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비합리적 신념
II. 합리정서치료의 개입방법
1. ABC모델
2. 논박(D)
III. 합리정서행동치료를 적용한 연습
* 참고문헌
II. 합리정서치료의 개입방법
1. ABC모델
2. 논박(D)
III. 합리정서행동치료를 적용한 연습
* 참고문헌
본문내용
논박(D)
A, B, C는 평가의 절차이며, 상담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신념체계를 바꾸는 것이다. 내담자의 신념체계란 것은 그 본질이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므로 REBT 상담의 독특한 방법인 논박(Dispute)이라는 특수한 기법이 필요하다. 논박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사고체계에 대한 논쟁이나 도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인지적이고 정서적이고 행동적이다. 논박에서 내담자의 비합리적 철학들을 직면하며 하나씩 하나씩 조사해나갈 필요가 있다. 논박의 인지적 기법으로는 질문 기법,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이 있으며, 정서적 기법에는 심상법, 유머스러운 기법의 활용이 있으며, 행동적 기법으로는 역할연기, 실제탈감법, 수치심 공격하기 연습 등이 있다.
III. 합리정서행동치료를 적용한 연습
다음에서는 Ellis의 비합리적 신념의 개념을 적용하여 불안의 감정을 집단에서 다루어보는 살펴보는 연습을 제시한다(Carrell, 1993). \'수치심 게임\'이라 불리는 이 연습에서 사회복지사(집단 지도자)는 의도적으로 성원들의 불안 감정을 유발하고 이에 대한 토의를 이끈다. 준비물로서 사회복지사는 성원들 수만큼의 편지 봉투와 봉투 안에 넣을 클립을 마련한다.
사회복지사는 집단 중앙에 빈 의자를 하나 배치하고 성원들에게 다음을 설명한다. 성원들 중 한 사람이 이 의자에 앉도록 선정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중앙 의자에 앉은 사람에게 사전에 준비한 질문들을 하게 될 것이며, 이 질문들은 다소 어렵고 매우 개인적인 질문들이다.
집단구성원들도 이 사람에게 질문할 기회를 가진다. 누가 중앙 의자에 앉을 것인지는 무작위적 방법으로 결정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각 성원에게 봉투를 하나씩 나누어줄 텐데, 한 봉투에만 클립이 들어있고 나머지는 빈 봉투들이다. 클립이 들어있는 봉투를 받은 사람이 중앙 의자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된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이와 같이 설명하고, 성원들에게 심각하게 봉투를 하나씩 나누어 준다. 사실은 모든 봉투에 클립이 들어있기 때문에, 모든 성원들은 자기가 선정되었다고 생각하게 되고, 어느 정도의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복지사는 봉투를 나누어주면서 모든 성원들이 봉투를 받을 때까지 봉투를 열지 말 것과 내용물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로 얘기하지 말 것을 지시한다.
모두 봉투를 열고 확인했을 때, 사회복지사는 사실은 모든 봉투에 클립이 들어 있다고 알려준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A, B, C는 평가의 절차이며, 상담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신념체계를 바꾸는 것이다. 내담자의 신념체계란 것은 그 본질이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므로 REBT 상담의 독특한 방법인 논박(Dispute)이라는 특수한 기법이 필요하다. 논박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사고체계에 대한 논쟁이나 도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인지적이고 정서적이고 행동적이다. 논박에서 내담자의 비합리적 철학들을 직면하며 하나씩 하나씩 조사해나갈 필요가 있다. 논박의 인지적 기법으로는 질문 기법,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이 있으며, 정서적 기법에는 심상법, 유머스러운 기법의 활용이 있으며, 행동적 기법으로는 역할연기, 실제탈감법, 수치심 공격하기 연습 등이 있다.
III. 합리정서행동치료를 적용한 연습
다음에서는 Ellis의 비합리적 신념의 개념을 적용하여 불안의 감정을 집단에서 다루어보는 살펴보는 연습을 제시한다(Carrell, 1993). \'수치심 게임\'이라 불리는 이 연습에서 사회복지사(집단 지도자)는 의도적으로 성원들의 불안 감정을 유발하고 이에 대한 토의를 이끈다. 준비물로서 사회복지사는 성원들 수만큼의 편지 봉투와 봉투 안에 넣을 클립을 마련한다.
사회복지사는 집단 중앙에 빈 의자를 하나 배치하고 성원들에게 다음을 설명한다. 성원들 중 한 사람이 이 의자에 앉도록 선정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중앙 의자에 앉은 사람에게 사전에 준비한 질문들을 하게 될 것이며, 이 질문들은 다소 어렵고 매우 개인적인 질문들이다.
집단구성원들도 이 사람에게 질문할 기회를 가진다. 누가 중앙 의자에 앉을 것인지는 무작위적 방법으로 결정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각 성원에게 봉투를 하나씩 나누어줄 텐데, 한 봉투에만 클립이 들어있고 나머지는 빈 봉투들이다. 클립이 들어있는 봉투를 받은 사람이 중앙 의자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된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이와 같이 설명하고, 성원들에게 심각하게 봉투를 하나씩 나누어 준다. 사실은 모든 봉투에 클립이 들어있기 때문에, 모든 성원들은 자기가 선정되었다고 생각하게 되고, 어느 정도의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복지사는 봉투를 나누어주면서 모든 성원들이 봉투를 받을 때까지 봉투를 열지 말 것과 내용물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로 얘기하지 말 것을 지시한다.
모두 봉투를 열고 확인했을 때, 사회복지사는 사실은 모든 봉투에 클립이 들어 있다고 알려준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누벨바그 분석
[A+]인지행동적 상담이론
Albert Ellis의 인지적 상담이론을 정리하고, 이 이론과 유사한 인지치료이론을 제시 및 비교...
Albert Ellis의 인지적 상담이론을 정리하고, 이 이론과 유사한 인지치료이론을 제시 및 비교...
[사회복지실천론] 학대가정의 아동인 클라이언트가 이웃의 신고로 아동보호소로 의뢰되었다. ...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적 정리에 따라...
벡과 엘리스의 인지치료이론- 벡(Beck)의 인지치료이론과 엘리스의 합리정서치료이론의 주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적이론의 특징과 주요 개념을 설...
인지행동 모델 - 개념 목표 및 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