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case-급성 위장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case-급성 위장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헌고찰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2.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위장관 염증과 관련된 설사
#2 탈수와 관련된 고체온
-간호계획

본문내용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섭취량과 배설량이 동일 할 것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설사의 횟수가 하루 5회에서 1회로 줄어든다.
#1
<간호계획>
-진단적 지시
1. V/S을 측정한다.
-체온과 맥박측정은 대상자의 상태파악을 위해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2. 아동의 I&O를 체크한다.
3. 설사의 양상을 사정한다.
-설사의 양, 횟수, 양상(혈액, 백혈구 등의 점액) 등을 사정함으로써 환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4. 위장관 염증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혈액 검사를 통해 설사의 원인을 파악할수있다.
6. 아동의 탈수위험징후(눈이 푹 꺼짐, 울 때 눈물이 나지 않음, 구강이 건조, 소변을 많이 배출하지 않음, 기면상태)를 수시로 확인함
-소아에서 빈도가 비교적 높은 위장관염(흔히 장염)에 의한 구토 및 설사가 원인이 되어 탈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8. 수화상태(hydration state)를 확인한다.
9.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치료적 지시
1. 경구 수액 전해질요법을 실시한다.
- 탈수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함이다.
2. 필요하다면 처방에 따라 치료적 범위 내에서 금식한다.
- 설사가 심할 경우 일단 금식을 시킴으로서 장에 휴식을 가져와 안정시킬 수 있다
3. 필요하다면 처방에 따라 치료적 범위 내에서 지사제를 투여한다.
- 지사제를 투여하여 설사를 막을 수 있다.
4. 필요하다면 처방에 따라 치료적 범위 내에서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서 설사의 원인을 제거한다.
- 설사의 원인인 위장관의 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항생제 치료를 한다.
-교육적 지시
1. 질병으로 인한 설사의 원인, 특징을 설명한다.
- 설사의 원인, 특징을 설명함으로서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감과 공포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2.금식 후 식이 교육 (연식, 죽 등 / 기름진 음식, 과자류, 유당류는 금지)을 한다.
- 장에 부담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여 설사를 막을 수 있다.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2
#2 탈수와 관련된 고체온
<과학적 근거>
탈수는 어떤 원인으로 체내수분이 상실되어 혈관내액, 간질액, 세포내액 등의 감소가 일어난 상태 수분섭취 부족과 발열, 설사, 구토 등에 의한 체액 상실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소아에서 빈도가 비교적 높은 위장관염(흔히 장염)에 의한 구토 및 설사가 원인이 되어 탈수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몸 안에 있는 수분과 전해질이상이 초래되어 특히 민감한 소아에서는 다양한 증상 및 징후를 초래할 수 있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2014), 방경숙 외, 정담미디어
<합리적 근거>
객관적근거
- V/S T:38℃ P:26회 R:120회 측정됨
- 피부에 홍조가 시진됨
- 구강 시진 시 입과 혀가 건조함
- 환자가 허약감과 무기력감을 호소함
주관적근거
- “아이가 열이나는것 같아요. 좀 봐주세요.”- 보호자
- “아이가 너무 지쳐보여요.”-보호자
- “입안이 너무 건조해요.”
진단
번호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38℃인 체온이 정상범위로 회복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피부의 홍조기가 감소한다.
#2
<간호계획>
-진단적 지시
1. 1시간마다 V/S를 측정한다.
- 바이탈 사인을 통해 대상자의 대략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2. 해열제 투여 후 1시간 후에 체온을 측정한다.
- 투여 직후 체온 측정시 약의 효능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불가하다.
3. 아동의 탈수위험징후(눈이 푹 꺼짐, 울 때 눈물이 나지 않음, 구강이 건조, 소변을 많이 배출하지 않음, 기면상태)를 수시로 확인함
-탈수가 심화될 경우 체내 수분상실이 심해져 체온이 더올라간다.
-치료적 지시
1. 필요시 처방에 따라 치료적 범위 내에서 해열제를 투약한다.
- 체온이 1℃상승할 때마다 10% 체액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2. 필요시 처방에 따라 치료적 범위 내에서 수액을 투여한다.
- 탈수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함이다.
3. 미온수 마사지를 해준다.
- 미온수와 증발을 통해 체온을 낮춰준다.
4. 옷과 담요를 제거 한다.
- 옷과 담요는 몸안의 체온을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다.
-교육적 지시
1. 보호자에게 경구 수액섭취를 가능한 많이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 탈수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함이다.
2. 열로 인한 합병증을 설명하고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를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 합병증을 설명함으로서 환자에게 증상과 징후발생시 보호자의 불안감과 공포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2.22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