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인문학
(2) 영화(드라마)
(3) 인문학과 영화(드라마)
II. 본 론
(1) 헤겔의 변증법
(2) 자크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III. 결 론
참고문헌
(1) 인문학
(2) 영화(드라마)
(3) 인문학과 영화(드라마)
II. 본 론
(1) 헤겔의 변증법
(2) 자크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대한다. 모텔 바로 뒤쪽 빅토리아풍의 큰 저택에서 몸이 불편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고 말하는 모텔 주인 노만. 어머니와 친근한 관계를 보이는 노만에게 친절감을 느낀 마리온은 편안한 마음으로 샤워를 하러 화장실로 들어간다. 다음날 마리온의 방에 들어간 노만은 매우 놀란다. 싸늘한 주검으로 변한 마리온을 보며 노만은 자신이 범인으로 오해를 받을까봐 매우 불안하다. 노만은 급하게 마리온의 시체를 비롯한 모든 것을 차에 옮겨 수장시킨다. 마리온의 실종을 알게 된 마리온의 회사는 탐정을 고용, 마리온을 추적하고, 마리온의 언니와 그녀의 연인 샘 역시 마리온을 찾기에 나선다. 회사에서 고용한 탐정은 수사 도중 살해를 당하고 마리온의 언니는 모텔 주인 노만에게 마리온의 행적을 묻는데... 아무래도 수상해 보이는 노만 몰래 노만의 집에 잠입한다. 마리온의 언니 라일라는 같이 살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고 매우 놀란다. 노만의 어머니는 백골의 형태로 이미 죽은 지 오래 된 시신이었던 것이다. 노만은 라일라를 죽이려하고 샘은 라일라를 도와 노만을 잡는데 성공한다. 노만은 어머니의 역할도 했던 이중인격자로 마리온을 죽였던 것이다. 그가 이렇게 된 데에는 새 아버지와의 갈등이 첫 번째였다. 어머니의 재혼으로 어머니의 사랑을 뺐겼다고 생각한 너만은 아버지를 살해했고 그러던 와중에 어머니까지 살해했다. 이를 인정할 수 없었던 노만은 스스로 인격을 나눴던 것이다.
정신분석학적으로도 많은 연구 대상이 되는 영화 <싸이코>에서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는 어떻게 나눠볼 수 있을까? 싸이코의 상상계는 어머니와 행복하게 살고 있는 노만일 것이다. 상징계 속에서 어머니와 행복하게 살던 노만은 어머니의 재혼으로 새 아버지를 얻게 되고, 그는 어머니와 본질적인 사랑을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상황이 그의 상징계 였을 것이다. 이는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컴플렉스와 정확하게 일맥상통하는 상황으로 상징계의 공격을 받은 노만의 정신세계는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는 새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까지 우발적으로 살해하게 되는 실재계를 겪게 되었다. 그리고 노만은 자신을 어머니라고 생각하는 대타자를 만들어 정신을 분열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는 괴물이 되어 연쇄살인마가 되었고 마리온까지 살해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영화 싸이코를 통해 라캉의 보로메오 매듭의 비유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노만의 보로메오 매듭의 하나 (상징계)가 풀리자 그의 인격세계는 와르르 무너져버렸고 노만은 정신병자가 되었던 것이다.
III. 결 론
처음에 철학을 접했을 때 막연한 어려움이 있었다. 같은 한글이라도 이게 한글인지 외계언지 이해하기 힘들었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좌절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계하기 위해 영화와 드라마라는 매체를 이용했다. 인간의 일상생활과 삶에 밀접한 영화와 드라마를 이용해 철학을 적용하고 대입해 보는 과정이 생각보다 매우 즐거웠다. 마치 숨은그림찾기를 하는 것처럼 이론을 대입해 보는 것이 재미있었고, 조사 과정 중 어려운 용어는 청소년들이 보는 서적을 참고해 이론에 대해 쉽게 이해해보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은 삶을 더욱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인간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 본질적으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철학은 어쩌면 뜬구름 잡는 학문일지도 모른다. 아니 적어도 전에는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여러 상황들과 이론을 적용해보니 이렇게 재미있는 학문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더욱더 많은 영화들을 인문학에 적용해 보고 싶다.
참고문헌
1. 재미있는 철학이야기- 변증법이 무엇인가요? <이수석, 김민송 저> 가나출판사
2, 헤겔, 사랑의 변증법 <네이버 포스트>
정신분석학적으로도 많은 연구 대상이 되는 영화 <싸이코>에서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는 어떻게 나눠볼 수 있을까? 싸이코의 상상계는 어머니와 행복하게 살고 있는 노만일 것이다. 상징계 속에서 어머니와 행복하게 살던 노만은 어머니의 재혼으로 새 아버지를 얻게 되고, 그는 어머니와 본질적인 사랑을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상황이 그의 상징계 였을 것이다. 이는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컴플렉스와 정확하게 일맥상통하는 상황으로 상징계의 공격을 받은 노만의 정신세계는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는 새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까지 우발적으로 살해하게 되는 실재계를 겪게 되었다. 그리고 노만은 자신을 어머니라고 생각하는 대타자를 만들어 정신을 분열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는 괴물이 되어 연쇄살인마가 되었고 마리온까지 살해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영화 싸이코를 통해 라캉의 보로메오 매듭의 비유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노만의 보로메오 매듭의 하나 (상징계)가 풀리자 그의 인격세계는 와르르 무너져버렸고 노만은 정신병자가 되었던 것이다.
III. 결 론
처음에 철학을 접했을 때 막연한 어려움이 있었다. 같은 한글이라도 이게 한글인지 외계언지 이해하기 힘들었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좌절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계하기 위해 영화와 드라마라는 매체를 이용했다. 인간의 일상생활과 삶에 밀접한 영화와 드라마를 이용해 철학을 적용하고 대입해 보는 과정이 생각보다 매우 즐거웠다. 마치 숨은그림찾기를 하는 것처럼 이론을 대입해 보는 것이 재미있었고, 조사 과정 중 어려운 용어는 청소년들이 보는 서적을 참고해 이론에 대해 쉽게 이해해보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은 삶을 더욱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인간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 본질적으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철학은 어쩌면 뜬구름 잡는 학문일지도 모른다. 아니 적어도 전에는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여러 상황들과 이론을 적용해보니 이렇게 재미있는 학문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더욱더 많은 영화들을 인문학에 적용해 보고 싶다.
참고문헌
1. 재미있는 철학이야기- 변증법이 무엇인가요? <이수석, 김민송 저> 가나출판사
2, 헤겔, 사랑의 변증법 <네이버 포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