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진료소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 골절에 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진료소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 골절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분류
4) 치유과정
5) 진단검사
6) 치료
7) 합병증
8) 신체분위별 치료와 간호

3. 간호과정
1) 가족사례
2) 가족사정 영역
3) 가족사정 도구
4) 간호진단

4. 실습소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녀들은 같은 지역에 살고 있지만 자녀들
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 자녀들에게 아픈 것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고 도움을 받는 것을 싫어함.
6.건강관리
부적절한 질병관리
김○○씨는 다리골절 수술 후 에도 발생하는 통증 때
문에 정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 하지
만 수술 이후로 잘 가지 않음.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의 치료를 받지 않음.
운동을 거의 하지 않음.
2. 가족사정 영역
3. 가족사정 도구
(1) 가족 구조도
(2) 가족밀착도
(3) 외부체계도
(4) 사회지지도
(5) 가족연대기
사건 발생일 중요한 사건 변화된 가족생활
2018년 같이 살고 있던 할아버지가 사망함. 할머니는 혼자 살게 되어 이웃에게 의지하게 됨.
(6) 가족의 장점 파악
① 활용할 수 있는 지지체계가 많다. (보건진료소 소장님, 이웃 등)
② 정부에서 지원을 받아 경제적으로 문제가 없다. (생활비, 생필품 등)
4. 간호진단
문제
원인
부적절한 질병관리
질병 증상에 대한 심각성이 부족함.(건강관리에 대한 무지)
진단 후 결과에 대한 두려움. (질병 악화에 대한 준비 부족)
자녀가 많지만 실질적인 지지체계가 되지 못하고 있음.
운동의 필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음.
사정
주관적
“자꾸 다리를 쓰면 아파”
“안 걷는게 최고 아니야?”
“원래 나이가 먹으면 다 아프지 뭐”
객관적
ㆍ물리치료, 운동요법등의 치료 받지 않음
ㆍ다리 골절 수술 후 외래 f/u 하지 않음
간호진단
#1 불충분한 지식과 관련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계획
단기목표
ㆍ대상자는 3일 이내에 건강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말로 설명
할 수 있다.
ㆍ대상자는 3일 이내에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을 수행한다.
장기목표
ㆍ대상자는 6개월에 이내에 1번이상 꾸준히 병원 진료를 받
는다.
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에게 질병과 치료요법에 관련
된 현재의 지식수준을 평가한다.
② 다리 골절에 대한 심각성을 설명한
다.
③ 뼈 골절에 좋은 음식들을 먹도록 설
명한다.
④ 낙상 예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⑤ 외우기 쉬운 간단한 운동 2가지를
교육한다.
⑥ 자녀에게 김○○ 씨의 질병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여 적절한 대처를 하도록 한다.
① 교육의 범위를 알아보고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설명하기 위함이다.
② 질병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③ 평소에 뼈 골절에 좋은 음식
을 알아두어 뼈 건강을 챙길
수있다.
④ 낙상은 골절 재발에 있어서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⑤ 치료에 관한 운동의 효율적·자발적 수행을 하기 위함이다.
⑥ 가족들이 대상자의 질병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처함으로 대상자의 치료요법 및 질병 관리를 도와주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에게 질병과 치료요법에 관련된 현재의 지식수준을 평가했다.
SN : “다리가 아프시다 하셨는데 간단한 운동은 하고 계신가요?”
김○○님 : “운동?? 운동을 왜해. 안 걷는게 최고 아니야?”
SN : “혹시 그럼 왜 다리가 아프신지 알고 계세요?”
김○○님 : “원래 나이가 먹으면 다 아프지 뭐”
* 대화를 나누어 보았을 때 김○○님께서는 질병과 치료요법에 대하
여 부지하신 상태였음.
② 다리 골절에 대한 심각성을 설명했다.
→ 골절을 거듭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상생활의 능력 저하에 대해 설
명하고, 부종, 통증, 혈액순환장애 등의 합병증에 대해 설명함.
* 부종일 경우 : 주변 조직에 염증이 아직 남아있다
뼈가 이미 잘 붙었지만 주변 연부조직의 손상이 심각했을 경우,
뼈의 회복과 상관없이 근육이나 인대 등에서 염증반응이 지속
될 수 있다.
* 혈액순환장애일 경우 : 혈액순환이 악화되면 수분과 체액의 정
체가 일어나 부종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다.
③ 뼈 골절에 좋은 음식들을 먹도록 설명했다.
→ 1) 아몬드 :아몬드의 경우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고 뼈를 본래의 건
강한 상태로 되돌리는 데 도움을 준다. 하루 섭취량을 30g이하
(하루 20알 이하)로 섭취하도록 설명함.
2) 달걀 : 달걀은 특히 노른자의 경우 단백질도 풍부해 뼈 골격을
형성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작용을 해준다. (하루 섭취량
1~2알)
3) 멸치 : 칼슘이 매우 풍부하며 뼈 골절 회복에도 도움을 준다.
④ 낙상 예방법에 대하여 교육했다.
→ 1) 바닥이 미끄럽지 않게 유지한다 (ex. 화장실, 목욕탕)
2) 미끄럼 방지를 위해 패드를 깐다.
3) 바닥에 전선코드나 카펫등을 잘 정리한다.
4) 어두운 곳은 반드시 불을 켜고 다닌다.
5) 시력이 좋지 않으면 시력교정을 통해 넘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6) 가벼운 운동을 통해 적절한 근력을 유지한다.
⑤ 외우기 쉬운 간단한 운동 2가지를 교육했다.
1) 발끝당기기 - 무릎아래에 수건이나 베개를 깔아준 뒤 무릎으로 강
하게 베개나 수건을 5초가량 누르며 발끝을 무릎 쪽
으로 당기고 6~10초간 유지한다. 좌우 10번씩 3회
실시.
2) 의자에 앉아서 한쪽 다리 뻗어 올리기 의자에 가볍게 앉아 쭉 다
리를 들어올리고 발목을 가슴 방향으로 당긴 후, 완전히 뻗은 상태
에서 6초간 유지하고 멈춘다. (10회씩 3회 반복)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동작으로 시범을 보여 따라하도록 교육하고
매일 아침 일어나서 스트레칭을 하도록 격려한다.
⑥ 자녀에게 김○○씨의 질병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여 적절한 대처를 하
도록 했다.
→ 1) 가족에게 김 씨의 증상에 대해 설명 한다.
2) 병원에 함께 가서 진단을 받도록 하여 정확한 상태를 파악한다.
3) 김씨의 상태에 따른 올바른 질병 관리를 하도록 한다.
평가
ㆍ대상자는 3일 이내에 건강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말로 설명
할 수 있다 (달성)
ㆍ대상자는 3일 이내에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을 수행한다. (달성)
ㆍ대상자는 6개월에 이내에 1번이상 꾸준히 병원 진료를 받
는다. (미달성)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하권(제6판), 전시자 외 9명, 현문사
- 서울세브란스병원, 서울 : http://sev.iseverance.com/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pub/
- 간호과정(개정판), 성미혜 외 10명, 정문각(2014)
-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0.01.30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