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개별화교육계획(IEP)
2) 일과에 따른 지적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 지원 방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개별화교육계획(IEP)
2) 일과에 따른 지적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 지원 방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데, 이러한 활동을 할 때 중요한 것은 지적장애유아의 표현을 제한하지 말고 존중하는 것이다. 또한, 악기와 미술도구처럼 활동에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들은 아동이 쉽게 잡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얇은 색연필보다는 유아가 쉽게 잡을 수 있는 두꺼운 색연필을 구비해 놓아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야외활동을 통해 모래나 풀, 낙엽, 나무 등을 직접 만져봄으로써 실내에서는 느끼기 어려운 질감을 경험하고 구분해보도록 하는 활동 역시 지적장애유아에게 어렵지 않게 느껴질 것이며,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⑤ 자연탐구
마지막 자연탐구 영역은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수학적 탐구하기, 과학적 탐구하기” 세 가지 내용범주로 나누어진다. 교욱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발간등록번호. 11-1341000-002339-0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134쪽 참고.
지적장애유아의 경우, 계산, 시간, 돈과 같은 개념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APA (2018). DSM-5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원서발행년 2013년). 61-64쪽 참고.
수적 개념에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아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사용하여 개수를 세거나 주고받으며 수적 개념에 익숙해지도록 도울 수 있으며, 시간의 경우 시계 모형이나 그림을 통해 아동이 먼저 시간에 익숙해지도록 도울 수 있다.
3. 결론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이 채택된 후, 또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19)’에 따라 통합교육에 있어서 개별화교육계획(IEP)의 수립 및 실행은 필수가 되었다. 지적장애유아가 비장애유아들과 함께 교육받고 생활하기 위해선 지적장애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교육계획이 필요하며, 본고는 3-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5개 영역 -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 방법을 살펴보았다. 비록 지적장애유아들을 위한 방안이지만, 동시에 비장애유아들의 교육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또한, 위에 제시한 활동을 통해 지적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가 함께 참여하고 협동함으로써 공존의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교욱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발간등록번호. 11-1341000-002339-0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서효정박윤정강은영박경옥. (2019). 「개별화교육계획(IEP) 구성요소에 대한 작성실태 및 내용요소 분석」. 『지적장애연구』, 제21집 1호, 21-4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16746호 (2019).
APA (2018). DSM-5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원서발행년 2013년).
Wicks-Nelson, R., & Israel, A. C. (2016).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정명숙박영신정현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서발행년 2014년).
⑤ 자연탐구
마지막 자연탐구 영역은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수학적 탐구하기, 과학적 탐구하기” 세 가지 내용범주로 나누어진다. 교욱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발간등록번호. 11-1341000-002339-0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134쪽 참고.
지적장애유아의 경우, 계산, 시간, 돈과 같은 개념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APA (2018). DSM-5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원서발행년 2013년). 61-64쪽 참고.
수적 개념에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아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사용하여 개수를 세거나 주고받으며 수적 개념에 익숙해지도록 도울 수 있으며, 시간의 경우 시계 모형이나 그림을 통해 아동이 먼저 시간에 익숙해지도록 도울 수 있다.
3. 결론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이 채택된 후, 또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19)’에 따라 통합교육에 있어서 개별화교육계획(IEP)의 수립 및 실행은 필수가 되었다. 지적장애유아가 비장애유아들과 함께 교육받고 생활하기 위해선 지적장애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교육계획이 필요하며, 본고는 3-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5개 영역 -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 방법을 살펴보았다. 비록 지적장애유아들을 위한 방안이지만, 동시에 비장애유아들의 교육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또한, 위에 제시한 활동을 통해 지적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가 함께 참여하고 협동함으로써 공존의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교욱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발간등록번호. 11-1341000-002339-0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서효정박윤정강은영박경옥. (2019). 「개별화교육계획(IEP) 구성요소에 대한 작성실태 및 내용요소 분석」. 『지적장애연구』, 제21집 1호, 21-4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16746호 (2019).
APA (2018). DSM-5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원서발행년 2013년).
Wicks-Nelson, R., & Israel, A. C. (2016).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정명숙박영신정현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서발행년 2014년).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교육과, 교육과]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심층적 고찰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
장애아동 통합교육 분석과 성공적인 운영사례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
[특수아교육 A형] 정신지체(지적장애), 학습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
[2018 특수아교육학개론4E] 청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
[2019 특수교육학개론 4D] 의사소통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의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
[2019 특수교육학개론 4E] 지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