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체 설치 지점 중에서 지역 사무소(동사무소와 유사한)와 공공 시설물이 50.9%(966개)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거지는 31%(589개)를 차지하고 있음. 민간 부문은 13.2%(251개)로 나타남.
반면 공공 기업의 설치율은 4.8%(92개)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차트] 싱가포르 태양광 지역별 설치 및 발전량 현황
싱가포르에서 태양광이 가장 많이 설치된 곳은 북동부 지역임. 이 지역에는 482개가 설치되어 있어 전체 25.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에 비해 발전 효율은 낮아서 발전 가능량은 15.5메가와츠(15.5%)에 그치고 있음.
에너지 거래 자유화와 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의 약진
싱가포르 전력 시장이 2018년 11월1일부터 자유화됨에 따라 기존에 대형 업체들이 독식하던 전기 시장에 신생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영업을 시작한 상황임. 구매량이 2메가와츠 이상인 경우 모든 사업자에게서 전력 구매가 가능하지만, 그 미만인 경우(대부분의 일반 소비자, 소상공인)는 오픈 마켓에서 구매할 수 있는 곳은 13개 기업임.
[표] 싱가포르 2메가와츠 미만 배전회사- 오픈마켓참여 (13개사)
Best Electricity Supply Pte Ltd
Diamond Electric
(by Diamond Energy Merchants
Pte Ltd)
ES Power
(by Environmental Solutions (Asia)
Pte Ltd)
Geneco
(by Seraya Energy Pte Ltd)
iSwitch Pte Ltd
Keppel Electric Pte Ltd
Ohm Energy Pte Ltd
PacificLight Energy Pte Ltd
Sembcorp Power Pte Ltd
Senoko Energy Supply Pte Ltd
Sunseap Energy Pte Ltd
Tuas Power Supply Pte Ltd
Union Power Pte Ltd
현재 싱가포르의 다양한 소비자 웹사이트에는 배전 회사별로 가격 비교글 등이 활발하게 올라오고 있음. 오픈 마켓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되지 않은 만큼 앞으로도 많은 배전회사들이 시장에 참가할 것으로 기대됨.
특히 신재생에너지 관련 신생 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해질 것이며, 싱가포르 정부는 이러한 긍정적 에너지 거래 생태계 구축을 통해 자국이 에너지 산업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4. 에너지 산업 구조
싱가포르 전력 산업의 참여자는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음
[표] 에너지 시장 주요 참여자
분야
사 업 자
비 고
발전사.발전소
Generator
Senoko Power, Sembcorp, Seraya Power, Tuas Power, Pacific Light 등
전력을 생산하여 도매업자에게 스팟 비딩으로 판매. 15개 회사가 등록되어 있음
도매업자
Wholesaler
*소형 발전사
Diamond Energy Manager Pte Ltd, Chesterfield Pte Ltd, Red Dot Power Pte Ltd, Singapore District cooling Pte Ltd, Biofuel Industry, REC Solar, Cleantech Solar Asia, SolarNova Phase 1 Pte Ltd 등
총 30개사 정도가 등록되어 있으며 발전 규모에 따라 2분류로 나눠짐
0.1~0.9메가와츠 (Demad Side)
1~10메가와츠(Generation)
주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업자들이 포함되어 있음.
소매배전업자
Retailer
SP Group, Sembcorp Power, Hyflux Energy, Sunseap Energy 등
32개사가 등록되어 있으며 SP Group 그리드망을 이용해 소비자에게 직접 전기를 판매
송전망사업
Transmission
SP PowerGrid Ltd(SPPG)
송배전사업권을 SPPA에 매각(‘03.10)하고 송배전망 건설, 관리, 유지보수 위탁수행
SP POWER ASSETS LTD(SPPA)
싱가포르의 독점 송배전사업자
시장지원사업
MSSL
SP SERVICE LTD
계량, 고객관리, 경쟁 소비자
도매시장 참여지원 등 수행
시장 관리감독
ENERGY MAREKT AUTHORITY
에너지 산업 주무부처
ENERGY MARKET COMPANY PTE LTD
도매전력시장 운영 및 관리 감독
[차트] 싱가포르 에너지 산업 구조
5. 관련 주요 정부 기관
에너지 시장청 (EMA:Energy Market Authority)
EMA는 발전, 송전, 배전 등 전 산업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함. 2001년 설립되어서 기존에 전력 관련 주무부처인 PUB(Public Utility Board)를 대신하여 전력 산업을 관리.
최근 싱가포르 정부는 과거 모든 것을 통제, 관리하던 역할에서 시장 규제와 질서유지만을 담당하는 역할로 변화를 모색해 오고 있음. 이에 따라 전력 산업에도 민영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EMA의 역할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
에너지마켓 컴퍼니 (EMC : Energy Market Company)
싱가포르 전력거래 플랫폼인 국립전력시장((National Electricity Market of Singapore, NEMS)을 2003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주체로,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의 자회사임.
발전사들은 30분마다 NEMS를 통해 도매시장에 전력을 판매해야 하며 이 모든 거래는 NEMS를 운영하는 EMC를 통해 진행됨.
SP Service (SPS : Singapore Power Service)
공기업인 SP 그룹 자회사로서, 시장지원서비스(MSSL: Market Support Services Licensee)를 담당하고 있음. 미터기 리딩, 미터 데이터 관리 등의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
SP PowerAssets (SPPA)과 SP PowerGrid (SPPG)
SP PowerAssets 는 송전 역할을 담당. 싱가포르 내의 전력망을 소유하고 있음. SP PowerGrid 는 SPPA에 공인지정된 전력망 설치, 유지보수 관리 기업임. 두 그룹 모두 다 SP Group에 속해 있음.
반면 공공 기업의 설치율은 4.8%(92개)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차트] 싱가포르 태양광 지역별 설치 및 발전량 현황
싱가포르에서 태양광이 가장 많이 설치된 곳은 북동부 지역임. 이 지역에는 482개가 설치되어 있어 전체 25.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에 비해 발전 효율은 낮아서 발전 가능량은 15.5메가와츠(15.5%)에 그치고 있음.
에너지 거래 자유화와 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의 약진
싱가포르 전력 시장이 2018년 11월1일부터 자유화됨에 따라 기존에 대형 업체들이 독식하던 전기 시장에 신생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영업을 시작한 상황임. 구매량이 2메가와츠 이상인 경우 모든 사업자에게서 전력 구매가 가능하지만, 그 미만인 경우(대부분의 일반 소비자, 소상공인)는 오픈 마켓에서 구매할 수 있는 곳은 13개 기업임.
[표] 싱가포르 2메가와츠 미만 배전회사- 오픈마켓참여 (13개사)
Best Electricity Supply Pte Ltd
Diamond Electric
(by Diamond Energy Merchants
Pte Ltd)
ES Power
(by Environmental Solutions (Asia)
Pte Ltd)
Geneco
(by Seraya Energy Pte Ltd)
iSwitch Pte Ltd
Keppel Electric Pte Ltd
Ohm Energy Pte Ltd
PacificLight Energy Pte Ltd
Sembcorp Power Pte Ltd
Senoko Energy Supply Pte Ltd
Sunseap Energy Pte Ltd
Tuas Power Supply Pte Ltd
Union Power Pte Ltd
현재 싱가포르의 다양한 소비자 웹사이트에는 배전 회사별로 가격 비교글 등이 활발하게 올라오고 있음. 오픈 마켓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되지 않은 만큼 앞으로도 많은 배전회사들이 시장에 참가할 것으로 기대됨.
특히 신재생에너지 관련 신생 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해질 것이며, 싱가포르 정부는 이러한 긍정적 에너지 거래 생태계 구축을 통해 자국이 에너지 산업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4. 에너지 산업 구조
싱가포르 전력 산업의 참여자는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음
[표] 에너지 시장 주요 참여자
분야
사 업 자
비 고
발전사.발전소
Generator
Senoko Power, Sembcorp, Seraya Power, Tuas Power, Pacific Light 등
전력을 생산하여 도매업자에게 스팟 비딩으로 판매. 15개 회사가 등록되어 있음
도매업자
Wholesaler
*소형 발전사
Diamond Energy Manager Pte Ltd, Chesterfield Pte Ltd, Red Dot Power Pte Ltd, Singapore District cooling Pte Ltd, Biofuel Industry, REC Solar, Cleantech Solar Asia, SolarNova Phase 1 Pte Ltd 등
총 30개사 정도가 등록되어 있으며 발전 규모에 따라 2분류로 나눠짐
0.1~0.9메가와츠 (Demad Side)
1~10메가와츠(Generation)
주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업자들이 포함되어 있음.
소매배전업자
Retailer
SP Group, Sembcorp Power, Hyflux Energy, Sunseap Energy 등
32개사가 등록되어 있으며 SP Group 그리드망을 이용해 소비자에게 직접 전기를 판매
송전망사업
Transmission
SP PowerGrid Ltd(SPPG)
송배전사업권을 SPPA에 매각(‘03.10)하고 송배전망 건설, 관리, 유지보수 위탁수행
SP POWER ASSETS LTD(SPPA)
싱가포르의 독점 송배전사업자
시장지원사업
MSSL
SP SERVICE LTD
계량, 고객관리, 경쟁 소비자
도매시장 참여지원 등 수행
시장 관리감독
ENERGY MAREKT AUTHORITY
에너지 산업 주무부처
ENERGY MARKET COMPANY PTE LTD
도매전력시장 운영 및 관리 감독
[차트] 싱가포르 에너지 산업 구조
5. 관련 주요 정부 기관
에너지 시장청 (EMA:Energy Market Authority)
EMA는 발전, 송전, 배전 등 전 산업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함. 2001년 설립되어서 기존에 전력 관련 주무부처인 PUB(Public Utility Board)를 대신하여 전력 산업을 관리.
최근 싱가포르 정부는 과거 모든 것을 통제, 관리하던 역할에서 시장 규제와 질서유지만을 담당하는 역할로 변화를 모색해 오고 있음. 이에 따라 전력 산업에도 민영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EMA의 역할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
에너지마켓 컴퍼니 (EMC : Energy Market Company)
싱가포르 전력거래 플랫폼인 국립전력시장((National Electricity Market of Singapore, NEMS)을 2003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주체로,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의 자회사임.
발전사들은 30분마다 NEMS를 통해 도매시장에 전력을 판매해야 하며 이 모든 거래는 NEMS를 운영하는 EMC를 통해 진행됨.
SP Service (SPS : Singapore Power Service)
공기업인 SP 그룹 자회사로서, 시장지원서비스(MSSL: Market Support Services Licensee)를 담당하고 있음. 미터기 리딩, 미터 데이터 관리 등의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
SP PowerAssets (SPPA)과 SP PowerGrid (SPPG)
SP PowerAssets 는 송전 역할을 담당. 싱가포르 내의 전력망을 소유하고 있음. SP PowerGrid 는 SPPA에 공인지정된 전력망 설치, 유지보수 관리 기업임. 두 그룹 모두 다 SP Group에 속해 있음.
추천자료
[대체에너지][에너지위기][대체에너지개발][에너지][외국의 에너지 절약 사례]대체에너지의 ...
대체에너지(대체에너지개발)의 정의, 대체에너지(대체에너지개발)의 필요성, 대체에너지(대체...
[에너지][에너지수급][에너지절약 사례][에너지절약정책]에너지의 개념, 국내 에너지수급 동...
조선산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그린 에너지 필요성과 종류, 장단점
[전산정보][도서관][장애인복지시설][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광속상거래]도서관의 전산정보...
[일본 산업][조선산업]일본의 조선산업, 일본의 항공산업, 일본의 IT산업(정보기술산업), 일...
해외시장 진출론 - 우리나라의 해외시장 진출에 관해서
(다국적기업론 공통) 러시아 경제의 특징을 요약하고 한-러시아 관계에 있어 향후 한국 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