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Ⅱ.간호과정
#1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퇴원 후 자가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참고문헌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Ⅱ.간호과정
#1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퇴원 후 자가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al bid, ns 500 mix
Denogan INJ PRN 체온 38도 이상 3 vial tid, ns 100ml mix을 투여하였다.
8. 발열시 ice bag 제공하였다.
>12/03~12/10 대상자 발열시 ice bag 제공하였다.
9. 직접적 간호, dressing시 무균술을 시행, 간호전후 손위생 준수하였다.
>12/03~12/10 환자 suction, position change같은 직접 간호시, 환자 C-line dressing시 무균술을 준수하였고, 환자 간호전후, 환자주변 환경 접촉전후 손위생 실시하였다.
10. 발열, 감염증상 있을시 blood, sputum검사 시행한다.
>12/06 가슴중앙에 원인불명의 염증반응으로 농이차 I&D후 미생물 검사결과 Acinetobacter baumannil이 검출되었다.
11. 간호조무사 등 보조 인력에게 환자 및 환자주변 환경 접촉전후 손위생을 교육하였다.
>손위생을 통해 감염의 전파를 방지 할 수 있다는 것을 간호 보조 인력들에게 교육하였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내용
# 2
단기목표1 :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온이 정상범위(36.5℃~37.5℃)로 유지된다.”는 대상자 발열시 PRN으로 데노간을 투여하고, ice bag을 시행하였으나 37,5℃이하로 꾸준하게 유지되지 않아 달성되지 않았다. 추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단기목표2 : “대상자는 3일 이내 침습적 처치부위에 염증(발적, 부종, 열감)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C-line, foley 적용부위에 발적, 부종, 열감, 출혈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가슴중앙에 원인불명의 염증반응으로 농이차 I&D를 시행하였으므로 부분 달성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침습적 처지부위에서는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12/06 가슴중앙에 원인불명의 염증반응(발적, 열감, 부종)이 나타나고 농이차 I&D를 시행하였으므로 달성되지 않았다. 이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진단번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3
#3. 퇴원 후 자가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과학적 근거>
치료의 불이행은 만성 질환의 장기적 관리에서 나타나는 주요 문제이며,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환자가 치료 즉시 효과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ICS와 같은 장기치료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환자들에게 치료의 목적과 중요성을 설명하여야 한다.
간호사의 역할은 발작을 예방하고 환자와 돌봄제공자를 교육함으로써 심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환자에게 COPD의 개인적 유발요인(흡연, 애완견 비듬)과 자극요인(찬 공기, 아스피린, 음식)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환자들은 약물 사용 시 약품설명서를 신중히 읽고 이행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2015) 신경림 외 현문사(2015)
-기본간호학Ⅱ(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간호진단과 중재(2000),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2014) 원종순 외 현문사
<합리적 근거>
·객관적 근거
- 과거력 COPD있음
- COPD로 외래보면서도 흡연했음
-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해 반복하여 문의함
·주관적 근거
-
간호 진단 : #3 퇴원 후 자가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계획
진단번호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퇴원 후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 추후 약물 복용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간호계획>
· 진단적 지시
1. 대상자의 약물 복욕 방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퇴원 후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 치료적 지시1. 증상이 조절되더라도 재발과 합병증을 막기 위해 꾸준히 치료해야함을 격려한다.
2. 환자의 가족 혹은 돌봄제공자가 치료에 참여하도록 한다.
3. 환자의 가족 혹은 돌봄제공자에게 질병에 대한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 교육적 지시
1. 천식의 개인적 유발요인(흡연, 애완견 비듬)과 자극요인(찬 공기, 아스피린, 음식, 스트레스, 호흡기 감염)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한다.
2.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수행
# 3
1. 환자의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2. 흡입기 사용법에 대하여 교육함
-뚜껑을 열고 흡입기를 흔든다.
-숨을 크게 내쉰다.
-흡입기를 잡고 입으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기 시작하면서, 흡입기를 한 번 누른다.
-가능한 한 천천히 깊게 숨을 계속 들이쉰다.
-가능한 10을 천천히 세면서 숨을 참는다.
-속효성 악물의 경우, 1분 기다린 후 다음 흡입을 시행한다. 다른 약물의 경우 시간적 여유를 둘 필요는 없다.
3.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흡입기, 경구 약제, 응급시 연락처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도록 함
4.COPD의 개인적 유발요인(흡연, 애완견 비듬)과 자극요인(찬 공기, 아스피린, 음식, 스트레스, 호흡기 감염)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함
5.약물 복용 방법에 대해 교육함
6.추후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7. 증상이 조절되더라도 재발과 합병증을 막기 위해 꾸준히 치료해야함을 설명함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내용
# 3
단기목표1 : \"대상자는 3일 이내 추후 약물 복용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교육용 자료를 준비했으나 ventilator 사용위한 sedation으로 교육하기 어려워 달성하지 못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퇴원 후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교육용 자료를 준비했으나 ventilator 사용위한 sedation으로 교육하기 어려워 달성하지 못하였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2015) 신경림 외 현문사(2015)
-성인간호학 하(2015) 신경림 외 현문사(2015)
-기본간호학Ⅰ(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기본간호학Ⅱ(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2014) 원종순 외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
Denogan INJ PRN 체온 38도 이상 3 vial tid, ns 100ml mix을 투여하였다.
8. 발열시 ice bag 제공하였다.
>12/03~12/10 대상자 발열시 ice bag 제공하였다.
9. 직접적 간호, dressing시 무균술을 시행, 간호전후 손위생 준수하였다.
>12/03~12/10 환자 suction, position change같은 직접 간호시, 환자 C-line dressing시 무균술을 준수하였고, 환자 간호전후, 환자주변 환경 접촉전후 손위생 실시하였다.
10. 발열, 감염증상 있을시 blood, sputum검사 시행한다.
>12/06 가슴중앙에 원인불명의 염증반응으로 농이차 I&D후 미생물 검사결과 Acinetobacter baumannil이 검출되었다.
11. 간호조무사 등 보조 인력에게 환자 및 환자주변 환경 접촉전후 손위생을 교육하였다.
>손위생을 통해 감염의 전파를 방지 할 수 있다는 것을 간호 보조 인력들에게 교육하였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내용
# 2
단기목표1 :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온이 정상범위(36.5℃~37.5℃)로 유지된다.”는 대상자 발열시 PRN으로 데노간을 투여하고, ice bag을 시행하였으나 37,5℃이하로 꾸준하게 유지되지 않아 달성되지 않았다. 추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단기목표2 : “대상자는 3일 이내 침습적 처치부위에 염증(발적, 부종, 열감)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C-line, foley 적용부위에 발적, 부종, 열감, 출혈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가슴중앙에 원인불명의 염증반응으로 농이차 I&D를 시행하였으므로 부분 달성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침습적 처지부위에서는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12/06 가슴중앙에 원인불명의 염증반응(발적, 열감, 부종)이 나타나고 농이차 I&D를 시행하였으므로 달성되지 않았다. 이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진단번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3
#3. 퇴원 후 자가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과학적 근거>
치료의 불이행은 만성 질환의 장기적 관리에서 나타나는 주요 문제이며,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환자가 치료 즉시 효과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ICS와 같은 장기치료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환자들에게 치료의 목적과 중요성을 설명하여야 한다.
간호사의 역할은 발작을 예방하고 환자와 돌봄제공자를 교육함으로써 심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환자에게 COPD의 개인적 유발요인(흡연, 애완견 비듬)과 자극요인(찬 공기, 아스피린, 음식)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환자들은 약물 사용 시 약품설명서를 신중히 읽고 이행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2015) 신경림 외 현문사(2015)
-기본간호학Ⅱ(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간호진단과 중재(2000),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2014) 원종순 외 현문사
<합리적 근거>
·객관적 근거
- 과거력 COPD있음
- COPD로 외래보면서도 흡연했음
-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해 반복하여 문의함
·주관적 근거
-
간호 진단 : #3 퇴원 후 자가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계획
진단번호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퇴원 후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 추후 약물 복용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간호계획>
· 진단적 지시
1. 대상자의 약물 복욕 방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퇴원 후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 치료적 지시1. 증상이 조절되더라도 재발과 합병증을 막기 위해 꾸준히 치료해야함을 격려한다.
2. 환자의 가족 혹은 돌봄제공자가 치료에 참여하도록 한다.
3. 환자의 가족 혹은 돌봄제공자에게 질병에 대한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 교육적 지시
1. 천식의 개인적 유발요인(흡연, 애완견 비듬)과 자극요인(찬 공기, 아스피린, 음식, 스트레스, 호흡기 감염)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한다.
2.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수행
# 3
1. 환자의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2. 흡입기 사용법에 대하여 교육함
-뚜껑을 열고 흡입기를 흔든다.
-숨을 크게 내쉰다.
-흡입기를 잡고 입으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기 시작하면서, 흡입기를 한 번 누른다.
-가능한 한 천천히 깊게 숨을 계속 들이쉰다.
-가능한 10을 천천히 세면서 숨을 참는다.
-속효성 악물의 경우, 1분 기다린 후 다음 흡입을 시행한다. 다른 약물의 경우 시간적 여유를 둘 필요는 없다.
3.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흡입기, 경구 약제, 응급시 연락처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도록 함
4.COPD의 개인적 유발요인(흡연, 애완견 비듬)과 자극요인(찬 공기, 아스피린, 음식, 스트레스, 호흡기 감염)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함
5.약물 복용 방법에 대해 교육함
6.추후 약물 복용 방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7. 증상이 조절되더라도 재발과 합병증을 막기 위해 꾸준히 치료해야함을 설명함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내용
# 3
단기목표1 : \"대상자는 3일 이내 추후 약물 복용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교육용 자료를 준비했으나 ventilator 사용위한 sedation으로 교육하기 어려워 달성하지 못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퇴원 후 관리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교육용 자료를 준비했으나 ventilator 사용위한 sedation으로 교육하기 어려워 달성하지 못하였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2015) 신경림 외 현문사(2015)
-성인간호학 하(2015) 신경림 외 현문사(2015)
-기본간호학Ⅰ(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기본간호학Ⅱ(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2014) 원종순 외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내과병동 - pneumonia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폐렴,당뇨병
[성인간호학] Pneumonia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폐렴 (Pneumonia) Case study
Pneumonia case, 성인 case, 폐렴 case, Pneumonia 케이스, 폐렴 케이스, 성인간호학 실습 케...
[성인간호학] [case study] cholecystitis(담낭염) & cholecystectomy, pneumonia(폐렴) ...
성인간호학 폐렴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Pneumonia(폐렴)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