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슈퍼비전의 개념
II. 슈퍼비전의 기능과 바람직한 슈퍼비전 방법
1. 신입직원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2. 재교육과 슈퍼비전
3. 직원 개인에 대한 평가방법 및 내용
1) 인격
2) 행정적 능력
3) 봉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4) 전문적인 능력
5) 직업에 대한 성장
* 참고문헌
II. 슈퍼비전의 기능과 바람직한 슈퍼비전 방법
1. 신입직원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2. 재교육과 슈퍼비전
3. 직원 개인에 대한 평가방법 및 내용
1) 인격
2) 행정적 능력
3) 봉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4) 전문적인 능력
5) 직업에 대한 성장
* 참고문헌
본문내용
o People Served)
사회복지사는 그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업무수행에 있어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도움을 주는 관계, 협조하는 관계, 지도받는 관계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어떻게 적응하는가를 평가한다.
- 아이들과의 관계(Work with children)
- 부모들과의 관계(Work with Second Client)
- 관련자들과의 관계(Public Relation with Agencies, Pastors, Professional and Lay People)
- 지도자들과의 관계(Work with Community Leader)
- 후원자들과의 관계(Work with Sponcers)
- 이사나 위원들과의 관계(Work with Board Members & Commitee Members)
- 신문, 방송 등 언론인들과의 관계(Work with Masscom)
(4) 전문적인 능력(Ability to Professional)
전문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개별 사회사업, 집단 사회사업 등 방법론적인 이론과 기술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실천할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 경청능력(Ability to Listen)
- 대화능력 (Ability to Converse)
- 통찰력과 이해도의 정도(Degree of Insight and Understanding)
- 재치(Tactfulness)
- 설득력 (Ability to Persuade)
- 자신을 믿게 만들 수 있는 영향도(Inspires Confidence)
(5) 직업에 대한 성장(Growth on the Job)
개인성장은 곧 업무에 대한 성장을 가져오게 된다. 사회사업가에게는 항상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의 도입과 기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이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전문성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평가한다.
- 건설적인 비판을 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가(Can Take Constructive criticism)
- 일의 량 조절, 향상시키는 능력(Ability to Controled Quantity of Work)
- 슈퍼비전 받을 때의 태도(Attitude to Supervision)
- 객관성 타당성(Objectivity)
- 더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한 노력(Efforts to Gain Fu러her Knowledge)
- 기관의 행정 원칙에 대한 이해도(Grasp of Philosophy of Agency)
- 자기 직업에 대해 얼마나 성장발전을 보이고 있나(Ability to Grow on the Job)
- 일하는 분야에서 이론을 얼마나 적용시키는가? (Applicational Biblical Principles all of Work)
-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창의력(Ability to New Program Development)
- 영적 문제를 자유로이 토의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Freely Discuss Spiritual Matters)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사회복지사는 그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업무수행에 있어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도움을 주는 관계, 협조하는 관계, 지도받는 관계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어떻게 적응하는가를 평가한다.
- 아이들과의 관계(Work with children)
- 부모들과의 관계(Work with Second Client)
- 관련자들과의 관계(Public Relation with Agencies, Pastors, Professional and Lay People)
- 지도자들과의 관계(Work with Community Leader)
- 후원자들과의 관계(Work with Sponcers)
- 이사나 위원들과의 관계(Work with Board Members & Commitee Members)
- 신문, 방송 등 언론인들과의 관계(Work with Masscom)
(4) 전문적인 능력(Ability to Professional)
전문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개별 사회사업, 집단 사회사업 등 방법론적인 이론과 기술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실천할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 경청능력(Ability to Listen)
- 대화능력 (Ability to Converse)
- 통찰력과 이해도의 정도(Degree of Insight and Understanding)
- 재치(Tactfulness)
- 설득력 (Ability to Persuade)
- 자신을 믿게 만들 수 있는 영향도(Inspires Confidence)
(5) 직업에 대한 성장(Growth on the Job)
개인성장은 곧 업무에 대한 성장을 가져오게 된다. 사회사업가에게는 항상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의 도입과 기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이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전문성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평가한다.
- 건설적인 비판을 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가(Can Take Constructive criticism)
- 일의 량 조절, 향상시키는 능력(Ability to Controled Quantity of Work)
- 슈퍼비전 받을 때의 태도(Attitude to Supervision)
- 객관성 타당성(Objectivity)
- 더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한 노력(Efforts to Gain Fu러her Knowledge)
- 기관의 행정 원칙에 대한 이해도(Grasp of Philosophy of Agency)
- 자기 직업에 대해 얼마나 성장발전을 보이고 있나(Ability to Grow on the Job)
- 일하는 분야에서 이론을 얼마나 적용시키는가? (Applicational Biblical Principles all of Work)
-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창의력(Ability to New Program Development)
- 영적 문제를 자유로이 토의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Freely Discuss Spiritual Matters)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클라이언트 모델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을 설명한 뒤, 이 이론이 가족상담 및 치료 영역에서 갖는 ...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가족관계 증진을 통한 다문화 가족기능 개선 프로그램
지역사회자원연계의 어려움으로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사의 바람직한 지도를 위...
[사례관리] 사례관리의 기능 6가지 및 주요 적용영역을 설명하고 한계점에 대한 극복방안을 ...
슈퍼비전의 개념 및 주요기능 등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바람직한 슈퍼비전방법 및 ...
슈퍼비전의 개념 및 주요기능 등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바람직한 슈퍼비전방법 및 ...
슈퍼비전의 개념 및 주요기능 등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바람직한 슈퍼비전방법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