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문학에 대한 비평 에세이) 헤카베 - 그리스 시문화의 비극의 여주인공 헤카베의 복수는 정당한가 헤카베는 어떤 캐릭터로 형상화되었는가 또 헤카베가 붉은 눈의 개로 변신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변신의 의미는 무엇일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문학에 대한 비평 에세이) 헤카베 - 그리스 시문화의 비극의 여주인공 헤카베의 복수는 정당한가 헤카베는 어떤 캐릭터로 형상화되었는가 또 헤카베가 붉은 눈의 개로 변신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변신의 의미는 무엇일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위한 정의로 생각을 돌린 아가멤논을 대신하여 폴리메스토르를 벌한다. 그리고 어떻게 보면 죄가 없었던, 무고하게 희생당한 폴리메스토르의 아들들을 죽인 자신을 자기 손으로 직접 죽임으로써 복수와 함께 자신의 정의, 그리고 신념을 끝까지 지켜낸 고결한 존재로써 삶을 마감하게 된다.
즉, 헤카베는 자신의 정의를 지키기 위하여 복수의 주체가 되었으며, 이는 모성애를 가진 어머니 또는 여성의 모습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Ⅲ. 헤카베가 붉은 눈의 개로 변신한다고 표현되었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리스에서 “개”는 정화의 상징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케르베로스가 3개의 머리를 가진 개로 표현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그들은 무언가 문제가 생긴다거나 전쟁에서 승리를 했을 때 개를 도축함으로써 장애물을 없애고 모든 것을 말끔하게 만들 수 있다.라고 생각해왔다. 또한, 플라톤의 말을 인용하자면 “개는 알고 모르고를 기준으로 친구와 적의 얼굴을 잘 구분하기 때문에 진정한 철학자이다.”라고 표현을 하여 냉정한, 하지만 명확한 판단을 가진 동물로 묘사해왔다. 그리고 죽음의 신들과 연결된 케로베로스는 개의 얼굴로 묘사되었다. 케로베로스는 죽음의 신 하데스의 곁에서 죽음의 문을 지키는 문지기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개를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죽음과 연결되었으며, 한 번 죽음으로 발을 디딘 사람은 절대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냉정하면서도 신념을 가진 존재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내용들로 보아 헤카베가 개로 변신하였다고 표현된 이유는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을 때, 그리스 시대에서의 개는 냉정하지만 명확한 신념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정의와 신념을 지키기 위해 무고한 생명을 앗아간 이에게 복수하고 자살한 헤카베의 행동은 이익을 위하여 판단을 바꿔가는 사람들과 비교하였을 때 냉정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냉정함을 바탕으로 자신의 신념을 지킨다는 것을 개를 표현하는 방식들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붉은”이라는 표현은 보통 열정 또는 부정적인 측면에서 분노로 표현할 수 있다. 헤카베는 자신의 국가, 직위, 그리고 자녀들을 잃었기 때문에 매우 분노하였다. 그러한 와중에도 자신의 정의는 벗어나지 않기 위하여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여기서 ‘붉은 눈’은 모든 것을 잃은 헤카베의 분노를 표현함과 동시에 그녀는 그녀의 정의를 지키기 위하여 계속 그들을 설득하고 볼 것이다. 라는 모습으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즉, ‘붉은 눈의 개’는 분노, 또는 복수심에 타오른 헤카베는 공익을 위하여 자신의 신념을 저버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냉정하지만 누구보다 명확하게 자신의 정의를 지키는 올바른 존재라는 것을 표현한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정해갑, (2016). 에우리피데스의 여성인물 연구, 한국셰익스피어학회. 52(1), pp. 97~116.
이수진, (2018). 마리나 카의 그리스 비극 각색을 통한 화해 모색하기 : 『에리얼』,『거꾸로 가는 페드라』,『헤카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1.31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