달도 못되어 1억환 이상의 계약금이 들어와 이 돈으로 공장도 사고 시설도 제대로 갖추어서 양산 체제로 돌입했으며 전국에 택시로 공급했다. 1961년 5·16 쿠데타 직후 박정희 정권은 <자동차공업발전법>을 만들어 완성차 수입 금지, 국산화 정책, 수출 산업화 정책 등과 함께 자동차 산업을 활성화시켰다. 1962년 세워진 새나라자동차는 일본 닛산의 부품을 수입해 '새나라자동차'를 조립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새나라는 관세면제 등의 특혜를 받아 5·16 군사정권 초기 이른바 '4대 의혹사건'의 하나로 물의를 일으켰고, 수요 감소로 설립 다음해인 63년 5월 생산이 중단된 뒤 65년 이어 신진자동차가 설립돼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했다. 신진자동차는 도요타와 기술제휴로 '코로나'를 선보였다. 60년대말에는 현대자동차가 미국 포드와 손잡고 '코티나'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70년대초에는 현대, 신진, 아시아, 기아산업 등이 4륜트럭 생산을 시작해 자동차 공업발전의 촉매역할을 했다.
㈂ 국산 자동차의 수출과 글로벌화된 자동차산업
- 1975년 현대의 '포니'는 한국을 세계 15번째 자동차생산국가로 부상시켰으며, 1976년에 포니 6대를 에콰도르에 첫 수출했다. 그리고 1986년 소형자동차 '포니엑셀'을 처음 미국에 수출했다. 1991년엔 대우자동차가 배기량 660㏄짜리 우리나라 첫 경승용차 '티코'를 생산 판매하였으며, 우리나라는 90년 대 중반까지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대국으로 부상하였다. 1998년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국내 자동차산업은 대대적 개편이 이루어졌다. 기아, 아시아, 쌍용, 삼성, 대우가 파산하였다. 또한 GM의 대우차 인수, 르노의 삼성차 인수, 다임러크라이슬러-현대 제휴 등으로 우리 자동차산업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
2. 자동차산업 최근 동향 분석
- 2002년 이후 수출이 큰폭의 증가세를 유지, 이는 국산차의 제품경쟁력 향상과 브랜드 인지도의 상승, 업계의 적극적인 수출시장 개척에 따른 결과이다.
㈀ 생산 : 지속적으로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출 호조가 생산 증대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 수출 : 국산차의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 상승으로 해외시장에서 지속적 호평을 받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 수입 : 최근 수입차에 구매에 대한 소비자 이미지 제고 및 환율하락 등으로 국내 수입차 시장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자동차산업은 4천여개 부품업체의 2만여개 부품으로 생산되는 전후방 연관효과가 가장 큰 산업으로 국민경제적 비중이 높다 할 수 있다.
3 미래 예측 및 정책방향
㈀ 글로벌 경쟁 심화와 업계판도의 변화, 시장구조의 변화 예상
- 미국 빅3의 비중 축소와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업체와 아시아업체의 약진
-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시장의 비중축소와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신흥시장의 확대
㈁ 고유가 지속으로 중대형차에서 소형차로 무게중심이 상당한 폭으로 이동
- 소형차 개발 판매 및 연비향상에 있어서 경쟁이 치열해 질것으로 예상
㈂ 향후 수출은 원고-엔저 현상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약화, 해외생산 확대 등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산자동차의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 상승, 판매망확대, 해외선진업체의 판매망 활용 확대 등의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참고문헌
- 자동차 섀시 실무(나완용 저, 기한재)
- 섀시는 이렇게 되어있다.(샤와타리 쇼지 저, 골든벨)
- 기타 구글 및 네이버 검색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3.0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