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주자수가 소규모
2. 각 악기들이 각각의 성부를 가지고 있음
3. 심포니 오케스트라 : 웅장, 거대한 음향, 음색과 다이나믹의 대비
실내악 : 매우 경제적인 표현방식
○현악4중주
[발달]
- 음악적 짜임새에서 빈공간이 활동적인 중간음역의 현악기로 채워지면서 발달
- 독자적인 4개의 악기구성, 독립적인 대위선율, 4성부의 화성적 효과
- 초기 4중주 : 청중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연주자들이 즐거움을 나누기 위해서
[구조]
- 교향곡과 매우 유사, 소나타 개념에 의거하기에 4악장의 구조를 가짐
- 하이든 : 교향곡과 더불어 현악4중주 등의 실내악 유형에 대표적 작곡가
○하이든
- 디베르티멘티 : 초기 현악 4중주들은 여흥을 위해 존재, 기분전환을 위한 곡
- 낮은 성부를 개발, 보다 독립적이고 흥미로운 성부로 발전시킴
- 6곡의 현악4중주 : 3번 ‘황제’(오스트리아국가) 가장 전통적인 곡으로 평가
○베토벤
- 심오하면서도 난해한 음악적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한 음악매체로 사용
- 현악 4중주 3그룹
[현악4중주 세그룹]
1. 6개의 초기4중주 : OP. 18, 1~6번 고전주의적 전통 + 실험적인 면모
2. 5개의 중기4중주 : OP. 59, OP.74, OP.95 현신적인 시도
3. 5개의 후기4중주 : OP.127, OP.131, OP.132, OP.135
▷ 다성음악의 전통과 소나타 악장의 극적인면, 새 시대의 시적인 내용을 실내악의 집중적인 형식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수준이 너~무 높고 난해
당대의 청중들에게는 거부감을 불러일으켰으며 오늘날에도 쉽게 이해되지 않음
<독주소나타의 발전>
: 피아노가 점차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기 시작함
○ 소나타의 구조
[초기]
1. 1악장 : 소나타 때로는 느린 서주부
2. 2악장 : 여러 단축된 소나티네 형식, 3부분형식, 변주곡 형식 중 하나 선택
3. 3악장 : 미뉴엣 같은 춤곡이나 론도형식
[후기]
- 4악장구조가 지배적
○베토벤소나타
: 소나타 장르 절정, 32개의 소나타를 작곡
[주요소나타]
- 소나타 4번 : 첫걸작
- OP.10 세 소나타 : 비엔나 양식을 대표
- OP.14 \'비창\' : 순환구조
- OP.53 \'발트슈타인\' OP.57(열정) : 자유로운 형식, 보다 파격적인 조성 및 먼 조로의 전조, 중기 비엔나 특징 반영
- OP. 109~111 : 개성적이고 자기성찰적
<쇼팽의 피아노음악>
- 피아노를 낭만주의의 가장 대표적인 악기로 부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
- 피아노의 표현력을 최고로 끌어 올림
○ 쇼팽의 피아노곡
- 분명한 혁식적인 윤곽을 지니면서 내성적인 성격과 즉흥연주의 분위기
○ 레가토(legato)와 루바토(rubato)주법
1. 레가토 : 선율을 부드럽게 연결, 페달 발달하면서 표현이 용이
2. 루바토 : 표현적인 목적 위하여 반주의 리듬은 엄격히 지키는 반면
선율의 리듬에서 약간의 융통성을 허용하는 미묘한 기법
○ 야상곡(NOCTURN)
1. 존필드가 처음으로 작곡하기 시작
2. 분위기를 나타내는 음악으로 예술가의 주관적인 느낌, 밤과 관련된
모든 감정들의 표출
○ 연습곡과 전주곡
1. Etude
- 기교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작곡
- 시적인 내용이 강력하게 압축된 성격소곡들로 간주
2. Prelude
- 바흐의 평균율처럼 모든 장, 단조를 거치는데 5도권에서 장조과
그 관계조들을 위한 움직임
- 간결하고 분명한 성격소곡
○ 춤곡
1. 마주르카 : 4분의 3박자 슬라브 춤곡, 동유럽의 이국적인 리듬과 색채
조국에 대한 긍지, 조국을 잃은 슬픔을 노래
2. 폴로네이즈 : 의전저인 장중함을 가진 영웅적인 성격의 춤
3. 왈츠 : 14곡, 폴로네이즈보다 훨씬 가볍고 매력적
○ 스케르초
: 독립된 작품, 4개의 스케르쪼
<리스트 피아노음악>
: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의 연주에 깊은 감명
신기에 가까운 기법들을 피아노로 옮겨옴
- 쇼팽이 가지고 있는 루바토연주 및 화성적을 혁진적으로 확장
- 후기작품에서 혁신적인 전조들을 시도
- 편곡작품이 다수인편
- 19곡의 헝가리 랩소디
: 민속적인 선율을 자유롭게 사용, 집시음악에 기초
- 12곡의 고난도 연습곡을 작곡
★<리스트vs쇼팽 음악의 비교>
1. 쇼팽 : 피아노만이 할 수 있는 독특한 기법에 관심이 높고 경제적으로 작곡
2. 리스트 : 화려하고 관현악적인 음향을 추구, 피아노 전체음역을 사용
<18c 오페라>
○ 18c 오페라를 이끈 대표적인 작곡가
- 하이든 : <약제사> / 귀족들을 위한 밝고 가벼운 오페라 작곡
- 모차르트 : <피가로의 결혼>, <돈조반니>, <마술피리>
- 글룩 : 오페라개혁
- 베토벤 : 성악보다는 기악쪽에 두드러짐
[오페라 세리아]
- 심각한 내용의 오페라
- 주인공은 왕, 귀족, 신 등 지도자급
- 17c 중여부터 희극인물의 등장 ▷ 인터메르쪼의 삽입
[인터메르쪼]
- 오페라 세리아의 막과 막사이의 희극적인 짧은 극
- 페르골레지 <마님이 된 하녀>
[오페라 부파]
- 인터메르쪼의 독립
- 일상적인 내용이 주를 이룸
- 어릿광대의 등장 ▷ 대중적 오페라이미지
- 각 자국어의 오페라가 유행
프랑스
오페라 코미크 : 일상적이고 익살스러운 오페라
영국
거지오페라 : 대중적인 민요에 새로운 가사를 붙임
독일
징슈필 : 단순한 민요풍, 일상적인 소개
○ 메타스타시오 개혁
: 17c 바로크시대에 일어난 오페라개혁으로 18c 오페라세리아의 전형이 됨
1. 3막 구성
2. 역사적, 신화적 내용
3. 6명의 등장인물
4. 해피엔딩
5. 레치타티보 : 극의 내용전개에 사용됨
아리아 : 주인공의 감정표현 / 극적인 전개
○ 글룩의 오페라 개혁
: 글룩이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를 제작하면서 이루어진 개혁
당시 오페라의 경우 대중들이 화려한 아리아에만 집중하게 되어 큰 규모, 화려한 아리아를 쓰기 위해 지나친 재정을 사용 ▷ 결국 오페라 극장의 재정악화로 이어짐
1. 불필요한 장식을 제거, 상황에 맞는 음악을 사용할 것
2. 아리아는 다카포를 벗어나 상황에 맞게 여러 방식으로 작곡
3. 아리아와 레치타티보의 간극을 줄이기
▷아콤파냐토 사용을 권장
4. 서곡은 극과 연관있게 작곡
2. 각 악기들이 각각의 성부를 가지고 있음
3. 심포니 오케스트라 : 웅장, 거대한 음향, 음색과 다이나믹의 대비
실내악 : 매우 경제적인 표현방식
○현악4중주
[발달]
- 음악적 짜임새에서 빈공간이 활동적인 중간음역의 현악기로 채워지면서 발달
- 독자적인 4개의 악기구성, 독립적인 대위선율, 4성부의 화성적 효과
- 초기 4중주 : 청중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연주자들이 즐거움을 나누기 위해서
[구조]
- 교향곡과 매우 유사, 소나타 개념에 의거하기에 4악장의 구조를 가짐
- 하이든 : 교향곡과 더불어 현악4중주 등의 실내악 유형에 대표적 작곡가
○하이든
- 디베르티멘티 : 초기 현악 4중주들은 여흥을 위해 존재, 기분전환을 위한 곡
- 낮은 성부를 개발, 보다 독립적이고 흥미로운 성부로 발전시킴
- 6곡의 현악4중주 : 3번 ‘황제’(오스트리아국가) 가장 전통적인 곡으로 평가
○베토벤
- 심오하면서도 난해한 음악적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한 음악매체로 사용
- 현악 4중주 3그룹
[현악4중주 세그룹]
1. 6개의 초기4중주 : OP. 18, 1~6번 고전주의적 전통 + 실험적인 면모
2. 5개의 중기4중주 : OP. 59, OP.74, OP.95 현신적인 시도
3. 5개의 후기4중주 : OP.127, OP.131, OP.132, OP.135
▷ 다성음악의 전통과 소나타 악장의 극적인면, 새 시대의 시적인 내용을 실내악의 집중적인 형식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수준이 너~무 높고 난해
당대의 청중들에게는 거부감을 불러일으켰으며 오늘날에도 쉽게 이해되지 않음
<독주소나타의 발전>
: 피아노가 점차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기 시작함
○ 소나타의 구조
[초기]
1. 1악장 : 소나타 때로는 느린 서주부
2. 2악장 : 여러 단축된 소나티네 형식, 3부분형식, 변주곡 형식 중 하나 선택
3. 3악장 : 미뉴엣 같은 춤곡이나 론도형식
[후기]
- 4악장구조가 지배적
○베토벤소나타
: 소나타 장르 절정, 32개의 소나타를 작곡
[주요소나타]
- 소나타 4번 : 첫걸작
- OP.10 세 소나타 : 비엔나 양식을 대표
- OP.14 \'비창\' : 순환구조
- OP.53 \'발트슈타인\' OP.57(열정) : 자유로운 형식, 보다 파격적인 조성 및 먼 조로의 전조, 중기 비엔나 특징 반영
- OP. 109~111 : 개성적이고 자기성찰적
<쇼팽의 피아노음악>
- 피아노를 낭만주의의 가장 대표적인 악기로 부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
- 피아노의 표현력을 최고로 끌어 올림
○ 쇼팽의 피아노곡
- 분명한 혁식적인 윤곽을 지니면서 내성적인 성격과 즉흥연주의 분위기
○ 레가토(legato)와 루바토(rubato)주법
1. 레가토 : 선율을 부드럽게 연결, 페달 발달하면서 표현이 용이
2. 루바토 : 표현적인 목적 위하여 반주의 리듬은 엄격히 지키는 반면
선율의 리듬에서 약간의 융통성을 허용하는 미묘한 기법
○ 야상곡(NOCTURN)
1. 존필드가 처음으로 작곡하기 시작
2. 분위기를 나타내는 음악으로 예술가의 주관적인 느낌, 밤과 관련된
모든 감정들의 표출
○ 연습곡과 전주곡
1. Etude
- 기교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작곡
- 시적인 내용이 강력하게 압축된 성격소곡들로 간주
2. Prelude
- 바흐의 평균율처럼 모든 장, 단조를 거치는데 5도권에서 장조과
그 관계조들을 위한 움직임
- 간결하고 분명한 성격소곡
○ 춤곡
1. 마주르카 : 4분의 3박자 슬라브 춤곡, 동유럽의 이국적인 리듬과 색채
조국에 대한 긍지, 조국을 잃은 슬픔을 노래
2. 폴로네이즈 : 의전저인 장중함을 가진 영웅적인 성격의 춤
3. 왈츠 : 14곡, 폴로네이즈보다 훨씬 가볍고 매력적
○ 스케르초
: 독립된 작품, 4개의 스케르쪼
<리스트 피아노음악>
: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의 연주에 깊은 감명
신기에 가까운 기법들을 피아노로 옮겨옴
- 쇼팽이 가지고 있는 루바토연주 및 화성적을 혁진적으로 확장
- 후기작품에서 혁신적인 전조들을 시도
- 편곡작품이 다수인편
- 19곡의 헝가리 랩소디
: 민속적인 선율을 자유롭게 사용, 집시음악에 기초
- 12곡의 고난도 연습곡을 작곡
★<리스트vs쇼팽 음악의 비교>
1. 쇼팽 : 피아노만이 할 수 있는 독특한 기법에 관심이 높고 경제적으로 작곡
2. 리스트 : 화려하고 관현악적인 음향을 추구, 피아노 전체음역을 사용
<18c 오페라>
○ 18c 오페라를 이끈 대표적인 작곡가
- 하이든 : <약제사> / 귀족들을 위한 밝고 가벼운 오페라 작곡
- 모차르트 : <피가로의 결혼>, <돈조반니>, <마술피리>
- 글룩 : 오페라개혁
- 베토벤 : 성악보다는 기악쪽에 두드러짐
[오페라 세리아]
- 심각한 내용의 오페라
- 주인공은 왕, 귀족, 신 등 지도자급
- 17c 중여부터 희극인물의 등장 ▷ 인터메르쪼의 삽입
[인터메르쪼]
- 오페라 세리아의 막과 막사이의 희극적인 짧은 극
- 페르골레지 <마님이 된 하녀>
[오페라 부파]
- 인터메르쪼의 독립
- 일상적인 내용이 주를 이룸
- 어릿광대의 등장 ▷ 대중적 오페라이미지
- 각 자국어의 오페라가 유행
프랑스
오페라 코미크 : 일상적이고 익살스러운 오페라
영국
거지오페라 : 대중적인 민요에 새로운 가사를 붙임
독일
징슈필 : 단순한 민요풍, 일상적인 소개
○ 메타스타시오 개혁
: 17c 바로크시대에 일어난 오페라개혁으로 18c 오페라세리아의 전형이 됨
1. 3막 구성
2. 역사적, 신화적 내용
3. 6명의 등장인물
4. 해피엔딩
5. 레치타티보 : 극의 내용전개에 사용됨
아리아 : 주인공의 감정표현 / 극적인 전개
○ 글룩의 오페라 개혁
: 글룩이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를 제작하면서 이루어진 개혁
당시 오페라의 경우 대중들이 화려한 아리아에만 집중하게 되어 큰 규모, 화려한 아리아를 쓰기 위해 지나친 재정을 사용 ▷ 결국 오페라 극장의 재정악화로 이어짐
1. 불필요한 장식을 제거, 상황에 맞는 음악을 사용할 것
2. 아리아는 다카포를 벗어나 상황에 맞게 여러 방식으로 작곡
3. 아리아와 레치타티보의 간극을 줄이기
▷아콤파냐토 사용을 권장
4. 서곡은 극과 연관있게 작곡
추천자료
현행 중등교원양성과 임용체제의 비판적 논의 및 개선방안
송강가사 비교연구
[미술교육][미대입시제도][미대입시]미술교육의 배경, 미술교육의 목적, 미대입시제도의 현황...
폴고갱의 생애와 폴고갱의 작품 분석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4공통] 오페라는 서양의 대표적인 공연예술입니다. 오페라의 역사를 간...
서양음악사 핵심정리본(바로크시대) 중등 음악 임용 대비 교육대학원 입시
서양음악사 핵심정리본(르네상스시대) 중등 음악 임용 대비 교육대학원 입시
서양음악사 핵심정리본(중세시대) 중등 음악 임용 대비 교육대학원 입시
서양음악사 핵심정리본(낭만시대/근현대음악) / 중등 음악 임용 대비 교육대학원 입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