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오 SPAO 기업 경영전략분석 및 SWOT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파오 SPAO 기업 경영전략분석 및 SWOT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파오 SPAO 브랜드특성

2. SPA의 개념

3. 스파오 기업 경영전략
(1) 제품전략과 생산전략
(2) 전략적제휴 전략
(3) 홍보전략
(4) 저가격전략

4. 스파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스파오 향후전략제언

본문내용

명 디자이너와의 collaboration을 통해 기존 300에서 500만 원 대의 고가 재킷을 10분의 1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른 SPA 브랜드보다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4. 스파오 SWOT분석
(1) Strength
- 국내 여러 분야 기업들과 콜라보레이션이 가능하고 해외 브랜드보다 가격 경쟁력에서 매우 우세하다.
- 제작 물류흐름이 외국의 브랜드보다 더 빠르고 한국인 체형을 고려해 디자인한다.
(2) Weakness
- 인지도가 낮은 편이고, 디자인과 관련해서 소비자들을 유도할 수 있는 요소가 매우 부족하다.
- 주 고객층의 연령대가 10~20대들로 한정되어있고 정확한 정체성이 결여되어있다.
- 유명 연예인을 이용한 단순 마케팅을 해서 제품보다 연예인에 관심이 쏠리는 경향이 있다.
(3) Opportunity
- 국내 기업 이미지, 여러 기타 브랜드들과 collaboration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 토종 SPA 브랜드로써 외국 브랜드가 공감할 수 없는 문화적 공감이나 한국의 정서에 맞는 마케팅을 할 수 있다.
(4) Threat
- SPA 브랜드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위험한 상태이다.
- 다른 브랜드들에 비해 제일 늦게 등장한 후발 주자이며, 국내 1위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가진 경쟁 주자 유니클로가 있다.
5. 스파오 향후전략제언
현재 SPAO에게 부족한 SPA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경쟁업체인 UNIQLO나 ZARA뿐만 아니라 국내 진출이 늦었던 H&M에 비해서도 국내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경향이 있으며, SPA시장에서 SPAO만의 특별한 위치를 확고히 하지 못한 부분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기존 목표 고객층이 UNIQLO와 마찬가지로 전 연령대를 포괄하는 것이었다는 점에 비하여 현재 주 매출 고객층이 10대에 편향되어있는 부분은 개선되어야 할 요소가 있다. 따라서 목표 고객층의 수정을 통해 10~20대의 젊은 층에 확실히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로 거듭나는 것이 SPAO에게 SPA브랜드로서 새로이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SPA 시장 주 고객 층이 젊은 세대라는 것을 볼 때 매장 확장 전략이나 브랜드 인지도 강화 부문에서 목표 고객을 명확히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다. 현재 SPAO의 매장 확장 전략이 주로 이랜드 그룹의 유통업체를 통한 것이라는 점은 젊은 층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따라서 젊은 층이 많이 가는 장소에 로드샵과 플래그샵을 확장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의 개선을 통해 인지도의 상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SPAO의 핵심 역량으로 보이는 SM엔터테인먼트와의 전략적 제휴에 따라 10대들에게는 확실히 인지도가 꾸준히 상승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외의 고객층에게는 타 경쟁 브랜드에 비해 월등히 낮은 브랜드 인지도는 SPAO의 입지 강화에 불안 요소이다. 따라서 젊은 고객층을 타겟으로 하여 SPAO만의 고품질, 저가격이라는 강점을 확실히 홍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3.27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7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