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A. 연구 배경
Ⅱ. 본론
A. 기독교 강요Ⅲ권 “제2장 믿음”에서의 영적 무지에 대한 칼빈의 사상
1.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
2. 아담의 원죄
3. 성령의 조명
B. 성경 속에 나타난 영적 무지에 대한 의미
1. 베드로
2. 요나
3. 다윗
Ⅲ. 결론
A. 연구 배경
Ⅱ. 본론
A. 기독교 강요Ⅲ권 “제2장 믿음”에서의 영적 무지에 대한 칼빈의 사상
1.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
2. 아담의 원죄
3. 성령의 조명
B. 성경 속에 나타난 영적 무지에 대한 의미
1. 베드로
2. 요나
3. 다윗
Ⅲ. 결론
본문내용
요하고 둘째,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우리를 위해 무슨 일을 하셨는가에 대한 지식, 다시 말해 그리스도의 유익이라고 부르는 십자가와 사죄에 대한 지식이며 셋째, 우리가 어떻게 이러한 그리스도의 유익을 누릴 수 있는지, 즉 구원을 얻게 하는 믿음에 대한 지식이라고 하였다. 여기에 대해서 우리가 비록 작은 지식이라도 가지고 있을 때 하나님의 구원에 대해 응답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음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는 모든 인류에게 차별이 없으며 누구나 다 이해하고 수용할 만한 것이다.
바울은 믿음에 대해서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그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엡3:18~19)라고 하였다.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주심으로 우리에게 대한 당신의 사랑을 확증하셨다.(롬5:8) 믿음은 성령에 의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우리의 마음에 계시된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믿음의 약속은 그리스도에게 실현되었고, 이 믿음은 전적으로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주어졌다. 그리고 성경에서 나타난 기사를 통해 알게 된 영적 나태함은 구원을 이루어 가야할 미래적 소망이 있음을 나타낸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이뤄지게 되고, 더 나아가 신자는 완전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가 임할 때까지 마지막 경주를 해야 하는 것이다. 주님이 다시 오실 그 날에 구원의 최종 완성은 이루어지고, 인간은 죄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함을 찾게 되며, 우리의 영과 육 모두 새 형상을 입은 채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하게 될 것이다.
바울은 믿음에 대해서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그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엡3:18~19)라고 하였다.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주심으로 우리에게 대한 당신의 사랑을 확증하셨다.(롬5:8) 믿음은 성령에 의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우리의 마음에 계시된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믿음의 약속은 그리스도에게 실현되었고, 이 믿음은 전적으로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주어졌다. 그리고 성경에서 나타난 기사를 통해 알게 된 영적 나태함은 구원을 이루어 가야할 미래적 소망이 있음을 나타낸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이뤄지게 되고, 더 나아가 신자는 완전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가 임할 때까지 마지막 경주를 해야 하는 것이다. 주님이 다시 오실 그 날에 구원의 최종 완성은 이루어지고, 인간은 죄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함을 찾게 되며, 우리의 영과 육 모두 새 형상을 입은 채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하게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