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나는 학습자로서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 나는 학습자로서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통하여 훨씬 빠르게 촉진된다고 분석하였다. 필자의 분석을 바탕으로 필자와 비슷한 학습자들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식이 효율적인가 에 대하여 연구해본 결과, 학생 혹은 동료들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이어나가고, 누군가 한 명의 일방적인 학습이 아닌 모두가 같이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효율적인 교육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 형식의 교육 진행으로 많은 언어사용을 통한 인지발달 역시 기대할 수 있고 사제 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효율 적인 교육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3. 결론
교육자로서 우리가 가져야할 태도는 무엇일까? 우리를 믿고 배우는 학습자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교육자로서 가져야할 태도라고 생각한다. 강사와 선생님을 나누는 기준은 원하는 목표에 따라 갈린다고 생각한다. 강사는 돈을 받고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선생님 즉, 교육자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학생들의 높은 성적, 좋은 대학으로의 진학을 목표로 두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이나, 가정에서는 수행할 수 없는 사회적인 생활에 대한 교육 역시 겸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에게 좋은 선생은 해당 과목을 잘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과의 공감을 통해 학생들의 마음을 알아주고, 그리고 인생선배로서 앞으로의 방향성에 힌트를 주는 것이 좋은 선생이라고 생각한다. 교수의 경우도 비슷하다. 교수는 교육자이기 이전에 연구자다. 학생들에게 교수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것 역시 좋지만, 연구자로서 학생들을 같은 동료로 바라보고, 다른 시점에서의 좋은 아이디어를 줄 수 있는 동료라는 생각으로 같이 연구를 해나 가는 것이 학습자들이 원하는 방향성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학습자들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나가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학습자들도 내가 전해주는 정보들을 단순하게 외우고 받아들이기 보단. 대화를 통해 보다 심화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참고문헌 및 자료
- 김선양, 교육학개론, 한국학술정보, 2011
- 임단우, 교육학 학습 이렇게 : 이해가 쏙쏙 잘 되는 교육학 이론 설명서, 너츠볼츠, 2018
- 김아영 외, 교육심리학, 학문사, 1997
- A. 아들러, 아들러 심리학 입문 플러스 : 오늘을 살아가는 용기와 인간관계를 위한 모든 것 , 스타북스, 2018
- 김규태, 교육학의 이해, 양성원, 2019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1.31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