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질병경과
4. 간호과정
Ⅳ. 결 론
Ⅴ.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질병경과
4. 간호과정
Ⅳ. 결 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 해소
PO
1일 3회
드물게 경미한 소화기장애
장염의 전형적 증상인 설사, 구역, 구토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된 약물인것같다.
베타미가서방정 50mg (미라베그론)
과민성 방광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절박뇨, 빈뇨 및/또는 절박요실금 증상의 치료
PO
1일 1회
중증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는 투여금지
이 환자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어서 추가적으로 처방된 약물인것같다.
탐로스타서방정 0.2mg (탐스로신염산염)
양성 전립샘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PO
1일 1회
일시적인 혈중 농도 상승
이 환자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어서 추가적으로 처방된 약물인것같다.
에소메졸캡슐 20mg (에스오메프라졸스트로튬사수화물)
식도염이 없는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치료요법
PO
5일 1회
말초 부종, 저나트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불면, 초조, 정신 혼란, 우울, 공격성, 환각
이 환자는 경증의 위-식도역류병이 동반되었는데 해당질병을 완화하기 위해 투여된 것 같다.
라미나지액 20ml/포
위ㆍ십이지장궤양, 미란성 위염의 지혈, 자각증상 개선과 역류성 식도염의 자각증상 개선
PO
1일 3회
때때로 설사, 변비
약물투여로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위장을 보호하기위해 투여된 것 같다.
약물
3. 치료 및 질병경과20180718
08 : 08
내원 5일전부터 abd pain, diarrhea #수십회, vomitting, chiling, fever 있어 도보로 ER 내원함
v/s 120/80 84 20 36.1 checked
08 : 15
HS500ml, TIR01@, RANI1@
iv start dropping done
iv side inj done
blood sample taken
09 : 20
익일부터 6내과로 입원하여 경과 보기로함
10 : 05
x-ray, EKG checked
입원안내 수속함
10 : 57
v/s 100/60 72 20 36.6 checked
11 : 32
50병동 인수인계후 병실올라감
11 : 35
트리악손주사2g(Type2)키트 admitted
s) 나흘전부터 설사하고 속이 안 좋아서 여기 병원 다니다가 증상이 안나아서 왔어요
o) v/s 110/70 76 20 37.2 checked
14 : 00
복통 없으며 설사 한 차례봄
색깔 정상이라함
16 : 00
컨디션 확인함.
비뇨기과 협진보고 BPH po났음을 확인함
20 : 00
즉 10sp하였으며, 복통(+) 오심(-) 설사 3회 배고프다함.
시식 안된다고 함.
20180719
06 : 00
물 먹고하면 배부글거리면서 배가 싸리하게 아프다고 함.
밤동안 설사한 것 없으나 설사할 것 같은 느낌이 난다고 함.
본원 비뇨기과 약 먹고 밤 동안 소변 2차례 봤다고 함.
본원에서 비뇨기과약 처방 원함.
09 : 00
죽 조금 더 먹었다고 하며 복통 없고 설사 한 차례 했다함.
설사증상은 며칠 갈 수 있다고 설명됨.
lab 결과 포타슘 2.7로 낮아서 케이콘틴 add.
14 : 00
죽 2/3정도 먹었다고 하며 설사 한차례 있었다 함.
20 : 00
복통호소 (-) 설사(-)
죽 다 먹었다고하며 약간 더부룩한감 잔재한다고 함.
20180720
06 : 00
한번씩 배가 싸리하게 아프다고 함.
설사 (-)
09 : 00
아침에 설사 (-)
속쓰림 호소하여 스토가 d/c하고 po변경됨.
14 : 00
복통(-) 오심(-) 설사(-)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하루에도 10번 넘게 화장실을 가게 되요.”
“계속 물 같은 변을 봐요.”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물처럼 거의 농도가 없는 변이 관찰되었다.
배변횟수와 장음이 증가되어있다.
칼륨수치가 2.7로 저하되어있다.
간호진단
감염 및 증가된 연동운동과 관련된 배변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 단기목표
3일내로 일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 1일내로 수분 및 전해질이 안정되어있다.
계획
진단적 : 섭취량, 배설량 모니터
변의 횟수, 경도, 색깔 관찰 및 기록
치료적 : 처방된 지사제 투여하고, 투약의 효과를 모니터하고 보고한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소량 먹는다.
교육적 : 설사양상기록 및 간호사에게 보 고하도록 교육
이론적
근거
진단적 : 병의 중증도 여부 및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 연동운동을 최소로 감소시 켜 장을 쉬게한다.
교육적 : 변의 특성을 모니터하고 기 록함으로써 진단과 치료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이룰 수 있다.
수행
진단적 : 변의 횟수, 경도, 색깔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치료적 : 처방된 지사제를 투여함. 내원하는 동안 우유, 카페인, 고섬유질음식등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키는 음식을 피하도록 했다.
교육적 : 설사를 하면 변의 양상을 기록하고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환자가 화장실 가는 횟수가 내원 전 수십회에서 내원후 1~2회로 감소하였다.
대상자의 대변양상이 물같은 설사에서 일반적인 경도의 변으로 변화되었다.
4. 간호과정
Ⅳ. 결론
변00님은 3일간 병원에 입원을 했었고, 나는 장기계획으로 3일내 일반적 배변양상을 띄우는 것으로, 단기계획으로 1일내 수분 전해질의 회복으로 잡았다. 3일간 변00님의 배변양상을 확인한 결과 내원후 배변양상은 장염증상을 호소하기 전과 같다고 말해주셨다. 장기계획으로 세운 배변양상의 회복은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투여된 약물은 스토가정(1일 1회), 메디락디에스장용캡슐(1일 3회), 디세텔정(1일 3회), 라미나지액(1일 3회), 에소메졸캡슐(5일 1회)이다.
변00님은 지사제를 복용하면서, 식단은 계속 죽과 미음같은 부드러운 식이로 진행하면서 장에 부담을 덜어준 결과, 변00님은 입원 3일만에 퇴원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_PACIFIC MEDICAL SURGICAL NURSING, Pacific books, 2014.
강미자 외 편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06.
이애주 외 편저, 임상간호 실무지침Ⅱ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드러그인포
약학정보원
PO
1일 3회
드물게 경미한 소화기장애
장염의 전형적 증상인 설사, 구역, 구토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된 약물인것같다.
베타미가서방정 50mg (미라베그론)
과민성 방광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절박뇨, 빈뇨 및/또는 절박요실금 증상의 치료
PO
1일 1회
중증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는 투여금지
이 환자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어서 추가적으로 처방된 약물인것같다.
탐로스타서방정 0.2mg (탐스로신염산염)
양성 전립샘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PO
1일 1회
일시적인 혈중 농도 상승
이 환자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어서 추가적으로 처방된 약물인것같다.
에소메졸캡슐 20mg (에스오메프라졸스트로튬사수화물)
식도염이 없는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치료요법
PO
5일 1회
말초 부종, 저나트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불면, 초조, 정신 혼란, 우울, 공격성, 환각
이 환자는 경증의 위-식도역류병이 동반되었는데 해당질병을 완화하기 위해 투여된 것 같다.
라미나지액 20ml/포
위ㆍ십이지장궤양, 미란성 위염의 지혈, 자각증상 개선과 역류성 식도염의 자각증상 개선
PO
1일 3회
때때로 설사, 변비
약물투여로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위장을 보호하기위해 투여된 것 같다.
약물
3. 치료 및 질병경과20180718
08 : 08
내원 5일전부터 abd pain, diarrhea #수십회, vomitting, chiling, fever 있어 도보로 ER 내원함
v/s 120/80 84 20 36.1 checked
08 : 15
HS500ml, TIR01@, RANI1@
iv start dropping done
iv side inj done
blood sample taken
09 : 20
익일부터 6내과로 입원하여 경과 보기로함
10 : 05
x-ray, EKG checked
입원안내 수속함
10 : 57
v/s 100/60 72 20 36.6 checked
11 : 32
50병동 인수인계후 병실올라감
11 : 35
트리악손주사2g(Type2)키트 admitted
s) 나흘전부터 설사하고 속이 안 좋아서 여기 병원 다니다가 증상이 안나아서 왔어요
o) v/s 110/70 76 20 37.2 checked
14 : 00
복통 없으며 설사 한 차례봄
색깔 정상이라함
16 : 00
컨디션 확인함.
비뇨기과 협진보고 BPH po났음을 확인함
20 : 00
즉 10sp하였으며, 복통(+) 오심(-) 설사 3회 배고프다함.
시식 안된다고 함.
20180719
06 : 00
물 먹고하면 배부글거리면서 배가 싸리하게 아프다고 함.
밤동안 설사한 것 없으나 설사할 것 같은 느낌이 난다고 함.
본원 비뇨기과 약 먹고 밤 동안 소변 2차례 봤다고 함.
본원에서 비뇨기과약 처방 원함.
09 : 00
죽 조금 더 먹었다고 하며 복통 없고 설사 한 차례 했다함.
설사증상은 며칠 갈 수 있다고 설명됨.
lab 결과 포타슘 2.7로 낮아서 케이콘틴 add.
14 : 00
죽 2/3정도 먹었다고 하며 설사 한차례 있었다 함.
20 : 00
복통호소 (-) 설사(-)
죽 다 먹었다고하며 약간 더부룩한감 잔재한다고 함.
20180720
06 : 00
한번씩 배가 싸리하게 아프다고 함.
설사 (-)
09 : 00
아침에 설사 (-)
속쓰림 호소하여 스토가 d/c하고 po변경됨.
14 : 00
복통(-) 오심(-) 설사(-)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하루에도 10번 넘게 화장실을 가게 되요.”
“계속 물 같은 변을 봐요.”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물처럼 거의 농도가 없는 변이 관찰되었다.
배변횟수와 장음이 증가되어있다.
칼륨수치가 2.7로 저하되어있다.
간호진단
감염 및 증가된 연동운동과 관련된 배변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 단기목표
3일내로 일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 1일내로 수분 및 전해질이 안정되어있다.
계획
진단적 : 섭취량, 배설량 모니터
변의 횟수, 경도, 색깔 관찰 및 기록
치료적 : 처방된 지사제 투여하고, 투약의 효과를 모니터하고 보고한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소량 먹는다.
교육적 : 설사양상기록 및 간호사에게 보 고하도록 교육
이론적
근거
진단적 : 병의 중증도 여부 및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 연동운동을 최소로 감소시 켜 장을 쉬게한다.
교육적 : 변의 특성을 모니터하고 기 록함으로써 진단과 치료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이룰 수 있다.
수행
진단적 : 변의 횟수, 경도, 색깔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치료적 : 처방된 지사제를 투여함. 내원하는 동안 우유, 카페인, 고섬유질음식등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키는 음식을 피하도록 했다.
교육적 : 설사를 하면 변의 양상을 기록하고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환자가 화장실 가는 횟수가 내원 전 수십회에서 내원후 1~2회로 감소하였다.
대상자의 대변양상이 물같은 설사에서 일반적인 경도의 변으로 변화되었다.
4. 간호과정
Ⅳ. 결론
변00님은 3일간 병원에 입원을 했었고, 나는 장기계획으로 3일내 일반적 배변양상을 띄우는 것으로, 단기계획으로 1일내 수분 전해질의 회복으로 잡았다. 3일간 변00님의 배변양상을 확인한 결과 내원후 배변양상은 장염증상을 호소하기 전과 같다고 말해주셨다. 장기계획으로 세운 배변양상의 회복은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투여된 약물은 스토가정(1일 1회), 메디락디에스장용캡슐(1일 3회), 디세텔정(1일 3회), 라미나지액(1일 3회), 에소메졸캡슐(5일 1회)이다.
변00님은 지사제를 복용하면서, 식단은 계속 죽과 미음같은 부드러운 식이로 진행하면서 장에 부담을 덜어준 결과, 변00님은 입원 3일만에 퇴원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_PACIFIC MEDICAL SURGICAL NURSING, Pacific books, 2014.
강미자 외 편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06.
이애주 외 편저, 임상간호 실무지침Ⅱ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드러그인포
약학정보원
추천자료
뇌졸중 CVA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급성 신우신염 APN acute pyelonephritis case
Acute hepatitis case study
급성담낭염 case study입니다 실습과제 A+받았습니다 간호과정 및 진단 5개 있습니다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급성담낭염 case study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척추관협착증 case study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척추협착증 case study
(A+받음)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경산시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