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가정하는 망각 이론
간섭 이론(interference theory) : 다른 정보들이 망각된 정보를 간섭하여 그것에 접
근할 수 없도록 만든다고 주장하는 망각 이론
- 전진형 간섭(proactive interference) : 새로운 정보를 인출하는 데 있어서 이전에
이루어진 학습내용이 혼란스러워 지는 현상
- 후진형 간섭(retroactive interference) : 새로운 학습이 이전에 학습한 정보들의
인출을 혼란스럽게 하는 현상
단서-의존 이론(cue-dependent theory) : 인출에 필요한 단서들이 이용 가능하지
않으므로 우리가 망각한다는 이론. 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어디에 있
는지 모르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망각 이론.
- 설단현상(tip-of-the-tongue, TOT) : 무엇인가를 거의 다 회상한 듯한데 기억이 끝
내 나지 않는 것
3) 인출의 재구성적 특성
① 도식(schemas):사람, 사물, 사건, 그리고 행동 등에 대해 개인이 지닌 지식의 참조틀
예) 식당에서 식사하는 경우
- Frederick Bartlett의 연구 :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이 다소 생소한 이야기를 공부하도
록 한 다음, 다양한 시간간격으로 그 이야기에 대해 측정하는 실험. 그 결과, 사람들은
자신만의 도식과 일치하도록 그 이야기를 만들어냄. 하지만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그 이
야기의 세세한 부분들을 바꾸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
② 잘못된 기억(false memory) : 정확한 기억만큼 실제적이라고 느끼지만 사실은 부정확
한 기억
- 정보원 오인(source misattribution) : 기억에 대한 진짜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여,
잘못된 정보를 기억의 원인으로 생각(왜곡)하는 것
- 상상팽창 : 한 사건을 반복적으로 상상하여 그 사건에 대해 잘못된 기억을 생성 하고
그 잘못된 기억으로 자신감이 증진 됨
- 관찰팽창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그 행동을 자기가 실제 했다고 거짓
기억하게 되는 것
- 오도효과 : 잘못된 정보에 노출됨으로써 일어나는 기억의 왜곡
예) 그 차들이 부딪쳐서 완전히 박살났을 때, 얼마나 빨리 달리고 있었나요?
그 차들이 서로 부딪쳤을 때, 얼마나 빨리 달리고 있었나요?
* 잘못된 기억 Loftus와 Palmer의 연구 :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 아동기 학대에 대한 억압된 기억의 타당성
간섭 이론(interference theory) : 다른 정보들이 망각된 정보를 간섭하여 그것에 접
근할 수 없도록 만든다고 주장하는 망각 이론
- 전진형 간섭(proactive interference) : 새로운 정보를 인출하는 데 있어서 이전에
이루어진 학습내용이 혼란스러워 지는 현상
- 후진형 간섭(retroactive interference) : 새로운 학습이 이전에 학습한 정보들의
인출을 혼란스럽게 하는 현상
단서-의존 이론(cue-dependent theory) : 인출에 필요한 단서들이 이용 가능하지
않으므로 우리가 망각한다는 이론. 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어디에 있
는지 모르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망각 이론.
- 설단현상(tip-of-the-tongue, TOT) : 무엇인가를 거의 다 회상한 듯한데 기억이 끝
내 나지 않는 것
3) 인출의 재구성적 특성
① 도식(schemas):사람, 사물, 사건, 그리고 행동 등에 대해 개인이 지닌 지식의 참조틀
예) 식당에서 식사하는 경우
- Frederick Bartlett의 연구 :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이 다소 생소한 이야기를 공부하도
록 한 다음, 다양한 시간간격으로 그 이야기에 대해 측정하는 실험. 그 결과, 사람들은
자신만의 도식과 일치하도록 그 이야기를 만들어냄. 하지만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그 이
야기의 세세한 부분들을 바꾸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
② 잘못된 기억(false memory) : 정확한 기억만큼 실제적이라고 느끼지만 사실은 부정확
한 기억
- 정보원 오인(source misattribution) : 기억에 대한 진짜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여,
잘못된 정보를 기억의 원인으로 생각(왜곡)하는 것
- 상상팽창 : 한 사건을 반복적으로 상상하여 그 사건에 대해 잘못된 기억을 생성 하고
그 잘못된 기억으로 자신감이 증진 됨
- 관찰팽창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그 행동을 자기가 실제 했다고 거짓
기억하게 되는 것
- 오도효과 : 잘못된 정보에 노출됨으로써 일어나는 기억의 왜곡
예) 그 차들이 부딪쳐서 완전히 박살났을 때, 얼마나 빨리 달리고 있었나요?
그 차들이 서로 부딪쳤을 때, 얼마나 빨리 달리고 있었나요?
* 잘못된 기억 Loftus와 Palmer의 연구 :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 아동기 학대에 대한 억압된 기억의 타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