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포스트 모던 철학이 주장하는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의 의미
(2) 프레이리의 교육이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포스트 모던 철학이 주장하는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의 의미
(2) 프레이리의 교육이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니즘 철학자들은 초기 프레이리의 철학적 고찰을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프레이리가 후기에는 포스트 모던 철학의 주장도 수용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서로 상관성을 갖게 된다. 프레이리는 포스트 모던 철학을 보수적인 관점과 진보적인 관점으로 나누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포스트 모던 철학은 신자유주의와 결탁하여 결론적으로 민중을 탄압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했다. 반면 진보적인 관점에서의 포스트 모던 철학은 프레이리의 시각을 넓혀주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초기 프레이리는 억압받는 주체를 단순히 소작인이나 농민에 한정을 두었다. 하지만 이후 프레이리는 포스트 모던 철학의 관점을 받아들여 억압받는 주체를 여성, 흑인, 동성애자 등으로 사회적 맥락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포스트 모던 철학자들도 프레이리가 경험적인 맥락 속에서 교육이론을 펼쳤다는 것을 고려하며, 자신들과 프레이리의 철학이 유사한 부분이 있음을 인정했다. 사회적인 환경 속에서 진리를 추구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삶을 살아가는 것은 절대적이며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개념은 포스트 모던 철학과 프레이리 모두 주장하고 있는 바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포스트 모던의 진리추구와 의미부여에 따른 교육적 철학을 확인하고, 프레이리 교육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모던 철학과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은 유사한 면을 두고 발전해왔으며, 그 유사한 점은 인간이 끊임없이 주변과 상호작용하며 의미를 추구하고 진리를 찾는 것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4. 참고문헌
2004, 「프레이리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이렇게 포스트 모던의 진리추구와 의미부여에 따른 교육적 철학을 확인하고, 프레이리 교육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모던 철학과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은 유사한 면을 두고 발전해왔으며, 그 유사한 점은 인간이 끊임없이 주변과 상호작용하며 의미를 추구하고 진리를 찾는 것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4. 참고문헌
2004, 「프레이리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키워드
추천자료
포스트모던철학의 진리관과 교육의 시사점
[현대의서양문화]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 ...
현대의 서양문화4A)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
현대의서양문화4A)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A+,완...
(현대의서양문화A형)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철학분야...
2019년 2학기 교육철학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
교육학 = 교육철학 =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라는 포스트모던 철학의 주장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라는 포스트모던 철학의 주장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