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사례분석의 논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차사례분석의 논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교연구 및 교차사례분석이란?
2. 교차사례분석은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가?
3. 교차사례분석의 논리
4. 교차사례분석의 결과는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5. 교차사례분석에서 주의할 점은?

본문내용

결과이다.
<보기1>
구 분
내국인
외국인
빈도(명)
백분률(%)
빈도(명)
백분률(%)
성별
남자
117
67.6
40
67.8
여자
56
32.4
19
32.2
연령
20대
20
12.7
9
12.2
30대
56
35.4
36
48.6
40대
54
34.2
23
31.1
50대
23
14.6
5
6.8
60대 이상
5
3.2
1
1.4
직업
전문직
49
31.0
15
20.2
사업/자영업
34
21.5
35
46.7
서비스직
37
23.4
10
13.3
사무직
26
16.5
8
10.7
공무원
4
2.5
1
1.3
주부
3
1.9
-
-
학생
2
1.3
1
1.3
기타
2
1.3
5
6.7
소득
100만원미만*
9
5.8
4
5.3
100-200
53
34.0
8
10.7
200-300
42
26.9
23
30.7
300-400
25
16.0
23
30.7
400만원이상
27
17.3
17
22.7
* 외국인의 경우 각각 1000이하, 1001-2000, 2001-3000, 3001-4000, 4000 이상 (단위: US $)
내국인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성별에서 남자가 117명(74.5%), 여자가 40명(25.5%)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가 20명(12.7%), 30대가 56명(35.4%), 40대가 54명(34.2%), 50대가 23명(14.6%), 60대 이상이 5명(3.2%)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졸 이하가 1명(0.6%), 전문대졸이 33명(20.9%), 대졸이 96명(60.8%), 대학원졸이 28명(17.7%)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전문직이 49명(31.0%), 사업 및 자영업이 34명(21.5%), 서비스직이 37명(23.4%), 사무직이 26명(16.5%), 공무원이 4명(2.5%), 주부가 3명(1.9%), 학생이 2명(1.3%), 기타가 2명(1.3%)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에서는 100만원 미만인 사람이 9명(5.8%), 100-200만원이 53명(34.0%), 200-300만원이 42명(26.9%), 300-400만원 25명(16.0%), 400만원 이 상이 27명(17.3%)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인구 통계적 특성은 성별에서 남자가 56명(74.7%), 여자가 19명(25.3%)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가 9명(12.2%), 30대가 36명(48.6%), 40대가 23명(31.1%), 40대가 5명(6.8%), 60대 이상이 1명(1.4%)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전문직이 15명(20.0%), 사업 및 자영업이 35명(46.7%), 서비스직이 10명(13.3%), 사무직이 8명(10.7%), 공무원이 1명(1.3%), 학생이 1명(1.3%), 기타가 5명(6.7%)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에서는 1000$ 미만인 사람이 4명(5.3%), 1001-2000$가 8명(10.7%), 2001-3000$가 23명(30.7%), 3001-4000$가 23명(30.7%), 4000$ 이상이 17명(22.7%)으로 나타났다
<보기2>
문항
내용
빈도
양축농가
공무원
전체
χ2
유의수준
소 전산화 사업에 대한 수혜자의 호응도
매우 호응도가 높다
빈도(명)
-
-
-
8.111
0.044
백분율(%)
-
-
-
비교적 호응도가 높다
빈도(명)
10
8
18
백분율(%)
8.3%
6.7%
7.5%
보통이다
빈도(명)
56
44
100
백분율(%)
46.7%
36.7%
41.7%
비교적 호응도가 낮다
빈도(명)
42
40
82
백분율(%)
35.0%
33.3%
34.2%
매우 호응도가 낮다
빈도(명)
12
28
40
백분율(%)
10.0%
23.3%
16.7%
전체
빈도(명)
120
120
240
백분율(%)
100.0%
100.0%
100.0%
참여농가에 대한 예산지원의 적정성 여부
매우 적정하다
빈도(명)
2
2
8.590
0.072
백분율(%)
1.7%
.8%
비교적 적정한 편이다
빈도(명)
18
28
46
백분율(%)
15.3%
23.3%
19.3%
보통이다
빈도(명)
50
48
98
백분율(%)
42.4%
40.0%
41.2%
비교적 부적정한 편이다
빈도(명)
30
36
66
백분율(%)
25.4%
30.0%
27.7%
매우 부적정한 편이다
빈도(명)
18
8
26
백분율(%)
15.3%
6.7%
10.9%
전체
빈도(명)
118
120
238
백분율(%)
100.0%
100.0%
100.0%
‘소 전산화 사업에 대한 수혜자(축산농가, 축산관련업체 등)의 호응도’에 대해 전체적으로 ‘보통이다’에 100명(41.7%), ‘비교적 호응도가 낮다’에 82명(34.2%)이 각각 응답해 수혜자의 호응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수매 사업이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알 수 있으며, 카이자승검정 결과 유의수준이 0.044로 수혜자들의 호응도와 직업간에 관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 전산화 사업 참여농가에 대한 예산지원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 전체적으로 ‘보통이다’에 98명(41.2%), ‘비교적 부적정한 편이다’에 66명(27.7%)이 응답해 예산지원이 적정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이자승검정 결과 유의수준이 0.072로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 전산화 사업추진 주체가 정부에서 민간단체(축협)로 이양되는 것에 대한 의견’에 대해 양축농가의 경우 ‘비교적 실효성이 높을 것이다’에 40명(33.3%)이 응답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보통이다’에 34명(28.3%)이 응답해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보여 양축농가의 경우 사업주체가 민간으로 이양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공무원의 경우에 있어서도 ‘비교적 실효성이 높을 것이다’에 40명(33.3%)가 응답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사업주체가 민간으로 이양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카이자승검정 결과 유의수준이 0.405로 사업주체의 민간이양 여부와 직업간에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5. 교차사례분석에서 주의할 점은?
카이스퀘어 검증은 ANOVA나 t-test와는 달리 차이가 수준에서의 차이가 아니라 분포의 차이를 알기 위한 것이라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3.08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