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실습case study - 진폐증 (오마하 진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case study - 진폐증 (오마하 진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case 선정이유
2) 문헌 고찰

Ⅱ 본론
1) 시나리오
2) 사례 개요
3) 간호과정 5단계

Ⅲ 결론
1) 소감문
2)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 설문지 비교
산업장
보건관리자
4. 간호수행
구분
내용
방법
이론적 근거
1. 보호구
착용미흡
1. 개인 보호구 지급
2. 보호구 착용 교육훈련
1. 근로자 개개인당 1개씩 보호구를 보유하도록 하였고 예비용 보호구를 구비하도록 지도하였다.
2. 보호구 착용의 방법, 중요성을 한 달에 한 번 식후, 시청각 자료로 교육하기로 했다.
1. 보호구를 착용함으로써 질병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다.
2. 시청각 자료로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
2. 진폐증 악화를 예방하기 위한 생활 속 예방법을 알려준다.
2. 진폐증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 생활 속 예방법을 알려준다.
2.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수행한 목록은 표시를 하도록 지도하였다.
2.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결과를 알 수 있다.
3. 매달 자가설문지 작성하도록 하기.
3. 자가설문지를 배부
3. 매달 둘째주 월요일에 자가설문지를 배부하여 즉시 설문지에 임하여 바로 제출하도록 한다.
3. 꾸준히 모아온 자가설문지는 근로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5. 간호평가 및 재 계획
기대되는 결과
평가방법
1. 대상자는 7일 이내 보호구 착용을 3회에서 5회로 높일 것 이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 직업성 질환(진폐증)을 교육받아 진폐증에 대하여 3가지 이상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3.대상자는 6개월간 보호구를 잘 착용하여, 보호구 착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4.대상자는 6개월간 매달 배부된 설문지에 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 동영상 시청 후 질문 형식으로 대상자의 인식 여부 확인하고, 보호구 착용 확인을 위하여 근로현장을 방문하여 보호구 착용률을 확인한다.
2. 대상자의 근로중 교육한 진폐증 질환 악화 예방내용을 실천하는지 실제 행동을 관찰한다.
3. 이전 설문지와 최근 설문지에 답한 대상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대상자의 몸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한다.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D)
“일을 할 때 소음 때문에 주변 말소리가 잘 안 들려.”
“고혈압이 있어서 평소에 고혈압 약을 먹고 있어.“
“가끔 이명이 들려”
“보호구 착용을 자주 깜빡깜빡해.”
객관적 자료(OD)
청력감별 검사 시 4000Hz : 45dB로 측정됨
소음으로 난청에 걸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어 근로자(직업병 요관찰자 C1)로 판정.
과거 혈압수치가 150/90 이었음
2. 간호진단(2) : 작업환경 소음과 관련된 난청위험성
영역
문제
진단명
증상 및 증후
Ⅲ. 생리 영역
17.청각
청력감별 검사에서 비정상적 결과
이명 비정상적 청력 검사결과
작업 시 보호구 미착용 귀에서 -삐 소리가 들림
3. 간호계획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소음으로 인한 난청예방 교육을 받는다.
대상자는 3일 이내 보호구를 지급받고 작업 시 보호구를 착용한다.
대상자는 매 작업시마다 정기적으로 청력 보호를 위한 휴식시간을 가진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6개월 이내 난청의 위험성을 알고, 개선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개선한다.
간호계획
수행계획
이론적 근거
제공자
평가계획
이론적 근거
제공자
내용
방법
1. 질병의 위험성을 이해함으로서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자각할 수 있다.
2. 간단한 귀보호구 착용으로 청력이 보호된다.
3. 잦은 소음 환경에서 주기적인 휴식은 청력 안정에 도움이 된다.
평가기준
평가방법
1.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교육 효과와 대상자의 이해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2. 작업장 내 소음수치 측정으로 기준치보다 낮은 소음수치를 유지, 관리 할 수 있다.
3. 작업장 내 소음수치 측정으로 기준치보다 낮은 소음수치를 유지, 관리 할 수 있다.
1.난청/소음에 대한 지식정도를사정한다.
2.대상자에게 작업 시 호구(귀마개)의 개수를 늘리고, 보호구 착용을 의무화한다.
3. 대상자에게 작업 시 휴식시간을 가지게하여 대상자의 청력을 보호한다.
1. 난청/소음의 위험성을 교육할 것이다.
2.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확보)
3. 주기적인 휴식시간 확보
1. 대상자에게 난청의 관한 증상과 위험성을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교육할 것이다.
2. 귀마개의 개수를 1인 1개로 시행한다.
3. 주기적인 휴식시간이 이루어지는 지 조사한다.
환경위생팀,
간호사
1. 교육내용을 질문하고 관찰한다.
2. 청력검사결과
3. 소음수치 측정
1. 교육한 내용을 되묻는 간단한 질문하여 한번 더 인식하게 한다.
2. 청력검사 시 난청 악화정도 사정
3. 소음 수치 측정 시 개선정도 측정
환경위생팀,
간호사
4. 간호수행
구분
내용
방법
이론적 근거
1. 난청의 위험성을 교육한다.
2. 보호구(귀마개)착용 의무화
3. 작업시 정기적인 휴식시간 확보
1. 난청의 위험성을 교육할 것이다.
2. 귀마개 보유 개수 증진
3. 매 작업 시 마다 정기적인 휴식시간 확보
1.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난청의 위험성을 교육할 것이다.
2. 청력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미착용자에 대한 보호구 지급 및 착용지도
3. 청력 손실자 업무 전환 혹은 근무 시간 단축, 휴식시간 확보 조치
1. 소음에 지속적인 노출 시 감각신경청 난청을 초례할 수 있다.
2. 귀마개, 귀덮개는 청력보호에 도움이 된다.
3. 잦은 소음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휴식은 청력 보호에 도움이 된다.
5. 간호평가 및 재 계획
기대되는 결과
평가방법
대상자는 3일 이내 소음으로 인한 난청예방 교육을 받고, 보호구를 지급받아 작업 시 보호구를 착용할 것이다.
대상자는 매 작업시마다 정기적으로 청력 보호를 위한 휴식시간을 가질 것 이다.
대상자는 6개월 이내 난청의 위험성을 알고, 개선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개선할 것이다.
대상자가 재방문 했을 시 보호구 착용 여부를 질문하고,
청력을 검사하여 대상자의 난청의 정도를 검진한다.
▷ 참고 문헌
차병헌 외 알기쉬운 병리학 - 『KMS 고문사』 (271~295p)
전시자. 김강미자, 박정숙, 이미화, 조경순 외 공저 (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서. (195~197p)
[네이버 지식백과] 진폐증 [pneumoconi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nursediary.net/ - 널스다이어리 (진폐증관련 이미지 다운)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0.01.3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