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리자 교육훈련
⑤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보급
⑥ 자원봉사 아카이브(통계) 운영
⑦ 자원봉사 국제교류 및 협력
⑧ 나눔 포털 1365 자원봉사 시스템 운영지원
⑨ 그밖에 자원봉사 진흥에 기여 할 수 있는 사업추진
(3) 한국 중앙 자원봉사센터의 진행사업
1) 현재 진행 중인 사업
① 안녕캠페인, 안녕네트워크 : 세대 간 조화, 소외계층 옹호를 위한 캠페인
② 홍보콘텐츠 개발 보급 : 매체를 통한 콘텐츠 보급, 온라인 홍보 및 자원봉사 홍보대사 연계 협력
③ 재난 시 현장자원봉사센터 통합관리 운영 : 현장 자원봉사센터 운영지원, 현장 자원봉사 센터 운영센터 구축, 재난 담당자 역량 강화
④ 자원봉사 중앙 플랫폼 구축 : 자원봉사 아카이브(통계구축), 1365포털 및 자원봉사 협의회, 행정안전부와 연계하여 접근하기 쉬운 자원봉사 구축,
⑤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V-Korea : 대한민국의 자원봉사 우수사례를 함께 공유함
⑥ 자원봉사 현장연계 협력사업 : 자원봉사자 현장 인권보장, 자원봉사 관련 부처 산하기관 네트워크 구축
⑦ 자원봉사 정책개발 : 정책연구추진, 정채포럼 개최, 저널 발행 및 보급
2) 1365 자원봉사자 포털을 통한 자원봉사 신청
① 개인회원과 단체회원이 실시간으로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자원봉사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 시행됨
Ⅲ.결론
한국 중앙 자원봉사센터의 설립 배경에는 난립한 관계 부서의 통합과 하나의 시스템 구축, 그리고 흩어져있는 자원봉사자들을 하나로 모아 통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계 및 봉사 시간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주요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관리망 구축에 뜻을 모아 개정되고 발전되었다. 나 또한 이번 조사를 마치고, 1365 홈페이지를 가입해보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인증서를 새로 발급받아보았다. 무엇보다 휴대폰으로 빠르고 쉽게 봉사할 수 있는 곳을 찾을 수 있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과거 내가 헌혈했던 기록, 학창시절에 여러 곳에서 봉사활동을 했던 기록이 한곳에 꼼꼼하게 적혀있는 것을 보고 통합 시스템 구축이 실제로 잘 되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되었다.
Ⅳ.참고문헌
류기형 외(2009). 자원봉사론 제3판, 양서원 91~125P
2. 국가법령정보검색센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17조~19조
3. 이정연 외(2019). 자연봉사 아카이브 건립 계획 수립 연구, 한국 중앙 자원봉사센터
4. 1365자원봉사 포털
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⑤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보급
⑥ 자원봉사 아카이브(통계) 운영
⑦ 자원봉사 국제교류 및 협력
⑧ 나눔 포털 1365 자원봉사 시스템 운영지원
⑨ 그밖에 자원봉사 진흥에 기여 할 수 있는 사업추진
(3) 한국 중앙 자원봉사센터의 진행사업
1) 현재 진행 중인 사업
① 안녕캠페인, 안녕네트워크 : 세대 간 조화, 소외계층 옹호를 위한 캠페인
② 홍보콘텐츠 개발 보급 : 매체를 통한 콘텐츠 보급, 온라인 홍보 및 자원봉사 홍보대사 연계 협력
③ 재난 시 현장자원봉사센터 통합관리 운영 : 현장 자원봉사센터 운영지원, 현장 자원봉사 센터 운영센터 구축, 재난 담당자 역량 강화
④ 자원봉사 중앙 플랫폼 구축 : 자원봉사 아카이브(통계구축), 1365포털 및 자원봉사 협의회, 행정안전부와 연계하여 접근하기 쉬운 자원봉사 구축,
⑤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V-Korea : 대한민국의 자원봉사 우수사례를 함께 공유함
⑥ 자원봉사 현장연계 협력사업 : 자원봉사자 현장 인권보장, 자원봉사 관련 부처 산하기관 네트워크 구축
⑦ 자원봉사 정책개발 : 정책연구추진, 정채포럼 개최, 저널 발행 및 보급
2) 1365 자원봉사자 포털을 통한 자원봉사 신청
① 개인회원과 단체회원이 실시간으로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자원봉사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 시행됨
Ⅲ.결론
한국 중앙 자원봉사센터의 설립 배경에는 난립한 관계 부서의 통합과 하나의 시스템 구축, 그리고 흩어져있는 자원봉사자들을 하나로 모아 통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계 및 봉사 시간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주요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관리망 구축에 뜻을 모아 개정되고 발전되었다. 나 또한 이번 조사를 마치고, 1365 홈페이지를 가입해보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인증서를 새로 발급받아보았다. 무엇보다 휴대폰으로 빠르고 쉽게 봉사할 수 있는 곳을 찾을 수 있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과거 내가 헌혈했던 기록, 학창시절에 여러 곳에서 봉사활동을 했던 기록이 한곳에 꼼꼼하게 적혀있는 것을 보고 통합 시스템 구축이 실제로 잘 되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되었다.
Ⅳ.참고문헌
류기형 외(2009). 자원봉사론 제3판, 양서원 91~125P
2. 국가법령정보검색센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17조~19조
3. 이정연 외(2019). 자연봉사 아카이브 건립 계획 수립 연구, 한국 중앙 자원봉사센터
4. 1365자원봉사 포털
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추천자료
동북공정의 추진배경 및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주장 및 반박사례와 역사왜곡에 대한 대응방안
인구 노령화와 노인인구 증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정책에 논하시오 - 인구노령화에 ...
부자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과 해결방안에 관한 조사
교육의 정의에 기초하여 노인교육이 추구해야 할 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서술
아동건강교육 (이혜진)
[무역법규 공통] 무역관련 시설에는 무역전시장, 무역연수원 그리고 컨벤션센터가 있다. 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라 (건강가정지원센터)
[사회복지행정론] 장애어르신인 사회복지 대상자가 방문하였을 때 어떻게 상담대면할지 복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립목적과 설립방향 그리고 조직과 설치기준 및 운영기준을 설명하고 발...
NGO단체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어떠한 장단점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서술하고 앞으로 NGO단체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