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탄수화물 종류
2. 탄수화물과 관련된 질환
3. 탄수화물중독, 예방과 치료
4. 탄수화물의 구조
5. 식이섬유의 작용
6. 탄수화물의 기능
7. 탄수화물 중독 자가진단 테스트
8.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2. 탄수화물과 관련된 질환
3. 탄수화물중독, 예방과 치료
4. 탄수화물의 구조
5. 식이섬유의 작용
6. 탄수화물의 기능
7. 탄수화물 중독 자가진단 테스트
8.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본문내용
린으로 만들고, 다시 이당류인 맥아당으로까지 소화시키고 이렇게 되어 모두 이당류가 되면 그 다음으로는 작은 창자의 점막세포에서 분비되는 이당류 분해효소들이 작용을 시작하여 이당류들을 단당류고 소화시킵니다.. 말타제는 맥아당을 포도당2분자로, 수크라제는 서당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락타제는 유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시킵니다. ■ 흡수-소화가 가능한 이당류나 다당류들이 모두 단당류로 소화가 되고나면 흡수가 일어나는데 소화기관 중 흡수가 일어나는 주된 부위는 작은 창자 중에서도 중간 부위인 공장으로서 단당류들은 이곳에 있는 융모와 미세융모를 통해 수동적 확산(passive diffusion)과 능동적 운반(active transport)에 의해 작은 창자 벽을 지나 흡수됩니다. 흡수된 단당류는 융모의 상피세포의 세포막을 지나 그곳에 있는 모세혈관으로 들어가게 되고, 문맥을 통해 간으로 운반됩니다. 간에서 포도당이 아닌 다른 단당들은 모두 포도당으로 전환되는데 이는 포도당이 신체 내에서 가장 유용한 형태의 단당이기 때문이고 과당은 거의 확산에 의해 흡수되며, 포도당과 갈락토스도 혈액의 농도보다 작은 창자내의 농도가 높을 때는 역시 확산에 의해 흡수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