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자궁경부 무력증자궁내막증수술수술후 관리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부인과-자궁경부 무력증자궁내막증수술수술후 관리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및 원인

-검사방법

-증상

-치료

-수술적 치료 후 관리

-봉축술시행한 경우

-진단

-약물요법

본문내용

수술 후 질상부 부위가 회복되는 데는 3-4주 정도가 걸리므로
그 동안 부부관계는 피하셔야 합니다.
◆ 복부근육의 힘을 회복하려면 약 3주가 걸리므로 이때까지는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힘든 일 또는 장기간 앉아 있는 것은 피하시고 복대를 착용해야 합니다.
(복대는 수술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므로 수술부위에 착용해 주십시오.)
◆ 일상적인 가사활동은 수술 후 2주부터 서서히 시작하고
2-3개월간은 수면시간과 휴식시간을 평상시보다 더 가지십시오.
◆ 수술 부위의 실밥은 수술 후 7일째에 제거합니다.
외래로 오시거나 가까운 병원에 가서 빼십시오.
◆ 퇴원 후 안면홍조와 발한, 불면증, 심계항진 등의 증상이 있으면
언제든지 병원에 오셔서 의료진과 상담하여 주십시오,
◆ 퇴원 후 건강관리는 알맞은 영양섭취, 운동, 취미생활 및 봉사활동을 하시기를 권유합니다.
◆ 자궁절제 후에도 정기적인 검진은 필요합니다. 퇴원 후 예약된 날짜에 외래로 방문하십시오. 염증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구강 가글을 자주 하고 침을 삼키지 않고 꼭 뱉어내야 합니다.
◆ 과식을 하지 말고 편식을 하지 마세요.
◆ 칼슘의 섭취가 필요합니다.
칼슘의 주공급원은 : 우유와 유제품. 참깨, 두부. 시금치, 무청잎, 배추 등의 녹황색 야채정어리, 멸치, 새우, 조개 등의 해산물.
◆ 채소류와 과일을 많이 드세요.
◆ 지방질의 양과 질을 생각해서 드세요.
◆ 식염과 설탕을 필요 이상 드시지 마세요.
◆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모든 기관의 신진대사가 활발해집니다. 특히 심장과 폐 기능이 향상되고 근력과 유연성이 증대되어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운동으로 유연성이 커지고 뼈가 튼튼해지면 자주 다치는 날도 없고 다치더라도 경상으로 끝날 수가 있습니다.
◆ 운동을 함으로써 정신건강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운동을 하면 뇌에서 엔돌핀이라는 호르몬의 생성이 활발해 집니다. 운동을 하고 나면 기분이 상쾌해지는 것은 이 엔돌핀이 많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동을 하면 우울증과 신경쇠약이 치료되고, 잠을 잘 자게 됩니다.
◆ 하중운동 하는 것이 좋은데 최소한 하루 30분 이상, 주 3-5회,
그리고 최대 심장 박동수의 75-80% 유지 할 정도의 강도가 좋습니다.
*** 최대 심장 박동수= (220-현재의 나이)
◆ 초보자의 경우 강도를 낮게 시작하고 운동량과 운동시간을 서서히 늘리십시오.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3.03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