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박카스 제품개요
2. 박카스의 탄생
3. 박카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박카스 STP분석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목표시장선정)
(3) Positioning (포지셔닝)
5. 박카스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박카스 미래전략 수립
2. 박카스의 탄생
3. 박카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박카스 STP분석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목표시장선정)
(3) Positioning (포지셔닝)
5. 박카스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박카스 미래전략 수립
본문내용
스의 현 포지션은 30세~59세시장, 피로회복시장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20대 시장에서의 박카스의 포지션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박카스 포지셔닝>
20대에게 박카스의 포지션은 중장년층 이미지에 의약품도 피로회복제도 아닌 애매한 위치이다. TV에 나오는 광고를 보면 피로공감대만 형성되어있을 뿐 어느 상황에서 마셔야 하는지에 대한 상황에 관한 언급이 없다.
<20대에게 위치한 박카스의 포지셔닝>
5. 박카스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박카스가 처음 나온 60년대는 전쟁의 그늘이 가시지 않은 상태로 사람들이 영양실조로 픽픽 쓰러져 나가던 시기였다. 이때 미국의 원조로 비타민이 알려지면서 너도나도 비타민을 찾으면서 그 붐을 타고 첫 선을 보이게 되었는데, 알약 형태로 이름은 \'박카스-정\' 이었다. \'박카스-정\'은 불티나게 팔렸지만 알약의 당의가 녹는 문제가 발생해 1962년 20cc 앰플 형태인 \'박카스-내복액\'으로 교체되었다.
운반 중 앰플 용기가 파손되어 1963년 8월, 현재와 같은 드링크 형태의 \'박카스-D(Drink의 약자)\'가 나오게 되었다. 1991년 5월에 성분을 보강시켜 \'박카스-에프(Forte)\'로 발전하였고, 2005년 3월 18일, \'국민 드링크 박카스 에프가 \'박카스D\'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2) Price
저렴한 가격은 박카스의 주된 경쟁력이다. 마케팅 믹스 중에서 가장 민감하다고 볼 수 있는 가격은 작은 변화가 바로 영향을 끼치는데, 물가 변화에도 쉽게 가격을 올리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가격 면에서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가격 개당 현재 750원이라고 하고, Box로 구매하면 평균 4300~4700원까지 라고 한다.
(3) Place
대부분의 제약사는 전국 2만개 약국의 10-20%와 직거래, 80-90%는 도매상을 통하여 거래하고 있으나, 박카스는 전국 2만개 약국의 80%이상과 직거래하는 루트판매 시스템을 실시한다는 것은 즉 전국의 약국을 일일이 돌아다니며 직접 박카스를 판매하고 때로는 셋팅까지 도와주면서 바로 현금결재를 받아오는 식의 직접거래를 시행하고 있다.
(4) Promotion
1998년부터 시작된 대학생 국토대장정은 도전의 이벤트로 태어났다. 박카스와 젊은이를 이어줄 빅 아이디어였다. 단순한 1회용 광고 PR이벤트가 아니고 기업이 자체의 이익 못지않게 사회적 공익을 위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했다.
나약하고 여성화되어 가는 젊은 세대들에게 땅 끝에서 땅 끝까지 걷는 국토 대장정은 자신을 실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로부터는 젊은 새내기를 보여주는 무대가 되었다. 그러나 이 국토대장정은 하마터면 묻힐 뻔했다. 1998년 박카스가 타깃을 전환한 후 젊은이들의 공감대가 가장 클 만한 이벤트를 찾던 중 많이 검토된 것은 길거리 농구대회나 등반대회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동아제약 경영진들은 큰 산과 장강을 볼 줄 알았기에 행사하나에도 공익적인 가치를 잊지 않았다.
적어도 국토를 걷는 동안자신과 가족과 이웃 그리고 나라사랑 정신을 깨우칠 것임을 의심치 않았기에 기꺼이 큰돈을 들여 대장정을 선택했던 것이다. 그리고 해마다 의심치 않았기에 기꺼이 큰돈을 들여 대장정을 선택했던 것이다. 그리고 해마다 캐치프레이즈를 갖고 코스를 정했다.
그리고 박카스의 광고는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시리즈물을 내놓으면서 잠재고객들에게 포지셔닝이 성공적이었는데, 제품을 지나치게 부각시키지 않으면서도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공약적 내용이 바로 성공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다.
새한국인 시리즈는 철도보선원, 택시 운전기사, 외국 건설현장의 노동자, 환경미화원 등을 등장시켜 땀의 가치와 그를 존중하는 사회를 구현하려는 의도를 보여주었고 전철 안의 노약자석 편은 우리의 전철 이용 문화를 바꿔놓을 만큼 위력이 컸다.
해외 시장에서도 박카스는 약효를 강조하는 광고보다 한국 민속풍경을 보여주거나 교포 테니스 선수를 모델로 등장시켜 교민들의 노스탤지어를 자아내는 광고를 하였다. 이처럼 박카스는 우리 이웃이 살아가는 진솔한 모습을 제품 홍보로 담아내어 친근감을 주었고 서민적, 대중적 드링크로 포지셔닝했으며 공익적 내용으로 캠페인성 공익 마케팅을 대신했다. 의약품임에도 효능, 효과나 성분을 강조하는 광고는 피하고 감성에 호소하는 광고를 펼침으로써 제품 이미지를 건전하게 유지하고 시간이 흘러도 잊히지 않는 브랜드로 자리매김 한 것이다.
6. 박카스 미래전략 수립
동아제약은 박카스라는 브랜드와 상품의 질을 오랫동안 고집하여 차후 시장 개방화에 의해 외국업체가 국내로 진입하였을 경우 경쟁력이 있는지 검토를 해 보아야 할 것이며, 같은 산업군에 속하게 될 외국의 경쟁업체 중 경쟁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대체 상품이 있는지 여부도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도전적으로 박카스의 국내 시장을 위협해오는 비타민 드링크류에 대한 대응책도 강구하여야 한다.
이에 박카스는 현재의 제품은 유지, 지속적으로 판매하며 상품의 차별화 및 다변화를 꽤해야 한다. 차별화로는 현 성분을 분석 강화를 통한 고기능화, 고가격화 된 새로운 박카스의 출시를 들 수 있다. 다변화로는 젊은 세대를 겨냥한 캔으로 포장된 가벼운 음료 성격의 박카스 생산이다. 실제로 동남아 등지엔 박카스 캔을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어 이의 한국시장 도입을 고려해야한다.
세대간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 전개 드링크제에 대한 소비자 요구의 연령별 양분화에 따른 Multi Target 설정 정체를 보이고 있는 제약 드링크 시장 내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나아가서 예비 충성층의 음용률 확대를 통한 신규층(10~20대, 여성)의 loyalty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박카스 주 경쟁시장이 드링크제 뿐만 아니라 음료시장
까지 확대됨에 따라 젊은층(10~20대)을 목표 Target으로 설정하되, 기존 Heavy User층인 30~50대를 포용하는 Target 전략이 요구된다. 이엔 현재의 박카스 캠페인의 연장선상에서 제품의 기본적 욕구인 육체 및 정신적 피로회복을 표현하는 소재와 세대간의 공감대를 제공할 수 있는 지속적인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림. 박카스 포지셔닝>
20대에게 박카스의 포지션은 중장년층 이미지에 의약품도 피로회복제도 아닌 애매한 위치이다. TV에 나오는 광고를 보면 피로공감대만 형성되어있을 뿐 어느 상황에서 마셔야 하는지에 대한 상황에 관한 언급이 없다.
<20대에게 위치한 박카스의 포지셔닝>
5. 박카스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박카스가 처음 나온 60년대는 전쟁의 그늘이 가시지 않은 상태로 사람들이 영양실조로 픽픽 쓰러져 나가던 시기였다. 이때 미국의 원조로 비타민이 알려지면서 너도나도 비타민을 찾으면서 그 붐을 타고 첫 선을 보이게 되었는데, 알약 형태로 이름은 \'박카스-정\' 이었다. \'박카스-정\'은 불티나게 팔렸지만 알약의 당의가 녹는 문제가 발생해 1962년 20cc 앰플 형태인 \'박카스-내복액\'으로 교체되었다.
운반 중 앰플 용기가 파손되어 1963년 8월, 현재와 같은 드링크 형태의 \'박카스-D(Drink의 약자)\'가 나오게 되었다. 1991년 5월에 성분을 보강시켜 \'박카스-에프(Forte)\'로 발전하였고, 2005년 3월 18일, \'국민 드링크 박카스 에프가 \'박카스D\'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2) Price
저렴한 가격은 박카스의 주된 경쟁력이다. 마케팅 믹스 중에서 가장 민감하다고 볼 수 있는 가격은 작은 변화가 바로 영향을 끼치는데, 물가 변화에도 쉽게 가격을 올리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가격 면에서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가격 개당 현재 750원이라고 하고, Box로 구매하면 평균 4300~4700원까지 라고 한다.
(3) Place
대부분의 제약사는 전국 2만개 약국의 10-20%와 직거래, 80-90%는 도매상을 통하여 거래하고 있으나, 박카스는 전국 2만개 약국의 80%이상과 직거래하는 루트판매 시스템을 실시한다는 것은 즉 전국의 약국을 일일이 돌아다니며 직접 박카스를 판매하고 때로는 셋팅까지 도와주면서 바로 현금결재를 받아오는 식의 직접거래를 시행하고 있다.
(4) Promotion
1998년부터 시작된 대학생 국토대장정은 도전의 이벤트로 태어났다. 박카스와 젊은이를 이어줄 빅 아이디어였다. 단순한 1회용 광고 PR이벤트가 아니고 기업이 자체의 이익 못지않게 사회적 공익을 위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했다.
나약하고 여성화되어 가는 젊은 세대들에게 땅 끝에서 땅 끝까지 걷는 국토 대장정은 자신을 실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로부터는 젊은 새내기를 보여주는 무대가 되었다. 그러나 이 국토대장정은 하마터면 묻힐 뻔했다. 1998년 박카스가 타깃을 전환한 후 젊은이들의 공감대가 가장 클 만한 이벤트를 찾던 중 많이 검토된 것은 길거리 농구대회나 등반대회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동아제약 경영진들은 큰 산과 장강을 볼 줄 알았기에 행사하나에도 공익적인 가치를 잊지 않았다.
적어도 국토를 걷는 동안자신과 가족과 이웃 그리고 나라사랑 정신을 깨우칠 것임을 의심치 않았기에 기꺼이 큰돈을 들여 대장정을 선택했던 것이다. 그리고 해마다 의심치 않았기에 기꺼이 큰돈을 들여 대장정을 선택했던 것이다. 그리고 해마다 캐치프레이즈를 갖고 코스를 정했다.
그리고 박카스의 광고는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시리즈물을 내놓으면서 잠재고객들에게 포지셔닝이 성공적이었는데, 제품을 지나치게 부각시키지 않으면서도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공약적 내용이 바로 성공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다.
새한국인 시리즈는 철도보선원, 택시 운전기사, 외국 건설현장의 노동자, 환경미화원 등을 등장시켜 땀의 가치와 그를 존중하는 사회를 구현하려는 의도를 보여주었고 전철 안의 노약자석 편은 우리의 전철 이용 문화를 바꿔놓을 만큼 위력이 컸다.
해외 시장에서도 박카스는 약효를 강조하는 광고보다 한국 민속풍경을 보여주거나 교포 테니스 선수를 모델로 등장시켜 교민들의 노스탤지어를 자아내는 광고를 하였다. 이처럼 박카스는 우리 이웃이 살아가는 진솔한 모습을 제품 홍보로 담아내어 친근감을 주었고 서민적, 대중적 드링크로 포지셔닝했으며 공익적 내용으로 캠페인성 공익 마케팅을 대신했다. 의약품임에도 효능, 효과나 성분을 강조하는 광고는 피하고 감성에 호소하는 광고를 펼침으로써 제품 이미지를 건전하게 유지하고 시간이 흘러도 잊히지 않는 브랜드로 자리매김 한 것이다.
6. 박카스 미래전략 수립
동아제약은 박카스라는 브랜드와 상품의 질을 오랫동안 고집하여 차후 시장 개방화에 의해 외국업체가 국내로 진입하였을 경우 경쟁력이 있는지 검토를 해 보아야 할 것이며, 같은 산업군에 속하게 될 외국의 경쟁업체 중 경쟁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대체 상품이 있는지 여부도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도전적으로 박카스의 국내 시장을 위협해오는 비타민 드링크류에 대한 대응책도 강구하여야 한다.
이에 박카스는 현재의 제품은 유지, 지속적으로 판매하며 상품의 차별화 및 다변화를 꽤해야 한다. 차별화로는 현 성분을 분석 강화를 통한 고기능화, 고가격화 된 새로운 박카스의 출시를 들 수 있다. 다변화로는 젊은 세대를 겨냥한 캔으로 포장된 가벼운 음료 성격의 박카스 생산이다. 실제로 동남아 등지엔 박카스 캔을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어 이의 한국시장 도입을 고려해야한다.
세대간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 전개 드링크제에 대한 소비자 요구의 연령별 양분화에 따른 Multi Target 설정 정체를 보이고 있는 제약 드링크 시장 내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나아가서 예비 충성층의 음용률 확대를 통한 신규층(10~20대, 여성)의 loyalty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박카스 주 경쟁시장이 드링크제 뿐만 아니라 음료시장
까지 확대됨에 따라 젊은층(10~20대)을 목표 Target으로 설정하되, 기존 Heavy User층인 30~50대를 포용하는 Target 전략이 요구된다. 이엔 현재의 박카스 캠페인의 연장선상에서 제품의 기본적 욕구인 육체 및 정신적 피로회복을 표현하는 소재와 세대간의 공감대를 제공할 수 있는 지속적인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박카스 무엇을 의미하는가?_ 조사분석
광동제약 비타500
[국제마케팅]동아제약 박카스 사례분석
핫식스 (Hot6ix) 마케팅 전략분석과 new 마케팅 전략제안
박카스,마케팅전략,블로그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박카스마케팅,마케팅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핫식스 Hot6ix 마케팅전략분석과 핫식스 마케팅 전략제안 - SWOT 분석, STP전략, 프로모션 전...
[음료][웅진]웅진식품 초록매실, 해태음료 갈아만든 홍사과, 해태음료 썬키스트, 롯데칠성음...
[A+] 핫식스 제품분석/ 핫식스 마케팅전략분석/ 핫식스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