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창업기단계
II. 집단공동체단계
III. 공식화단계
IV. 정교화단계
* 참고문헌
II. 집단공동체단계
III. 공식화단계
IV. 정교화단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충돌을 보인다. 이 같은 상황 하에서 조직 전반에 걸쳐 혁신은 제약을 받게 된다. 결국 조직은 대규모화되고 복잡해진 조직을 공식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운영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IV. 정교화단계
지나친 금기사항으로 경화증에 걸려 위기를 맞은 조직은 팀제, NVD(New Venture Division), SBU(Strategic Business Unit), 그리고 매트릭스 조직과 같이 소규모나 혹은 정교한 구조재설계를 함으로써 다시 활력을 찾게 된다. 이 단계를 정교화단계(elaboration stage)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이미 관료제를 통한 성장은 한계에 다다르게 되고 조직성원은 보편적으로 자율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가급적 공식적인 통제를 회피하려 한다. 또한 관리자들도 관료화된 상태에서 더 이상 일하기를 원치 않는다.
따라서 조직의 관리자들은 관료제 구조 내에서 팀을 개발하려 하며 더 이상의 관료화는 막으려 한다. 그 결과 상호협동을 달성하기 위해 팀제가 회사 전체의 기능별 사업부별로 형성된다. 또 공식적인 시스템이 단순화되며 부분적으로 관리자 회의나 태스크포스로 대체된다. 이같이 조직의 관리자들이 팀빌딩, 수평적 조정관계와 구조의 유연성 및 융통성을 위한 메커니즘, 그리고 분권화를 강조하기 시작할 때 응집된 조직문화가 조직 내에서 중요한 관리요소로 등장하게 된다. 결국 이 단계에서는 관료주의적절차가 여전히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지배적인 것은 아니며 관료제의 특성들을 보완하고 완화할 수 있는 인적 관계와 팀델딩에 강조점을 둔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IV. 정교화단계
지나친 금기사항으로 경화증에 걸려 위기를 맞은 조직은 팀제, NVD(New Venture Division), SBU(Strategic Business Unit), 그리고 매트릭스 조직과 같이 소규모나 혹은 정교한 구조재설계를 함으로써 다시 활력을 찾게 된다. 이 단계를 정교화단계(elaboration stage)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이미 관료제를 통한 성장은 한계에 다다르게 되고 조직성원은 보편적으로 자율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가급적 공식적인 통제를 회피하려 한다. 또한 관리자들도 관료화된 상태에서 더 이상 일하기를 원치 않는다.
따라서 조직의 관리자들은 관료제 구조 내에서 팀을 개발하려 하며 더 이상의 관료화는 막으려 한다. 그 결과 상호협동을 달성하기 위해 팀제가 회사 전체의 기능별 사업부별로 형성된다. 또 공식적인 시스템이 단순화되며 부분적으로 관리자 회의나 태스크포스로 대체된다. 이같이 조직의 관리자들이 팀빌딩, 수평적 조정관계와 구조의 유연성 및 융통성을 위한 메커니즘, 그리고 분권화를 강조하기 시작할 때 응집된 조직문화가 조직 내에서 중요한 관리요소로 등장하게 된다. 결국 이 단계에서는 관료주의적절차가 여전히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지배적인 것은 아니며 관료제의 특성들을 보완하고 완화할 수 있는 인적 관계와 팀델딩에 강조점을 둔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추천자료
- 모티베이션 이론으로 분석한 CJ의 인사제도 분석
- 슈퍼비젼과 컨설테이션
- 이투스(ETOOS) 기업의 성장과정과 조직론적 특징
- 환경과 조직 및 기술과 조직
-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 정의][벤처기업 특징]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의 특징, ...
- [벤처기업환경][벤처기업][벤처기업환경 특징][벤처기업환경 의의][벤처기업환경 변화과정][...
- [조직관리][조직][조직관리 이론][조직관리 규정][조직관리 단계]조직관리의 이론, 조직관리...
- IBM의 혁신과정,조직생명주기를 통해 분석한 IBM,웅진그룹의 조직생명주기,노키아(NOKIA)의 ...
- [기업전략]기업전략(사업전략, 경영전략)의 의미, 종류, 기업전략(사업전략, 경영전략)의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